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1{\alpha}$

검색결과 2,912건 처리시간 0.028초

Isoliquiritigenin attenuates spinal tuberculosis through inhibiting immune response in a New Zealand white rabbit model

  • Wang, Wenjing;Yang, Baozhi;Cui, Yong;Zhan, Yi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2권4호
    • /
    • pp.369-377
    • /
    • 2018
  • Spinal tuberculosis (ST) is the tuberculosis caused by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infections in spinal curds. Isoliquiritigenin (4,2',4'-trihydroxychalcone, ISL) is an anti-inflammatory flavonoid derived from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a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otential of ISL in treating ST in New Zealand white rabbit models. In the model, rabbits (n=40) were infected with Mtb strain H37Rv or not in their $6^{th}$ lumbar vertebral bodies. Since the day of infection, rabbits were treated with 20 mg/kg and 100 mg/kg of ISL respectively. After 10 weeks of treatments, the adjacent vertebral bone tissues of rabbits were analyzed through Hematoxylin-Eosin staining. The relative expression of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CCL2), transcription factor ${\kappa}B$ ($NF-{\kappa}B$) p65 in lymphocytes were verified through reverse transcription quantitative real-time PCR (RT-qPCR), western blotting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 The serum level of interleukin (IL)-2, IL-4, IL-10 and interferon ${\gamma}$ ($IFN-{\gamma}$) were evaluated through ELISA. The effects of ISL on the phosphorylation of $I{\kappa}B{\alpha}$, $IKK{\alpha}/{\beta}$ and p65 in $NF-{\kappa}B$ signaling pathways were assessed through western blotting. In the results, ISL has been shown to effectively attenuate the granulation inside adjacent vertebral tissues. The relative level of MCP-1, p65 and IL-4 and IL-10 were retrieved. $NF-{\kappa}B$ signaling was inhibited, in which the phosphorylation of p65, $I{\kappa}B{\alpha}$ and $IKK{\alpha}/{\beta}$ were suppressed whereas the level of $I{\kappa}B{\alpha}$ were elevated. In conclusion, ISL might be an effective drug that inhibited the formation of granulomas through downregulating MCP-1, $NF-{\kappa}B$, IL-4 and IL-10 in treating ST.

Macrophage activation by glycoprotein isolated from Dioscorea batatas

  • Huong, Pham Thi Thu;Jeon, Young-Ji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167-172
    • /
    • 2011
  • We demonstrate that glycoprotein isolated from Dioscorea batatas (GDB) activates macrophage function. Analysis of the infiltration of macrophages into peritoneal cavity showed GDB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cruitment of macrophages into the peritoneal cavity. In order to further confirm and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GDB on macrophage activation, we analyzed the effects of GDB on the cytokine expression including IL-$1{\beta}$, TNF-${\alpha}$, and IL-6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GDB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L-$1{\beta}$, TNF-${\alpha}$, and IL-6. Cytokine induction by GDB was further confirmed by RT-PCR and ELISA in mous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cells. Treatment of RAW264.7 cells with GDB produced strong induction of NF-${\kappa}B$ DNA binding and MAPK phosphorylation, markers for macrophage activation and important factors for cytokine gene expression. Collectively, this series of experiments indicates that GDB stimulates macrophage activation.

The inhibitory effects of Gami-Phedoc-San on TNF-α, IL-1β and IFN-γ secretion from human monocytes

  • Kim Mi-Sun;Lee Eun-Hee;Choung Se-Youn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2권1호
    • /
    • pp.41-46
    • /
    • 2002
  • In our study, the several cytokines were determined in phytohaemagglutinin (PHA)-stimulate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of Adamantiades-Behcets patients. Adamantiades-Behcets disease (ABD) is a systemic inflammatory disorder and might involve immune dysfunction. High levels of $TNF-\alpha,\;IL-1\beta$ and $IFN-{\gamma}$ indicate the activation of inflammatory reactions and immune system in ABD. Gami-Phedoc-San (GPS) is an Oriental herbal medication, which has been used in Korea for the treatment of ABD. GPS (1 mg/ m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and\;IL-1\beta$, compared to absence of GPS (by $50.5{\pm}1.9%$ inhibition for $TNF-\alpha$ and $106.9{\pm}16.8%$ for $IL-1\beta$). GPS also inhibited the production of $IFN-\gamma$, immunoregulatory Th1 cytokine, by $78.4{\pm}2.8%$. The inhibitory effects of GPS on cytokine secretion showed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pre-treatment of 1 mg/ml GPS had better effects than immunosuppressive drug for treatment of ABD, cyclosporin A. Our results suggest that GPS treatment for ABD patients might hav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through the cytokine modulation.

연교약침액(連翹藥鍼液)이 기관지(氣管支) 상피세포주(上皮細胞注)에서 TNF-${\alpha}$ 및 IL-4에 의한 케모카인 발현(發顯)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harmacopuncture of Forsychiae fructus on the chemokines expressions induced by TNF-${\alpha}$ and IL-4 in A549 cell)

  • 황진영;김이화;김희택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5권1호
    • /
    • pp.131-138
    • /
    • 2008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폐열해수, 장열번갈, 습열사리, 황달, 옹종정창등의 치료효능이 있는 연교약침액이 사람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A549에 TNF-${\alpha}$ 및 IL-4를 투여하여 나타나는 케모카인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 A549 세포주에 연교약침액을 농도별로 (0, 0.5, 1, 5, 10, 50 ${\mu}g/ml$) 전처치한 후, TNF-${\alpha}$ 및 IL-4를 투여하여 RANTES, eotaxin 및 TARC의 분비를 유도하고, 케모카인 분비량을 ELISA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연교약침액의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 유무를 관찰하고자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결과 : 연교약침액의 농도가 세포내에서 독성을 일으키는지 MTT assay로 측정한 결과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연교약침액은 TNF-${\alpha}$ 및 IL-4투여로 인하여 증가된 RANTES, eotaxin 및 TARC의 분비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관찰하였다. 결론 : 연교약침액은 천식과 알레르기 질환에 관련이 있는 케모카인의 효과적인 감소를 이끌어 냄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연교약침액이 천식 및 알레르기 환자에 대해 효과적인 임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톳 열수 추출물이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증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IL-6, TNF-α)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s on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in Mice)

  • 박현진;류혜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24-192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천연자원 식용 해조류인 톳으로부터 톳의 면역 증강효과를 알아보고자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 내(in vivo)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톳 열수 추출물을 4주간 격일로 0, 50, 500 mg/kg b.w.의 농도로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후 비장세포 증식능과 복강 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사이토카인(IL-$1{\beta}$, IL-6, TNF-${\alpha}$) 분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한 결과 두 농도 모두 Con A나 LPS로 자극 시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비장세포 증식능을 보였고, 특히 50 mg/kg b.w. 농도로 투여한 군에서 비장세포 증식능이 최대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복강 대식세포에 의한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LPS 첨가 시 IL-$1{\beta}$의 분비량은 500 mg/kg b.w.의 농도군에서 가장 높은 생성량이 관찰되었다. 이는 LPS를 투여한 군과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 모두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IL-6 분비량은 LPS 첨가 시 50 mg/kg b.w.의 농도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생성을 나타냈다. TNF-${\alpha}$의 경우는 50 mg/kg b.w.의 농도로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의 TNF-${\alpha}$가 분비되었다. 이상의 본 연구에서는 50 mg/kg b.w. 톳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비장세포 증식능과 IL-$1{\beta}$, IL-6, TNF-${\alpha}$의 분비량을 상승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톳 열수 추출물은 마우스 면역계의 조절기전에 작용하여 면역세포 활성을 직접적으로 촉진시키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 다른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면역활성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앞으로 인체에 대한 유용한 검색이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되며, 톳에 존재하는 면역활성물질의 순수 분리 및 동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고 작용 기전과 이용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주 동안의 톳 추출물 투여가 마우스의 비장세포와 Cytokine ($IL-1{\beta}$, IL-6, $TNF-{\alpha}$)의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 류혜숙;정윤희;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7호
    • /
    • pp.624-629
    • /
    • 2007
  • 생체 내 (in vivo) 실험에서 톳 추출물을 2주 동안 격일로 0, 50, 500 mg/kg B.W.의 농도로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후 비장세포 증식능 및 복강 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cytokine ($IL-1{\beta}$, IL-6, $TNF-{\alpha})$ 생성량을 검색한 결과 50 mg/kg B.W.과 500 mg/kg B.W.의 농도에서 Con A나 LPS로 자극 시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비장세포 증식능을 보였고 특히 50 mg/kg b.w. 농도로 투여한 군에서 비장세포 증식능이 최대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복강 대식세포에 의한 cytokine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LPS 첨가시 $IL-1{\beta}$의 분비량은 2주 경구 투여 시에 50 mg/kg B.W.의 농도군에서 가장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 이는 LPS를 투여한 군과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 모두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IL-6 분비량은 LPS 첨가시 50 mg/kg B.W.의 농도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생성을 나타냈다. $TNF-{\alpha}$의 경우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톳 열수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작용하여 사이토카인 생성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톳 추출물은 마우스 면역계의 조절기전에 작용하여 비장세포와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면역세포 활성을 직접적으로 촉진시키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 다른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면역 활성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리라 사료된다.

인진호(茵蔯蒿)가 LPS 염증유발 흰쥐의 전염증성 cytokine 생산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in Lipopolysaccharide-exposed Rats)

  • 서용석;이은;차윤엽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35
    • /
    • 2010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temisia Capilaris Thunberg in lipopolysaccharide-exposed rats. Methods : We divided lipopolysaccharide-exposed Sprague-Dawley rats into 4 groups. They were normal group, feed with 100 mg/kg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group, feed with 200 mg/kg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group and feed with 300 mg/kg Artemisia capilaris Thunberg group. They were administered for 6 weeks. We measured counts of red blood cell(RBC), the values of hemoglobin(Hb) and packed cell volume(PCV), plasma total protein concentration, albumin concentration, the ratio of albumin/globulin, the activities of plasma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GPT), lactate dehydrogenase(LDH), the counts of white blood cell(WBC), the ratio of neutrophils, lymphocytes, monocytes, basophils, eosinophils, the concentration of plasma interleukin-$1{\beta}$($IL-1{\beta}$), plasma interleukin-6(IL-6), plasma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plasma interleukin-10(IL-10), the concentration of liver $IL-1{\beta}$ and IL-6, $TNF-{\alpha}$, IL-10. Results : Counts of RBC and the values of Hb and PCV, plasma total protein concentration and albumin concentration, the activities of plasma GOT, GPT and LD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eatment groups. and the ratio of albumin/globulin was increased in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groups. The counts of WBC showed lower values in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group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the ratio of neutrophils Thunberg groups. The ration of monocytes, basophils and eosinophils were below 5%, and showed no characteristic trend. The concentration of plasma interleukin-$1{\beta}$($IL-1{\beta}$), plasma inerleukin-6(IL-6) and plasma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showed a lower values in the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group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nd the concentration of plasma interleukin-10(IL-10)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eatment groups. The concentration of liver $IL-1{\beta}$ and IL-6 showed a lower values in the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group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liver $TNF-{\alpha}$ and IL-10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eatment groups. Conclusions : The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groups gives positive results of anti-inflammatory response by lipopolysaccharide(LPS) derivation.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들의 폐포대식세포의 chemokine(MIP-1, IL-8) 분비능에 관한 연구 (Chemokine Secretion From Alveolar Macrophages in Patients with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s(DILD))

  • 김동순;백상훈;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954-964
    • /
    • 1996
  • 배경: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DILD)들은 처음에 폐포염(alveolitis) 으로 시작해 섬유화로 진행하여 심한 폐기능장애를 초래하는 질병군들로서 병의 종류에 따라 침윤되는 염증세포들의 종류에 차이가 있다. 근래에 염증세포들의 침윤을 유도하는 화학주유물질들(chemokine)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화학구조에 따라 C-X-C형과 C-C형으로 분류되며, 구조만 다를 뿐 아니라 작용하는 세포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주로 분비되는 화학주유물질의 종류에 따라 폐포염의 종류가 결정이될 가능성이 많다. 이에 연구자들은 폐포염과 화학주유물질과의 연관성 및 폐포대식세포 (AM)가 이들 화학주유물질의 주 근원이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DILD 환자들에서 cytokine을 분비하여 발병기 전에 주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AM 에서의 C-X-C 형 IL-8 과 C-C 형인 MIP- 1 ${\alpha}$ 의 분비 및 BAL액내에서의 이들 화학주유물질들의 농도를 폐포염의 양상을 잘 반영한다고 알려진 BAL 액내 세포양상과 비교분석 하였다. 대상및 방법: 대상은 임상소견과 조직검사로 확진된 lPF 환자 10명, 교원성질환과 연관된 폐섬유증 환자 4명, 폐유육종중 10명과 과민성폐장염 환자 2명, 총 26명과 정상 대조군 7명이었고, 이들에서 BAL을 시행하여 그 세포구성의 변화를 관찰하고, AM을 분리배양하여 그 상청액및 BAL액에서 의 IL-8과 MIP- 1 ${\alpha}$ 의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AM 에서의 IL-8 분비는 DILD 환자들에서 $8.15{\pm}4.58$ ng/ml로 정상 대조군 ($1.10{\pm}0.93$ ng/ml)보다 유의하게 (p=0.0003) 증가하였고, AM에서 분비된 IL-8 량은 BAL액내 총세포수와 (r=0.484, p=0.0068), 또 BAL액내 dla파구의 백분률 (r=0.592, p=0.0004)및 임파구의 수효 (r=0.516, p=0.0042), AM의 백분플 (r=-0.505, 0.0032) 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AM에서의 MIP- 1 ${\alpha}$ 분비는 DILD환자군에서 ($2.41{\pm}1.45$ ng/ml) 정상인보다 ($0.63{\pm}0.30$ ng/ml, p=0.0031)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MIP- 1 ${\alpha}$ 의 분비량은 BAL액내 총세포수와 r=0.368, p=0.0456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AM의 수효와 연관이 있는 경향을 (r=0.356, p=0.0579) 보어 주었을 뿐이었다. BAL 액내의 IL-8 농도는 DILD 환자군에서 ($40.4{\pm}34.5$ pg/ml)로 정상인의 $3.90{\pm}2.47$ pg/ml보다 높았고 (p=0.0094), IL-8 농도와 BAL 액내 총 세포수(r=0.484, p=0.0068), AM의 백분율(r=-0.505, p=0.0032), 임파구의 백분율 (r=0.592, p=0.0004) 및 임파구의 수효 (r=0.516, p=0.0042) 와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IL-8 이 폐내 침윤된 염증세포의 종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BAL액내 MIP- 1 ${\alpha}$ 의 농도는 정상인과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IL-8과 MIP- 1 ${\alpha}$ 모두가 DILD의 발병기전에 작용하나, IL-8 이 폐포염의 양상을 결정하는데 더 중요한 역한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침엽수 4종 목부 정유의 항염증 효과 평가 (Anti-Inflammatory Effect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Wood of Four Coniferous Tree Species)

  • YANG, Jiyoon;CHOI, Won-Sil;KIM, Jae-Woo;LEE, Sung-Suk;PARK, Mi-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674-691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산 편백, 소나무,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목부 정유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정유는 각 수종의 목부에서 증류법(hydrodistillation)으로 추출되었다. 추출한 정유들을 GC-MS를 통해 성분 분석한 결과, 편백의 경우 ${\alpha}$-cadinol (19.25%), ${\tau}$-muurolol (14.20%) 및 ${\alpha}$-pinene (13.74%)이, 소나무는 ${\alpha}$-pinene (47.16%), longifolene (14.31%), ${\beta}$-phellandrene (11.78%) 및 ${\beta}$-pinene (11.02%)이 주요성분이었으며, 잣나무의 경우 ${\alpha}$-pinene (13.49%)와 longifolene(10.79%), 낙엽송의 경우 geranyl linalool (23.58%) 및 ${\alpha}$-pinene (18.57%)이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침엽수 목부 정유들의 항염증 효과는 LPS(Lipopolysaccharide)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BL-2H3 비만세포주에 정유를 처리한 후 IL-4(interleukin-4), IL-13(interleukin-13), ${\beta}$-hexosaminidase의 발현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평가하였다. MTT assay를 통한 세포 독성 평가 결과, 침엽수 4종 정유 모두 $10^{-7}{\sim}10^{-5}%$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염증반응이 유도된 RBL-2H3 세포에 침엽수 4종의 목부 정유를 $10^{-7}%$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LPS 처리군 대비 침엽수 4종의 목부 처리군에서 IL-4와 IL-13의 상대적 발현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beta}$-hexosaminidase 분비가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침엽수 정유 4종의 IL-4 상대적 발현량은 LPS 처리군 대비 소나무 69.6%, 잣나무 63.2%, 편백 55.1% 그리고 낙엽송 45.8% 감소하였다. IL-13의 상대적 발현량은 소나무 57.8%, 잣나무 57.1%, 편백 51.1% 그리고 낙엽송 34.5% 감소하였다. ${\beta}$-Hexosaminidase 분비의 경우 LPS 처리군 대비 편백 38.1%, 소나무 33.0%, 잣나무 27.4% 그리고 낙엽송 9.1% 억제하였다. Il-4, IL-13 및 ${\beta}$-hexosaminidase 분비를 비교한 결과, 침엽수 목부 정유 4종 중 소나무 정유의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침엽수 4종의 목부 정유는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싸이토카인의 발현 억제를 통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은화(金銀花)의 항(抗)류마티즘 효능(效能)에 대한 연구(硏究) (Effects of FLOS LONICERAE Water Extract On Anti-Rheumatiod Arthritis)

  • 김희수;기호필;이준서;윤용갑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3-199
    • /
    • 2010
  • Rheumatoid arthritis is characterized by the focal loss of cartilage due to an up-regulation of inflammatory pathways, which produc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interleukin-1beta(IL-$1{\beta}$), IL-6, tumour necrosis factor alpha(TNF-$\alpha$), prostaglandin, and nitric oxide(NO). We investigated the anti-arthritic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FLOS LONICERAE(FLWE) in vitro and in vivo. Extract inhibite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NO, IL-$1{\beta}$, TNF-$\alpha$, and prostaglandin $E_2$) an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iNOS) and cyclooxygenase-2(COX-2)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in a dose-dependent manner. FLWE also inhibited TNF-$\alpha$, IL-$1{\beta}$, IL-6, and $PGE_2$ production as well as COX activity in collagen-induced mouse arthritis. Moreover, FLWE significantly suppressed collagen-induced mouse arthrit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LOS LONICERAE may be useful for therapy against inflammatory immune diseases and rheumatoid arthritis, probably by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