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PM/CS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Renal dehydropeptidase-I (DHP-I) Stability and Pharmacokinetics of DA-1131, A New Carbapenem Antibiotic

  • Kim, Ji-Young;Kim, Gye-Won;Park, Seong-Hak;We, Jeoung-Soon;Park, Haeng-Soon;Junnick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6.04a
    • /
    • pp.238-238
    • /
    • 1996
  • 각종 동물 및 인체 신장 유래 DHP-I에 의한 DA-1131, imipenem(IPM) 및 meropenem(MEPM)의 속도 상수를 측정한 결과, DA-1131은 동물종에 관계없이 가장 안정성이 큰 결과를 나타내었고, 인체 DHP-I에 대한 Vmax/Km 값이 IPM의 21.9%로 관찰되어 IPM보다 하위 기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DA-1131, IPM/CS 및 MEPM/CS의 20mg/kg투여 후의 혈중농도 반감기(T$_{1}$2/)는 각각 11.4분, 8.9분, 10.3분이었으며, 1$\mu\textrm{g}$/$m\ell$ 이상의 혈중농도룰 유지하는 시간은 66.6 분, 55.9 분, 63.1 분이었다. DA-1131, DA-l131/CS, IPM/CS, MEPM 및 MEPM/CS의 40 mg/kg 투여 후 24시간 동안의 뇨중 배설율은 57.9 %, 61.3%, 22.6 %, 11.3% 및 65.9%이었으며, 각 약물을 40 mg/kg 투여 15분 후 DA-ll3l의 폐중 농도는 11.2$\mu\textrm{g}$/g으로 DA-l131/CS, IPM/CS 및 MEPM/CS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T/P ratio도 DA-1131, DA-l131/CS, IPM/CS 와 MEPM/CS 투여군에서 거의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장중 농도는 DA-1131 과 DA-l131/CS의 경우 29.l$\mu\textrm{g}$/g 및 34.2$\mu\textrm{g}$/g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IPM/CS, MEPM 및 MEPM/CS 투여군에 비하여는 높은 결과로 나타났고 T/P ratio도 DA-1131과 DA-l131/CS 투여군이 IPM/CS, MEPM 및 MEPM/CS 투여군보다 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Comparison of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Pharmacokinetics of New Carbapenem Derivatives, CRB 529 and CRB 550, in Mice and Rats (신규 Carbapenem 유도체 CRB 529 및 CRB 550의 생체내 항균효과와 약물동태의 비교)

  • 김준겸;민관기;이주몽;이홍우;김정우
    • YAKHAK HOEJI
    • /
    • v.39 no.4
    • /
    • pp.360-366
    • /
    • 1995
  • 1-$\beta$-Methyl carbapenem-2-substituted pyrroudine derivatives. CRB 529 and CRB 550, were synthesized as investigational carbapenem derivative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compounds against G(+) and G(-) bacteria were almost the same or more effective than those of imipenem (IPM) and meropenem (MEPM), and also showed better in vivo efficacy than MEPM and inlipeneni/cilastatin (IPM/CS) against representative G(-) organisms, P. aeruginosa and MRSA organisms, S. aureu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pharmacokinetics and protective efficacy of IPM/CS and CRB 529 and CRB 550 wereconducted after subcutaneous 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to mice and rats.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CRB 529 and CRB 550 in mice were as follows: the observed maximal serum concentrations (C$_{max}$) following I.V. administration were 87.5 and 101 $\mu\textrm{g}$/ml for CRB 529 and CRB 550, respectively, and 63.6 $\mu\textrm{g}$/ml for IPM/CS. The half-lives (t$_{1/2}$) were 14.0 and 12.0 n-dn for CRB 529 and CRB 550, respectively, and 14.8 min for IPM/CS. In rats, $C_{max}$ after I.V. administration were 74.0 and 91.8 $\mu\textrm{g}$/ml for CRB 529 and CRB 550, respectively, and 41.2 $\mu\textrm{g}$/ml for IPM/CS. The tissue levels of CRB 529 and CRB 550 and IPM/CS after I.V. administration at a dose of 20 mg/kg decreased by the following order: lung, heart, kindney, liver and spleen for CRB 529, lddney, liver. lung, heart and spleen for CRB 550 and kidney, lung, liver, heart, spleen and brain for IPM/CS. In systemic infection, CRB 529 and CRB 550 showed excellent efficacies against P. aeruginosa and S. aureus (MRSA) at a dose of 5 mg/kg. The PD$_{50s}$ were 0.80, 0.36 mg/kg for CRB 529 and CRB 550, respectively, and 3.22 mg/kg for IPM/CS against P. aeruginosa. The corresponding values against S. aureus (MRSA) were 76.0, 55.3 mg/kg for CRB 529 and CRB 550, respectively, and 146 mg/kg for IPM/CS. In local infection,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RB 529 and CRB 550 were more effective than those of IPM/CS against intrarenal infection with E. coli and P. aeruginosa and also showed as effective as IPM/CS against respiratory tract infection with E. coli and P. aeruginosa at a dose of 5 mg/kg.

  • PDF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y of DA-1131, A New Carbapenem Antibiotic

  • Kim, Ji-Young;Kim, Gye-Won;Park, Seong-Hak;Im, Weon-Bin;Chang, Min-Sun;Junnick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6.04a
    • /
    • pp.240-240
    • /
    • 1996
  • 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loacae, Proteus mirabilis 및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한 mouse 복강내감염증에 대하여 DA-1131은 IPM/CS와 MEPM/CS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백혈구감소 mouse에서의 P. aeruginosa에 의한 복강내감염증에 대하여도 DA-1131은 IPM/CS와 MEPM 및 MEPM/CS보다 동등 이상의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K. pneumoniae를 감염균으로 한 mouse 호흡기감염 후 생존율 평가 시험에서 DA-1131 투여 mouse는 IPM/CS 및 MEPM/CS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동시에 MEPM/CS와 유사한 폐내 생균수의 감소 pattern이 확인되었으며, IPM/CS에 비하여 균의 재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P. mirabilis에 의한 mouse 요로감염증에서는 DA-1131 투여군의 신장내 생균수감소는 MEPM/CS와 동등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IPM/CS에 비하여는 매우 우수하였다.

  • PDF

Pharmacokinetics of Carbapenem Antibiotics in Rats and Guinea pigs

  • Nam, Kweon-Ho;Chang, Woo-Ik;Park, Moon-Jung;Kim, Ji-Yeon;Park, Nam-Jun;Yu, Youn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6.04a
    • /
    • pp.228-228
    • /
    • 1996
  • 1, 흰쥐에서 IPM 단독투여시보다 DHP-I 저해제인 CS와의 병용투여시 AUC가 4배 이상, t$_{1}$2/가 약 3배 증가하였으며 MEPM의 경우는 AUC가 5배 이상, t$_{1}$2/가 약 1.8배 증가하였다. 2. Guinea pig에서 IPM 단독투여시보다 CS와의 병용투여시 AUC가 약 2.5배, t$_{1}$2/가 약 1.4배 증가하였으며 MEPM의 경우는 AUC, t$_{1}$2/ 모두 거의 변함이 없었다. 3. 위의 결과 흰쥐에서 IPM과 MEPM에 대한 CS의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약물동력학적인 파라메타에도 커다란 변화를 주었다. 반대로 Guinea Pig에서는 CS의 병용투여로 IPM의 AUC에만 변동을 주었을 뿐 t$_{l}$ 2/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MEPM의 체내동태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Guinea pig에서 전체 투여량에 대한 MEPM의 요중회수율은 66.58$\pm$3.44%이었고 IPM의 경우는 7.00$\pm$0.95%이었다. 그러나 DHP-I 저해제인 CS와의 병용투여시 IPM의 요중회수율이 57.77$\pm$11.46%로 증가하여 MEPM과 거의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이는 guinea pig에서 DHP-I에 의한 IPM의 대사가 CS에 의해 차단됨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사료되며 guinea pig에 존재하는 DHP-I은 MEPM보다 IPM에 대해 더 높은 친화도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5. Carbapenem계 항생제의 약물동력학적 스크리닝을 위한 소동물로는 흰쥐보다도 guinea pig가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나 동물종차에 의한 약물동력학적 연구 및 DHP-I의 활성에 대한 연구가 더 면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BO-2727, panipenem, biapenem 등 다른 carbapenem 항생제에 대한 광범위한 약물동력학적 연구가 진행되어 새로운 carbapenem계 항생제 개발에 따른 인체내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치적의 실험동물모델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 PDF

Comparativ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DA-1131, A New Carbapenem Antibiotic(I)

  • Kim, Gye-Won;Chang, Min-Sun;Lee, Kyung-Won;Chong, Yun-Sop;Junnick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6.04a
    • /
    • pp.232-232
    • /
    • 1996
  • DA-1131은 gram positive bacteria와 Pseudomonas aeruginosa를 포함한 gram negative bacteria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 spectrum과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각종 임상분리균주에 대한 항균력 시험 결과, gram positive bacteria 중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에 대하여는 DA-1131이 가장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methicillin-susceptible S. aureus(MSSA)에 대하여는 MEPM, CPR 및 CAZ보다 약 2-50배의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IPM/CS보다는 동등이하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Gram negative bacteria에 대하여는 IPM/CS, CAZ 및 CPR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어 0.2 $\mu\textrm{g}$/$m\ell$ 이하의 농도에서 91%의 Serratia marcescens, 89%의 Proteus mirabilis, 76%의 Morganella morganii 및 시험에 사용된 Enterobacteriaceae에 속하는 전균주의 생육이 억제되었다. P. aeruginosa 에 대하여 DA-1131은 1.56 $\mu\textrm{g}$/$m\ell$ 이하의 농도로 시험균주 전체의 생육을 저해하였으며, MEPM의 약 2배, IPM/CS의 약 4배의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CAZ에 내성인 Enterobacteriaceae 임상분리균주에 대한 DA-1131의 항균력은 CAZ 감수성균주에 대한 항균력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LINICAL OBSERVATIONS ON MANDIBULAR CHRONIC OSTEOMYELITIS - COMBINATION THERAPY OF DECORTICATION AND INTRA-ARTERIAL INFUSION CHEMOTHERAPY - (만성경화성 하악골골수염의 임상적검토 - 외측피질골제거술 및 동주요법(국소화학요법) 병용의 증례에 관하여 -)

  • Yuichiro, Kuroiwa;Hiroaki, Matsuura;Atsushi, Abe;Mugio, Kato;Yoshiko, Ariji;Kenichi, Kurit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v.34 no.3
    • /
    • pp.350-354
    • /
    • 2008
  • Mandibular chronic osteomyelitis with diffuse osteosclerosis is recognized as an intractable infectious disease. We emplyed decortication and intraarterial infusion of antibiotics in 6 cases. Decortication on the affected mandible was performed with retrocatherization to the superficial temporal artery of affected side under general anesthesia. Antibiotics, IPM/CS or FOMX was used through the artery for 4-11 days. In addition, we administered FOMX, PIPC intravenously for 8-17 days. CT and MRI were taken postoperatively. The postoperativ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1 year and 6 months to 2 years and 5 months. Postoperative MR showed that bone marrow signal was recovered to approximately normal in 4 cases. High signal area of bone marrow and osteosclerosis image remained in 2 cases, but showed improvement. The results were satisfactory without recurrence in all of 6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