• 제목/요약/키워드: IT영양권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6초

보건소를 방문한 경계성 고혈압 환자의 저염식생활 영양교육 참여정도에 따른 혈압, 나트륨 섭취 및 식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Blood Pressure, Sodium Intake and Dietary Behavior Changes by Session Attendance on Salt Reduc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hypertensive Adults in a Public Health Center)

  • 정은진;권종숙;안소현;손숙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26-643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sodium intake and dietary behavior changes according to the extent of session attendance on sodium reduc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hypertensive adults in a public health center. Sodium reduction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8 sessions for 8 weeks. Fifty three patients who completed the pre and post nutritional assessment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session attendance rate. Nineteen participants who attended the education program 3 times or less (${\leq}3$) were categorized into the less attendance (LA) group and 34 participants attended 4 times or more (${\geq}4$) into the more attendance (MA) group. Blood pressur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erum lipid profile, nutrient intakes including sodium,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score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Mean sodium intakes (p<0.001), systolic/diastolic blood pressure (p<0.001), and weight (p<0.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A group after sodium reduction education program. Compared to the MA group, mean sodium intakes, systolic/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even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nutrition knowledge (p<0.05) and dietary behavior score (p<0.01) in the LA group. It appears that pre-hypertensive adults need to attend the sodium reduction education program for at least 4 times or more to gain beneficial effects from the intervention. Positive feedback of healthcare team or offering more cooking classes may be needed to raise the attendance rate in the sodium reduction education program.

Vibrio parahaemoiyticus에 대한 산초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 김정순;구경모;정용현;양재길;이강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00-504
    • /
    • 2004
  • 산초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등지 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우리 정서에 친숙한 식미와 향기를 가지는 아시아권의 공통적인 향신료이다.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는 생선회와 어패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발생 억제방안의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성이 없는 새로운 천연 식품 보존제의 개발을 위하여 식품 및 향신료로서 적용 범위가 광범위한 산초를 대상으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천연항균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산초나무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력 분석에서 종자를 제외한 성분으로 제조한 산초의 주정추출물이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추출물의 온도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다양한 범위의 온도, pH에 대해서 매우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C-MS에 의한 산초 추출물의 분리, 동정 결과에서는 estragole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는 산초를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을 줄일 수 있는 항균제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식품첨가제 및 포장재, 식품포장 외부 충진 물질, 살균소독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응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영지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제빵의 특성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GL))

  • 정현채;이준탁;권오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201-1205
    • /
    • 2004
  • 각종 성병 및 항암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입증된 영지버섯을 제빵시 첨가하여 기능성이 부여된 빵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영지추출액을 8%까지 첨가함에 따라 쓴맛이 증가하였지만, 1차 발효기간 동안 반죽의 부피는 증가하였고 굽기 손실률이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영지추출물을 첨가한 빵의 관능검사결과, 2%첨가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4,6,8%를 첨가했을 때 4%는 보통으로 6,8%는 대조구에 비해 나쁘게 나타났다. 사진촬영 결과 역시 0, 2% 영지추출액 첨가식빵의 내부조직은 우수하였으나, 4%는 보통으로 6,8%는 나쁘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사실들로 보아, 일반식 빵과 차이가 없는 2% 영지추출액 첨가시 기능성이 부여된 식빵의 제조가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메뉴북 디자인 담당자에 따른 디자인 실태 비교분석 - 인천지역 일부 외식업체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signer-Oriented Current Status of Menu Book Designs in the Restaurants of Incheon Area)

  • 권순자;이준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3-26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signs of the menu books as an important tool of marketing and then present its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is, the investigator comparativel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enu book designs of the restaurants in Incheon area with 295 managers and then analyzed menu book designs by its designers. Menu book designers were printing houses (42.0%), specialized business (31.9%) and managers/employees (26.1%). 51.5% of menu books were impossible to substitute partially. Even there were seasonal menus or event menus, 27.5% of them were impossible to replace menu books partially; therefore, it was impossible to take a prompt action for seasonal or event menus. The easiness of understanding the terminology in menu books was average $2.74{\pm}0.45$(3-point scale). The harmony of menu book design with restaurants was average $2.46{\pm}0.51$ (3-point scale). Comparing to the menu books designed in specialized business, the menu books designed in printing houses or by managers/employees were uniform in type sizes (p < 0.001), had no menu photos (p < 0.001) and explanations (p < 0.001), and did not classify menus by groups (p < 0.001) in general. In addition, profit-making menus were not properly emphasized (p < 0.001), thus making the design of menu books a little improp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managers in the restaurant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enu books and thus improve it. In addition, by maintaining close communication with designers of menu books, managers in the restaurants must ensure for their menu books to be designed appropriately, thus making their menu books play the role of an important marketing tool.

안동호의 장기간의 영양상태와 인부하량 (Long-term Variations of Trophic State and Phosphorus Loading in Lake Andong, Korea)

  • 권상용;김범철;허우명
    • 생태와환경
    • /
    • 제35권4호통권100호
    • /
    • pp.249-256
    • /
    • 2002
  • 안동호에서 1993년부터 2000년까지 영양상태와 인부하량의 장기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탁도, 수온, 투명도, 인, 질소 및 엽록소 a 농도 등이며, 댐 앞지점에서 월 1회 조사하였다. 유역으로부터의 인부하량은 주 유입수에서 주 1회 혹은 우기시 수시로 조사된 자료와 유입수량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양어장으로부터의 인부하량은 사료공급량과 원단위로부터 산출하였다. 여름에 히소투명도 값이 1993년과 1994년에는 약 2m정도이었으나, 1998년에는 약 1m를 보였다. 표충의 총인 농도는 1993년에 $11-30\;mgP/m^3$에서 1998년에는 $18-42\;mgP/m^3$으로 약간 증가하였다. 그러나 2000년에는 $8-13\;mgP/m^3$으로 회복되었다. 표층의 총질소는 1993년에 1.81-2.96 mgN/L에서 2000년에는 1.17-1.80 mgN/L로 약간 감소하였다. TN/TP비는 1993년에 82-281이었으나 1998년에는 21-143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2000년에는 TP의 감소에 따라 101-209로 다시 증가하였다. 여름에 엽록소 a 농도는 1993년부터 1997년까지 $4.8-16.2\;mg/m^3$의 범위를 보였으나 1998년 이후에는 $3.7-5.2\;mg/m^3$으로 다소 감소되었다. 안동호의 영양상태는 1996년까지 점차적으로 증가되어왔으나 그 이후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상태 회복의 주요 요인은 1998년 4월에 양어장의 철거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간의 영양교육이 비만도가 다른 여대생들의 식생활 태도와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hort perio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dietary behavior and the dietary intake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the different adiposity index)

  • 권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21-330
    • /
    • 1993
  • Effects of a short-perio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dietary behavior and the dietary intake were investigated in sixty nine healthy female college students. Questionnaires for general health information, character type,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intake were answered by the subjects. All the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hich was carried out twice during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adiposity indices (AI), which are low AI (33 subjects), normal AI (31), and high AI (5). In the normal and the high AI group,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ppeared to influence the dietary behaviors of the subjects significantly. However the program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ietary intake of three groups, except PUFA ratio. It appears that a longer-perio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s required for influencing both the dietary behavior and the dietary intake of the subjects.

  • PDF

25시간 연속관측을 통한 섬진강 하구에서 시공간적 해양환경 변화 조절 요인 (Factors Controlling Temporal-Spatial Variations of Marine Environment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Through 25-hour Continuous Monitoring)

  • 박미옥;김성수;김성길;권지남;이석모;이용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4-322
    • /
    • 2012
  • 섬진강 하구에서 수온, 염분, pH, 용존산소, 부유입자물질, 영양염류, 엽록소 a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2006년 3월(건기)과 7월(우기)에 각각 25시간 연속관측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염분경사에 따라 해양환경 조사를 실시하였다. 섬진강 하구에서 염분의 변화는 건기에는 조석주기, 우기에는 강물 유출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무기영양염류(질산염, 아질산염, 규산염) 농도의 시공간적 분포는 건기에는 염분의 변화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우기에는 시간에 따라 농도 변화가 작았다. 우기시 영양염류의 평균 농도는 건기에 비해 용존무기질산염의 경우 약 6배, 용존무기인의 경우 약 4배, 용존무기규산염의 경우 약 43배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a 농도는 용존무기영양염류의 농도가 높은 우기에 비해 건기에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 우기와 건기에 해양환경인자의 시공간적 분포는 조석과 강물유출량의 영향에 의해 결정되며, 엽록소 a의 분포는 용존무기영양염류의 분포보다는 담수의 유출량 변화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단 간헐 포기조의 포기/비포기 시간비에 따른 영양염류 제거특성 (Nutrients removal on Oxic/Anoxic time ratio in 2-stage-intermittent-aeration reactor)

  • 김홍태;신석우;오상화;권성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7호
    • /
    • pp.675-680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move organics and nutrients using 2 stage intermittent aeration reactor. First reactor, using suspended microbial growth in intermittent aeration instead of anaerobic reactor in the typical BNR process, used minimum carbon source to release P, and it was possible to reduce ammonia loading going to second reactor. In the second reactor, using moving media intermittent aeration, it was effective to reduce nitrate in non-aeration time by attached microorganisms having long retention time. In aeration time, nitrification and P uptake were taken place simultaneously. From the experiment, two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moval of organics was more than 90%, and optimum aeration/non-aeration time ratio for organic removal was corresponded with aeration/non-aeration time ratio for nitrogen removal. Second, in the first reactor, optimum aeration/non-aeration time ratio was 15/75 (min.) because it was necessary to maintain 75 min. of non-aeration time to suppress of impediment of return nitrate and to lead release of phosphate. In the second reactor, optimum aeration/non-aeration time ratio was 45/90 (min.).

인삼(人蔘)의 연근별(年根別) 사포닌함량(含量)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Changes of Saponin Contents in Relation to Root Age of Panax ginseng)

  • 장진규;이광승;권대원;남기열;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7-40
    • /
    • 1983
  • 인삼(人蔘)의 주요약리성분(主要藥理成分)으로 밝혀지고 있는 사포닌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중심으로 하여 인삼(人蔘)의 채굴연수(採掘年數)의 진단(診斷)과 약리작용(藥理作用)에 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재배인삼(栽培人蔘)의 생육연수(生育年數)에 따른 총(總)사포닌 함량(含量)의 변화(變化), diol사포닌과 triol사포닌의 비교(比較) 및 PT/PD 비(比)등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생육연수(生育年數)에 따른 총(總)사포닌함량(含量)은 연근(年根)이 증가할 수록 총(總)사포닌함량(含量)이 증가 하였는데 5 년근(年根)에서 5.19%로 가장 높았으며 6년근(年根)에서는 4.80%로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총(總)사포닌함량(含量)만을 고려(考慮)한다면 6년근(年根)보다 5 년근(年根)에서 채굴(採掘)함이 바람직하다. (3) 생육연수(生育年數)에 따른 PT/PD비(比)를 보면 연근(年根)이 증가할 수록 차차 증가하여 6년근(年根)이 0.51로서 가장높았으며 5년근(年根)의 0.48보다 6.25%나 더 높았다. (4) 따라서 PT/PD비(比)의 증가량을 고려한다면 6년근(年根)에서 채굴(採掘)함이 바람직 하였다.

  • PDF

Sourdough로부터 젖산균과 효모의 분리 및 배양 특성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Isolat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from Sourdough)

  • 김기주;정현채;권오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80-1185
    • /
    • 2004
  • 본 연구는 sourdough 제빵에 관여하는 우수한 효모와 젖산균을 분리, 선별하고 이들의 최적 배지 조성을 연구하였다. 1차 분리된 젖산균 115균주 중 항균성이 우수하고, 산 생성 및 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Leuconostoc sp.로 나타났다. 효모는 8개 균주를 1차 선별하였으며, 발효와 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Saccharomyces sp.로 동정되었다. 당 발효성을 실험한 결과, glucose와 sucrose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sucrose가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젖산균은 밀가루배지에 1% sucrose첨가만으로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효모인 경우는 증식이 더 필요하였다. 추가적으로 분리된 효모의 생육 실험을 하여 나타난 최적배지조성은 wheat flour 0.5%, peptone 0.5%, sucrose 3%로 나타났으며, 젖산균인 경우는 peptone의 첨가없이 wheat flour 0.5%, sucrose 1%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