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CAC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ICAC EP-7 and %RMS, Standards for Gas Flow Uniformity inside Electrostatic Precipitators (전기집진기 내부 유동 균일도 평가 기준인 ICAC EP-7과 %RMS 간 상관관계)

  • Shin, Wan-Ho;Hong, Won-Seok;Song, Dong-K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26 no.2
    • /
    • pp.234-240
    • /
    • 2010
  • Gas flow uniformity is an important factor to guarantee particle removal performance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s (EP), and the gas flow uniformity is evaluated by a fraction of standard deviation to the mean of gas flow distribution (%RMS) or a technical standard, ICAC EP-7, provided by The Institute of Clean Air Companies.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ICAC EP-7 and %RMS in evaluation of gas flow uniformity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flow velocity. The maximum values of %RMS for gas velocity distribution of normal distribution has been obtained, and the maximum values of %RMS with gas velocity distribution satisfying ICAC EP-7 standards were also evaluated. With gas flow distribution obtained from CFD analysis and physical model test of real EP, %RMS values were calculated and it was tested if those gas flow distribution satisfy the criteria specified in ICAC EP-7. The %RMS values satisfying criteria of ICAC have been appeared to have similar values with %RMS values calculated with normal distribution of gas velocities.

A Study on the Tasks and Prospect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in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 국제상사중재의 과제와 전망에 관한 연구)

  • Kim, Kwang-Soo
    •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 /
    • v.17 no.1
    • /
    • pp.217-234
    • /
    • 2007
  • 동북아시아 국가들은 세계 무역 및 투자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동북아시아 역내 및 역외 국가들과의 경제교류는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이로 인한 국제상사분쟁은 국제상사중재 등 ADR에 의해 해결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동북아시아에서 ADR 제도가 발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의 대한상사중재원, 북한의 조선국제무역중재위원회, 중국의 중국국제경재무역중재위원회, 일본의 일본상사중재협회, 러시아의 러시아상공회의소 부설 국제상사중재법정, 카자흐스탄의 카자흐스탄국제중재기관, 몽골국가중재법정 상호간의 중재 업무 전반에 관한 협력제제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국제상사중재에 관하여 동북아시아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경제자유구역 및 남북간 경제교류와 관련한 상사분쟁이 상사중재로 해결될 수 있는 법,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지난 해 한국에서는 대한상사중재원 주도하에 무역클레임 센서스가 실시되고 국제중재세미나가 개최되었으며 국제중재규칙이 제정(2007년도 2월 1일 시행 예정)된바 있다.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국제상사중재제도가 발전되고 저변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중재기관들 간의 협조체제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한국도 동북아시아의 중재허브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국제금융, M&A 등 중재 영역을 확대하고 경제자유구역 및 남북상사중재 등과 같은 새로운 영역에 대처를 잘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정부 당국의 재정적 지원과 행정적 배려도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