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Q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33초

Fast Foods의 이용실태조사 및 영양밀도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시내 남여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Nutrient Density for Fast Foods Selec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김초영;남순란;곽동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61-369
    • /
    • 1990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nutritional balance for fast foods selec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INQ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A thousan students that is 0.09% of the popula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surveyed from January 21 to February 10 in 1989. A total of 835 subjects excluding incomplete answer were analyzed. All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Fifty kinds of fast foods were analyzed for nutrient values calculation. INQ and % of std. values of selected fast food combination were calculated, and % of std. were charted with each first letter of menu items by using GW-BASIC program. Satiety of fast foods was low in hamburger and pizza chain, high in noodle chain. 66.3% of the subjects ate fast foods snack, 29.2% for meals and 6% for beverages. Protein content of hamburger sold in Korea by American brand name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ata published in the U.S. for the same brand's menu item. As a result of INQ evaluation, the desirable case of both 'nutritious' and 'fitness for a meal' was only appeared in selecting several menu items at once. A total of 59% of combined fast foods surveyed were revealed as 'nutritious'. Both 'nutritious' and 'fitness for a meal' was 10.4% and 'nutritious' was 48.6%, 'Unfitness for a meal' but 'nutritious' was 48.6% and 'undernutritious' was 37%. Thus a total of 85.6% was 'unfitness for a meal'. 'Undernutritious' but 'fitness for a meal' was 3.5%

  • PDF

노인단독가구와 자녀동거가구 농촌노인의 건강관련 행동, 식행동 및 영양소섭취 적정도 비교 (Comparing Health-related Behaviors, Food Behaviors, and the Nutrient Adequacy Ratio of Rural Elderly by Single-elderly Families vs. Extended Families)

  • 김창임;박영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07-315
    • /
    • 2000
  • The aim t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mily type on the health-related behavior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adequacy ratio of the elderly. Studies were performed on 109 home-bound elderly in a rural area of Asan city, in 1996.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ir family type, one was single-elderly family(n=58) and the other was extended family(n=51). The results obtained by questionaires and personal interviews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68.6. They served in primary industry, and 89.1% of responders received less than a primary school educ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family type. 2) Single-elderly family members themselves felt more negative about their health than extended family members. 3)Each nutrient adequacy ratio of single-elderly family/extended family members was 0.72/0.76 of energy, 0.73/0.76 of protein, 0.59/0.66 of Ca, 0.98/0.99 of Fe, 0.62/0.74 of vitamin A, 0.86/0.87 of thiamin, 0.72/0.73 of riboflavin, 0.71/0.77 of niacin, 0.90/0.91 of ascorbic acid, and 0.76/0.80 of Mar. The NAR of vitamin A of the single-elderly family memb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for extended family members(p〈0.05). Energy, protein, Ca, vitamin A, riboflavin showed insufficient intake for both groups. The percentage of INQ〈1 of the single-elderly family/extended family members was 45.6/51.0 of protein, 66.7/66.7 of Ca, 64.9/56.9 of vitamin A. By NAR and INQ, the most insufficient nutrient to the elderly in this rural area was Ca. We there for suggest that it is needed for elderly in rural areas to receive of food that is higher ING of Ca.

  • PDF

익산시와 서울시 여고생의 식습관 및 영양 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ietary Behaviors and the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Girls in Iksan and Seoul City)

  • 김인숙;이윤희;김희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9-148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girls in Iksan and Seoul cities. The subjects consisted of 122 students in Iksan city, and 136 students in Seoul city.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eat meals irregularly was higher in Iksan ($94.8\%$) than in Seoul ($80.9\%$).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skip meals was also higher in Iksan ($61.5\%$) than in Seoul ($56.6\%$), and most of them ($69.7\%$) skipped breakfast, even thought they thought that it was the most important meal ($86.4\%$). The subjects tended to overeat at lunch ($41.9\%$) and dinner ($55.4\%$). The main reasons that the subjects skipped a meal were a lack of time (50.7%) and poor appetites ($23.7\%$). Most of the subjects ($57.4\%$) had tried to control their body weight by taking drugs ($40.5\%$), doing exercise ($34.5\%$), and controlling their diet ($25\%$). The average intake of nutrients and energy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p<0.01) in Iksan than in Seoul. The intake was below the RDA recommendations except for phosphorus in I ksan, but was above it except for calcium, iron, and vitamin B2, in Seoul. The indexes of nutritional quality (INQ) of calcium (0.5), iron (0.6), vitamin A (0.8), vitamin B2 (0.7), niacin (0.9), and vitamin C (0.9) were under 1.0 but those of protein (1.0), phosphorus (1.2) and thiamin (1.0) were over 1.0. The INQ of the other nutrients, except protein and vitamin 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eoul than in Iksan.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 여부와 치료 유무에 따른 식생활 평가 :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Assessment of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Korean Adults in Metabolic Syndrome Patients According to Taking Medical Care: Based on the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주희;최경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1-340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established a practical direction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by evaluating the health status, nutrition intake level, and diet quality according to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drug treatment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data from the 2017 KNHAN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analyzed. The analysis included 2,978 adults, classified into the normal, metabolic syndrome (MetS), metabolic syndrome with medicines (MetS-M), and without medicines (MetS-noM) groups. The nutrient intake, NAR (nutrient adequacy ratio), INQ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and DDS (dietary diversity score)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BM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tS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for all subjects. Subjects of the MetS group tended to consume less energy and major nutrients, while males aged 50 ~ 64 and all females showed less intake of nutrients in the MetS-M group. The energy intake ratio was within 55 ~ 65 : 7~ 20 : 15 ~ 30 of KDRI (Korean Dietary Recommended Intake), but the carbohydrate energy ratio of all subjects aged 50 to 64 was over 65%. The NAR of the major nutrients was lower in the MetS-M group, the average INQ was around 0.8, especially the INQ of calcium and vitamin A was less than 1, and the total DDS score was less than 4 point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differed among subjects diagnos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managed with medical care. The intakes of energy and many nutrients, the quality of diets, and the diversity of food groups in the MetS-M group were lower than in the normal group. Therefore, these will be an important basis for establishing a specific direction of diet education for preventing and managing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gender, age, metabolic syndrome, and drug treatment.

농촌지역 주민의 영양섭취 실태 조사 (I) -지역별.연령별 영양섭취 실태 비교-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of the Rural People in Korea- Comparison of the Nutritent Intake by Areas and Age -)

  • 이정숙;유춘희;박송이;한귀정;이상선;문현경;백희영;신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9호
    • /
    • pp.1468-1480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intake of people in rural areas using 24-hour recall method. Kyungki Yeoju, Kangwon Whengsung, Chungbuk Chungju, Kyungnam Ulju, and Junbuk Jungup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daily energy intake was 2055.7kcal for male, 1703.2kcal for female. Fat intake were 43.0g for male, 32.7g for (female and protein intake was 74.5g for male 61.5g for female. Nutrient intake of Ulju residents were the highest and that of Whengsung and Yeoju residents were the lowest. Nutrient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in elderly over 70 years. 2) Nutrients consumed below 80% of Korean RDA were Ca, Vit A, riboflavin and Vit E. Ulju residents consumed significantly higher protein, Ca, P compared to other area residents. P, Fe, Vit C intake of adults m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elderly over 80 years. Vit A, thiamin and riboflavin consumption of adults female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elderly over 80 years. Ca, Vit A, riboflavin and Vit I were consumed below the Korean RDA in both male and female. 3) Average CPF ratio of energy intake was 69.2 : 14 : 16.8. Energy intake ratio from carbohyd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Ulju residents compared to Yeoju and Jungup residents. Energy intake ratio from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Ulju area than the other areas. Carbohydrate dependency was increased with age, meanwhile fat dependency was decreased with age. 4) The mean adequacy ratio(MAR), an index of overall dietary qua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reas : the highest was 0.81 in Ulju, the lowest was 0.65 in Whengsung. Adults of 20-49 years showed the highest MAR of 0.76 and the lowest MAR was 0.52 in over 80 years group. The indexes of nutritional quality(INQ) was higher in 01;u area than the other areas, and INQ showed the tendency to decrease with increasing age. Espec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in INQ of all nutrients except Vit A with ag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vident that people in rural area did not consume enough nutrients. Specially, dietary intake of Vit A, Vit B$_2$, Vit E and Ca were not adequate. (Korean J Nutrition 31(9) : 1468-1480, 1998)

  • PDF

한국인 성인 남녀에서 허리 둘레 기준 복부비만에 따른 영양섭취상태 평가: 2010-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based on waist circumference in Korean adults: Based on 2010-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명성;권대철;배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6호
    • /
    • pp.403-415
    • /
    • 2014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에서 성별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복부비만 여부에 따른 혈액지표, 생활습관, 식사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을 분석한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허리둘레 기준 복부비만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사적 지표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당 및 혈압)가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 허리둘레 기준 복부비만군에서 비타민 $B_2$, 칼슘, 인 및 칼륨 등 미량영양소 섭취의 질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식품 섭취의 다양성을 의미하는 식품군 점수 및 총 식품점수도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여성의 경우 식품 섭취의 다양성 (총 식품점수)이 증가할수록 허리둘레 기준 복부비만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만의 관리 및 예방을 위해 영양소의 과부족이 없고 미량영양소의 적절한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식품의 섭취를 권장할 수 있는 근거자료 및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강릉지역 중학생의 영양소 섭취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angneung)

  • 김복란;조영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39-746
    • /
    • 2001
  •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중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남녀 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3일간 식사기록법을 이용하여 식이섭취를 조사한 후 1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을 파악하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영양소 섭취를 기준으로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하루 평균 에너지 섭취는 2114$\pm$502 kcal로 남학생은 2256$\pm$608 kcal 여학생은 1961$\pm$548 kcal로 조사되었으며 열량에 기여하는 탄수화물 : 단백질: 지질의 비율은 남학생이 61.3:16.8:21.9 여학생은 61.8:16.2:22.0으로 나타났다. 단백질은 71.7 g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중 동물성 식품으로 45.8%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질적으로 우수함을 알수 있었다. 영양권잘양 대비 영양소별 섭취량은 단백질 인, 비타민 B$_1$나이아신, 비타민 C는 권장량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칼슘, 철분, 비타민A, 비타민 B$_2$는 권장량에 미달되었으며 칼슘 철분은 권장량의 75% 이하였다. 특히 칼슘은 47.3%로 칼슘 결핍 현상이 우려되는 수준이었으며 모든 영양소에 남년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섭취량을 권장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NAR은 모든 영양소에서 1보다 적게 나타났다. 특히 칼슘은 0.45로 심각성을 여실히 드러냈으며 비타민A는 0.59 철분은 0.54로 낮은 값을 나타냈고 비타민 A는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에너지 섭취 차이를 고려한 영양의 질적지수인 INQ 값은 단백질, 인, 비타민B$_2$는 1보다 낮아 에너지 섭취가 충분하더라도 영양부족인 것으로 조사되어 대상자들의 영양결핍 현상이 우려되며 그 개선안이 시급할것으로 생각된다. 영양권장량의 75% 이상 섭취한 집단에서 INQ값은 칼슘과 비타민 B$_2$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1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고 권장량의 50% 미만을 섭취하는 경우는 모든 영양소에서 1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칼슘, 철분과 비타민 A는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일부 청소년 중학생들은 칼슘, 철분, 비타민 A 그리고 비타민 B$_2$의 섭취가 권장량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칼슘과 철분의 섭취량은 심히 낮아 청소년들의 성장과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 영양소에 대한 식생활의 영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다목적 PSO 알고리즘을 활용한 SWAT의 자동보정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multi-objective PSO algorithm for SWAT auto-calibration)

  • 장원진;이용관;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9호
    • /
    • pp.803-812
    • /
    • 2018
  • 본 연구는 다목적함수를 고려한 입자군집최적화(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 알고리즘을 Python으로 개발하고,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에 적용하여 자동보정 알고리즘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SWAT 모형의 유출 해석은 안성천의 공도 수위 관측소 상류유역($364.8km^2$)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공도 지점의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일 유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PSO 자동보정은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평균제곱근오차(RMSE), NSE 모형효율계수(Nash-Sutcliffe Efficiency, $NSE_Q$), 특히 중간유출과 기저유출의 보정을 위해 $NSE_{INQ}$ (Inverse Q)를 활용하여 SWAT을 보정하였다. PSO을 통한 SWAT 모형의 자동보정과 수동보정의 유출해석 결과, 각각 $R^2$는 0.64, 0.55, RMSE는 0.59, 0.58, $NSE_Q$는 0.78, 0.75, $NSE_{INQ}$는 0.45, 0.09의 상관성 분석결과를 보였다. PSO 자동보정 알고리즘은 수동보정에 비하여 높은 향상을 보였는데 특히 유출의 감수곡선을 개선시켰으며 적절한 매개변수 추가(RCHRG_DP)와 매개변수 범위의 설정으로 수동보정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고학력 중년 여성의 취업 여부에 따른 영양섭취 실태 비교

  • 최지현;정영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73-1074
    • /
    • 2003
  • 본 연구는 고학력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 여부에 따른 영양섭취 상태의 차이를 분석하여 고학력 중년 여성의 영양 및 건강관리를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선정은 유의추출 방법으로 전업 여성은 고학력자 비율이 높은 대전시의 일정 지역에 거주하는 기혼여성으로 하였고, 취업여성은 여러 직업의 특성으로 인한 교란(confounding)을 줄이기 위하여 고학력 여성의 비율이 높은 기혼의 교사로 한정하였다. 연령에 의한 교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령대별로 동일 비율로 무작위 추출하여 전업여성 250명, 취업여성 236명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 전일 하루동안의 식이 섭취 내용을 개별 면담으로 조사하였다. 1일 영양소 섭취 조사 결과 취업여성은 전업여성에 비해 인, 비타민 B$_1$, B$_2$를, 전업여성은 취업여성에 비해 지방 및 동물성 지방, 나트륨, 비타민 C, 엽산을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P/M/S비는 전업여성 1/1.19/1.05, 취업여성 l/l.05/0.87로 나타나 취업여성이 전업여성에 비해서, 그리고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기준(1/1/1)에 비해서 포화지방의 비가 낮았다. 또한 지방 에너지 구성비도 전업여성(24.38%)이 취업여성(23.29%)에 비해 높았고, 총 열량에 대한 동물성 지방의 섭취비율이 전업여성 12.44%, 취업여성 11.46%으로 나타나 전업여성이 취업여성에 비해 동물성 지방, 포화지방비, 지방에너지 구성비가 모두 높았다. 영양권장량에 대한 영양소 섭취 백분율에서 전업여성과 취업여성 모두 칼슘과 아연을 권장량에 비해 낮게 섭취하고 있었고, 질적 영양지수(INQ)도 두 군 모두에서 칼슘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인의 영양밀도(Nutrient Density)가 취업주부에서 높았던 점 외에는 영양밀도와 영양소 적정섭취비(NAR) 모두에서 비타민 B$_1$, B$_2$가 전업여성에 비해 취업여성이, 비타민 C가 취업여성에 비해 전업여성이 더 높았다. 한편 두 군 모두 INQ가 가장 높은 영양소는 인이었고, INQ가 가장 낮은 영양소는 칼슘으로 나타났으며, INQ가 1 미만인 영양소는 칼슘과 함께 철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45세 이상 여성의 경우 관절염, 요통.좌골통, 디스크 등 근골격계질환 유병률이 남자보다 3배정도 높게 나타난 결과에 비추어볼 때 이들 관련 영양소에 대한 섭취 방안 지도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고학력 중년 여성중 전업여성에 대해서는 지방 특히 동물성 지방 식품 섭취에 대한 적절한 영양교육과 식사관리 지도가 요구된다 하겠다. 또한 고학력 중년 여성은 취업 여부에 관계없이 칼슘과 철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 식사량을 증가시켜 주는 영양 지도 및 영양 보강 대책이 요구되며, 칼슘과 인의 적정섭취비가 되도록 인의 섭취를 낮추는 식생활 지도가 필요하다.

  • PDF

계층적인 퍼지추론 기법을 기반으로 한 영양상태 분석시스템 (A Nutrition Status Analysis System Based on Hierarchical Fuzzy Inference Approach)

  • 손창식;정구범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731-73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인 퍼지추론 기법을 기반으로 한 영양상태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 계층적인 퍼지 추론 기법은 각 개인의 비만정도와 과거의 영양상태 그리고 식습관 패턴으로부터 영양상태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또한 계층 퍼지추론 시스템에서 각 계층의 추론결과들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전 계층으로부터 얻은 비퍼지화된 추론결과들의 통계적인 정보를 사용하여 다음 계층의 퍼지 소속구간들의 선택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효과성을 보이기 위해서, 65세 이상의 노인 113명의 신체계측 정보와 생화학적 검사로부터 획득한 정보 그리고 영양 밀도 지수(INQ)로부터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