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SFET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Silicon-based Urea Sensor Syst (다공질 실리콘을 이용한 요소검출용 바이오 센서 제작)

  • Jin, Joon-Hyung;Kang, Chul-Goo;Kang, Moon-Sik;Song, Min-Jung;Min, Nam-Ki;Hong, Seok-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c
    • /
    • pp.2003-2005
    • /
    • 2002
  • 바이오 마이크로 시스템 및 바이오 MEMS 분야, 특히 실리콘을 기질로 하는 바이오 센서 제작에서 반도체 공정 기술은 센서의 대량 생산과 초소형화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그러나, 감지전극의 마이크로화에 따른 센서의 감도 및 안정성 저하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최근, 다공질 실리콘이 갖는 대면적이 실리콘 기질과 생체 고분자 (예: 단백질, 핵산 등)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알려지면서, 바이오 센서 분야에서, 새로운 형태의 드랜스듀서 재료로서의 다공질 실리콘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또한, ISFET (Ion-Selective Field-Effect Transistors) 와는 달리 다공질 실리콘 층은 저항이 크기 때문에 센서 제작 과정에서의 부가적인 절연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백금을 증착한 다공질 실리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로서 Polypyrrole (PPy) 필름과 생체 고분자 물질로서 Urease를 각각 전기화학적으로 흡착하였다. 다공질 실리콘 층의 형성을 위해 테플론 소재의 전기화학 전지에 불산 (49%), 에탄올 (95%), $H_2O$ 혼합 용액을 넣고 실리콘 웨이퍼에 일정시간 수 mA의 산화 전류를 흘려주었으며, 약 $200{\AA}$의 티타늄 박막과 $200{\AA}$의 백금 박막을 RF 스퍼터링하여 작업 전극을 제작하였고, 백금 박막 및 Ag를 기화 증착하여 제작한 Ag/AgCl 박막을 각각 상대 전극과 기준전극으로 하였다. 박막 전극의 표면 분석을 위해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DX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등을 이용하였다. 제작된 요소 센서로부터 요소 농도 범위 0.01 mmol/L ${\sim}$ 100 mmol/L에서 약 0.2 mA/decade의 감도를 얻었다.

  • PDF

Design of Multichannel Telemetering IC for Physiological Signals (생체 신호처리를 위한 다채널 텔레미터용 IC 설계)

  • Park, Jong-Dae;Seo, Hee-Don;Choi, Se-Gon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1 no.2
    • /
    • pp.147-154
    • /
    • 1992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of implantable 8-channel telemetering system to get physiological signals. The internal circuits of this system are designed not only to achieve as small size and low power dissipation as possible, but also to enable continuous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signals. Its main functions are to enable continuous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signals and to accomplish on-off power switching of an implantable battery by receiving appropriate command signals from an external circuit. To integrate implantable biotelemetry system, we performed layout of internal system using Lambda based $2{\mu}m$ n-well design rules. This system, used together with appropriate sensors, is expected to be capable of measuring and transmitting such significant parameters as pressure, pH, and temperature.

  • PDF

High-k 감지막 평가를 통한 고성능 고감도 Electrolyte-insulator-semiconductor pH센서 제작

  • Bae, Tae-Eon;Jang, Hyeon-Jun;Jo, W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447-447
    • /
    • 2012
  • 최근 생물전자공학에서 의료 산업 환경 등 많은 분야에 응용 가능한 바이오센서의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 중 의료 분야에서, 수소이온 ($H^+$)의 농도 감지는 인간의 질병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며 이러한 수소이온 ($H^+$) 농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해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pH 센서가 제안되었다. Ion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ISFET), electrolyte-insulator-semiconductor (EIS)는 대표적인 반도체 pH센서로, 작은 소자 크기, 견고한 구조, 빠른 응답속도와 CMOS 공정과의 호환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EIS는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감지막의 감지 특성 평가가 용이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pH 센서이다. 센서의 감지 특성을 평가함에 있어 감지막의 감지감도와 안정성이 우수해야 하며 이를 위해 high-k 물질이 감지막으로 사용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high-k 물질은 기존의 $SiO_2$$Si_3N_4$를 대신하여 높은 유전상수로 인한 고성능, 고감도 센서제작을 가능케 한다. 본 연구에서는, high-k 물질인 $HfO_2$, $Ta_2O_5$, $ZrO_2$, $Al_2O_3$를 각각 $SiO_2$ 완충막에 적층한 이단 감지막을 제작하였고, 그 특성을 기존의 $SiO_2$, $Si_3N_4$ 감지막의 감지특성과 비교하였다. pH 감지 특성을 평가해 본 결과, 기존의 $SiO_2$, $Si_3N_4$ 감지막과 비교했을 때 high-k 물질의 감지막을 갖는 EIS pH 센서에서 감지감도와 안정성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다. 특히, high-k 물질 중 $HfO_2$에서 감지감도가 다소 크게 평가되었으나, 화학적 용액에 대한 안정성은 떨어졌다. 반면에 $Al_2O_3$$Ta_2O_5$은 화학용액에 대한 안정성 측면에서 최적의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high-k 물질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통하여 높은 pH 감지감도뿐만 아니라 우수한 안정성의 EIS pH 센서를 제작 할 수 있었다.

  • PDF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ET-Type Electrolyte Sensors by Using Sol-Gel Technique. (Sol-Gel 방법을 이용한 FET형 전해질 센서의 제작 및 특성)

  • Moon, S.Y.;Cho, B.W.;Kim, C.S.;Koh, K.N.;Sohn, B.K.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7 no.4
    • /
    • pp.243-253
    • /
    • 1998
  • PVC membrane, which has been used for membrane of electrolyte sensors, shortened sensor lifetime due to poor adhesion to sensor surface and exhibited difficulty in standardization and mass-produc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membrane solution was prepared with neutral carrier, matrix(TEOS:DEDMS=1:3), solvent(ethanol), and a catalyzer(HCl). The fabricated electrolyte sensors showed typical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MISFET (metal-insulator-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The K-, Ca- and Na-ISFETs showed sensitivity of 53, 25 and 50 mV/decade in wide concentration range, respectively. The response time was about 90 seconds and the drift was 0.05mV/hou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ol-gel method and the lift-off technique can be applied to formation of membranes and expected to improve mass-productivity, standardzation of the sens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