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geou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Species Diversity of Hypogeous Ascomycetes in Israel

  • Barseghyan, Gayane S.;Wasser, Solomon P.
    • Mycobiology
    • /
    • 제38권3호
    • /
    • pp.159-165
    • /
    • 2010
  • We conducted a species diversity study of the hypogeous Ascomycetes of Israel. The hypogeous Ascomycetes in Israel include members of the families Pyronemataceae, Pezizaceae, and Tuberaceae, which are represented by seven species: Hydnocystis piligera, Terfezia arenaria, T. claveryi, T. oligosperma, Tirmania africana, Tuber asa, and T. nitidum; only T. asa is new to Israeli mycobiota. Synonymy, locations, collection data, general distribution, distribution in Israel, descriptions, a key to identification, illustrations, and taxonomic remarks are provided.

한국산 미기록종 여름갈고리덩이버섯(Tuber aestivum subsp. uncinatum)에 관하여 (Note on Tuber aestivum subsp. uncinatum Newly Recorded in Korea)

  • 신광수;박진서;길견소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10-13
    • /
    • 1995
  • 자실체를 토양 내에 형성하는 자낭균의 일종인 덩이버섯 1 종(種)이 계룡산 국립공원에서 채집, 동정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동정된 종은 여름갈고리덩이버섯(Tuber aestivum subsp. uncinatum)으로 국내에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자실체의 크기는 $3{\sim}10\;cm$ 정도이며, 혹모양으로 매우 불규칙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다. 자낭에는 $1{\sim}6$개의 포자가 있으며, 포자표면은 침상돌기로 덮혀 있다. 상기의 표본은 건조 및 액침표본 상태로 대전대학교 미생물학과 표본실에 보관되어 있다.

  • PDF

외생균근 트러플 생산의 세계적 현황 (International Situation of Ectomycorrhizae Truffle spp. Production)

  • 장현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8권1호
    • /
    • pp.55-62
    • /
    • 2006
  • Tuber melanosporum(Perigord black truffle)와 T. aestivum(Burgundy truffle) 등 유럽의 트러플은 아주 고귀한 식품이며 세계적으로 kg당 수백 달러에 팔리고 있다. 이들 지하경 버섯은 미남중부의 산림과 공생하면서 공익을 끼친다. Tuber melanosporum(Perigord black truffle)와 T. aestivum(Burgundy truffle)은 뉴질랜드와 미국의 혼합기술결과로 제한된 범위에서 재배되어 왔다. 튜버종은 상호적으로 백색과 상록 참나무류와 헤즐럿의 기주체의 뿌리에서 외생균근으로 자란다. Tuber melanosporum(Perigord black truffle)와 T. aestivum(Burgundy truffle)은 미남중부 지역에서 환경적인 필요조건을 가지고 있다. T. melanosporum은 재배에 있어서 기후적 토양적 조건이 더욱 인위적인 조치를 많이 취하여 하므로 훨씬 고가이다.

송이생산(生産)을 지속가능(持續可能)하게 하기 위한 소나무림내(林內) 식생정리(植生整理) 작업(作業)의 경제성(經濟性) 분석(分析) (Financial Analysis of Vegetation Control for Sustainable Production of Songyi (Tricholoma matsutake) in Korea)

  • 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519-527
    • /
    • 1998
  • 우리 나라에서 송이 (Songyi, pine mushroom, matsutake, Tricholoma matsutake (S. Ito & Imai) Sing.) 생산을 지속(持續) 가능(可能)하게 하기 위한 소나무림의 하층식생 정리작업에 대한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소나무림에서만 발생하고 있는 송이는 일본(日本)에 수출되어 매년 2천만 달러~8천만 달러를 벌어들이는 산촌 농가의 중요한 소득원이다. 그러나 양성(陽性)인 소나무림이 내음성(耐陰性) 수종(樹種)의 임분(林分)으로 천이(遷移)되면서 송이생산은 차츰 줄어들 전망이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소나무림내 하층식생을 정리하면 송이 생산이 계속 증가될 수 있지만 이 작업에 투자하려는 송이 생산자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렇지만 우리의 경제성(經濟性) 분석(分析)에 의하면, 원형의 송이 균환(菌環)이 한 개 존재하고 있는 소나무임에 대한 하층식생 정리작업은 15년 동안 내부(內部) 수익률(收益率) (IRR=Internal Rate of Return)이 20.7%에 이를 정도로 수익성(收益性)이 높다. 하지만 적어도 8년 동안은 이 투자에 대한 순현재가(純現在價) (NPV=Net Present Value)가 마이너스이다. 이 작업의 경제성(經濟性)에 대한 센시티비티 분석(分析) 결과로는 토양내 송이 균환(菌環)의 수(數)가 순수익(純收益) 변동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한편, 송이 생산량은 기상조건에 따라서도 크게 변할 수 있으므로, 송이 생산자들은 이 내부수익율(內部收益率)이 하층식생 정리 작업만의 결과라고는 생각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이 분석 결과는 이 땅속 균환(菌環)의 연간 신장량에 관한 가정 (균환(菌環)신장량, 0.16m/년=균환(菌環)의 원둘레 길이 생장량, 1.0m/년)에 따라서도 바뀔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송이를 지속적(持續的)으로 생산하기 위한 식생정리(植生整理)작업의 근본적인 목표는 어찌하여서든 땅속의 송이 균환(菌環)을 계속 자라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우리는 식생정리(植生整理) 후에 땅속 송이 균환(菌環)의 행태(行態)에 관한 조사 연구가 이번 경제성(經濟性) 분석(分析)의 신뢰성(信賴性)을 높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 PDF

송이와 소나무간의 공생관계(共生關係)에서 외생균근(外生菌根)의 시(時)-공간적(空間的) 구조변화(構造變化) (Spatiotemporal change in ectomycorrhizal structure between Tricholoma matsutake and Pinus densiflora symbiosis)

  • 구창덕;김재수;박재인;가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89-396
    • /
    • 2000
  • 송이(Tricholoma matsutake, Songyi, pine mushroom)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뿌리에 공생(共生)하는가, 아니면 기생(寄生)하는가를 알기 위하여 자연산 송이 균환(菌環) 내에서 균환선단, 송이발생지점, 균환 후단으로 구분하여 채집한 송이 균근(菌根)의 시간적-공간적 구조변화를 조사하였다. 송이는 소나무의 가장 가는 뿌리에 균투와 하티그 망을 형성하는 전형적인 외생균근(外生菌根)이다. 송이 균근(菌根)의 중요한 특징(特徵)은, 공간적으로는 소나무 뿌리의 정단부가 계속 생장함에 따라 송이 균근(菌根) 또한 왕성하게 정단부로 자라나간다. 그리고 시간적으로는 이미 형성된 균근(菌根)부분에서는 표피세포와 피층세포가 하티그 망과 함께 사멸하므로 뿌리표면이 흑갈색으로 주름이 진다. 그렇지만 송이균이 피층세포 내로 들어간 흔적은 없으며, 내피세포층 이상의 안쪽, 즉 뿌리의 통도조직으로 침입하여 들어간 흔적이 없이 정단분열조직은 살아있다. 이 정단부는 송이균이 사라지면서 들어오는 새로운 균과 균근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송이와 소나무의 관계는 단순한 공생(共生)이나 기생(寄生)이기 보다는 시간(時間)과 공간적(空間的)으로 공생(共生) 지점이 뿌리의 생장과 함께 옮겨가는 다이내믹한 외생균근(外生菌根) 공생(共生)관계라고 결론 짓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