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yper-cholesterol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약물 분류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Drug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Anmol Kumar Singh;Ayush Kumar;Adya Singh;Akashika Anshum;Pradeep Kumar Mallick
    • 산업과 과학
    • /
    • 제3권2호
    • /
    • pp.8-16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인구통계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약물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약물 분류 시스템을 제시한다. 데이터 세트에는 적절한 약물을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령, 성별, 혈압(BP), 콜레스테롤 수치, 나트륨 대 칼륨 비율(Na_to_K)과 같은 속성들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델은 KNN(K-Nearest Neighbors), 로지스틱 회귀 분석 및 Random Forest이다. 하이퍼파라미터를 최적화하기 위해 5겹 교차 검증을 갖춘 GridSearchCV를 활용하였으며, 각 모델은 데이터 세트에서 훈련 및 테스트 되었다. 초매개변수 조정 유무에 관계없이 각 모델의 성능은 정확도, 혼동 행렬, 분류 보고서와 같은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GridSearchCV를 적용하지 않은 모델의 정확도는 0.7, 0.875, 0.975인 반면, GridSearchCV를 적용한 모델의 정확도는 0.75, 1.0, 0.975로 나타났다. GridSearchCV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세 가지 모델 중 약물 분류에 가장 효과적인 모델로 식별했으며, K-Nearest Neighbors가 그 뒤를 이었고 Na_to_K 비율은 결과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특징인 것으로 밝혀졌다.

Streptozotocin에 의해 고혈당을 유발시킨 흰쥐에 미치는 Atractrylodis Rhizoma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Hypoglycemic Effects of Atractylodis Rhizoma in Rats with Streptozotocin-Induced Hyperglycemia)

  • 김영희;송동근;위명복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5-134
    • /
    • 1988
  • 창출(Atractylodis Rhizoma)은 예로부터 건위목적으로 사용되어 온 생약중의 하나로서 실험동물에서는 혈당강하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정상 및 streptozotocin(SZ)으로 고혈당을 유발시킨 흰쥐를 사용하여 Atractylodes chinensis의 수용성 추출물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단기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 흰쥐에 창출의 수용성 추출물을 투여한 후 혈당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혈청cholesterol치는 일시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2. SZ로 고혈당을 유발시킨 흰쥐에 창출의 수용성 추출물을 투여한 후 1일, 3일 및 8일째는 용량 비례적으로 유의하게 혈당감소 및 혈중 insulin 농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3. SZ 투여로 인한 cholesterol수준의 증가는 창출의 수용성 추출물을 투여한 후 1일, 3일 및8일째 억제되었으며, 8일째 감소되었던 혈청 amylase 활성도는 추출물 투여 후 정상 수준에 가깝게 회복되었다. 4. 24시간 뇨량 변화에서는 창출의 수용성 추출물 투여 후 1일 및 3일째 유의한 뇨량 감소를 나타내었고, 뇨당변화에서는 3일 및 8일째 혈당 감소와 비례하여 유의한 뇨당 감소를 보여 주었다. 5. SZ 투여로 인한 간장내 glycogen 함량의 감소 및 glucose-6-phosphatase 활성의 증가는 창출의 수응성추출물 투여로 정상수준에 가깝게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창출의 수용성추출물은 정상 흰쥐의 당대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며, SZ로 고혈당을 유발시킨 흰쥐에 있어서는 혈당 조절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insulin 홀몬의 분비를 증가시켜 당대사를 촉진시킴으로서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내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에서의 UCP-1 다형성과 비만도 및 혈액 지질수치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s between UCP-1 Polymorphism and the Degree of Obesity or Plasma Lipid Profile in Prepubertal Children)

  • 오현희;신은정;이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8호
    • /
    • pp.767-775
    • /
    • 2008
  • 1) 연구대상자 중 비만아동 빈도수 분석 결과, BIA법에서는 70.0%, BMI에 의한 비만도에서는 32.7%, 신장별 체중에 의한 비만도에서는 23.6%로 BAI법에 의해 비만아동의 빈도수가 가장 많았다. 혈청 생화화적 분석 결과는 NCEP의 이상지혈증 기준 이하로 나타났다. 2) UCP-1 유전자 다형성에 의한 신체계측의 결과의 분포는 정상형과 변이형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혈중 생 화학 결과에서는 LDL (p = 0.039)과 TC (p = 0.063)이 정상형에 비해 변이형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3) LDL을 130 mg/dL 기준으로 고LDL 콜레스테롤혈증과 정상으로 나누었을 때 각각에서 UCP-1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는 고LDL 콜레스테롤혈증에서 A allele는 5.4%, G allele는 13.0%로 G allele의 빈도가 높게 분포하였고, 정상에서는 각각 94.6%, 87%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p = 0.062, ORs 2.640). LDL의 농도를 백분위수에 따라 4집단으로 나누고 UCP-1 유전자의 A allele와 G allele에서 LDL 농도의 빈도수를 나타내었을 때 G allele에서는 빈도수가 25th, 50th, 75th, 100th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r^2$ = 0.7995, p-trend = 0.032). 따라서 UCP-1 유전자 변이형은 정상형에 비해 고LDL-콜레스테롤혈증의 발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UCP-1 유전자의 다형성은 이상지혈증의 위험인자인 LDL 농도를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으로써 나타났고, 체중을 감안할 때는 이상지혈증의 위험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UCP-1 유전자 변이형을 가지는 비만아동은 고LDL-콜레스테롤혈증의 발병과 관련된 식이 및 환경적 인자를 적절히 통제하는 예방 대책을 마련하여야겠다.

농업인의 혈중 아디포넥틴, 렙틴 및 비타민 D 농도와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 (Relationships among Serum Adiponectin, Leptin and Vitamin D Concentrations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Farmers)

  • 연서은;손희령;최정숙;김은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2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rum adiponectin, leptin and vitamin D concentrations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farmers. 105 (26 males, 79 females) farmers (39~78 years, mean age $59.4{\pm}9.6$ years) in Gangwon - are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blood analysis of subjects were carried out. The prevalence of obesity, abdominal obesity, hypertension, diabetes, hypertriglyceridemia,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 LDL-cholesterolemia, metabolic syndrome were 51.9%, 65.7%, 49.5%, 15.3%, 17.3%, 13.5%, 11.5% and 40.9%, respectively. Serum adiponectin and leptin levels ($8.90{\mu}g/ml$ and 12.6 ng/ml) of fem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6.49{\mu}g/ml$ and 4.88 ng/ml) of mal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25(OH)vitamin D concentration between males (15.4 ng/ml) and females (16.9 ng/ml). In the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the adiponec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lep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ubjects without metabolic syndrome. Serum adiponectin level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HDL-cholesterol level (r = 0.325, p < 0.001), bu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riglyceride and fasting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body weight and waist/hip circumference ratio (r = -0.202 ~ -0.317, p < 0.05). Serum leptin and 25(OH)vitamin D concentra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fat (kg, %) and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r = 0.244 ~ 0.682, p < 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diponectin and leptin levels could be credible indices to predict chronic diseases in farmers. However, further research on vitamin D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another factors.

Impact of lifestyle factors on trends in lipid profiles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study, 1998 and 2010 Shin-Hye

  • Kim, Shin-Hye;Song, Young-Hwan;Park, Sangshin;Park, Mi-J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2호
    • /
    • pp.65-73
    • /
    • 2016
  • Purpose: Only a few studies have explored nationwide trends in lipid profiles among Asian adolescents. We aimed to assess trends in lipid profiles and the associated lifestyle factors among Korean children. Methods: We analyzed data for 2,094 adolescents who were aged 10-18 years and had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in 1998 and 2010. Results: During 1998-2010, the prevalence of obes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ys, but no changes were observed in girls. Over this period, there was a small but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ean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level in boys (1998, 87.5 mg/dL; 2010, 83.6 mg/dL; P=0.019) and mean triglyceride levels in girls (1998, 90.8 mg/dL; 2010, 85.8 mg/dL; P=0.020).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dyslipidemia in boys, but a modest decrease was noted in girls (1998, 25.1%; 2010, 18.3%; P=0.052). During the study period, the prevalence of breakfast skipping decreased, whereas that of regular exercise increased in both groups. Daily total energy intake did not change between these years. I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breakfast skipping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hyper-LDL-cholesterolemia in boys (odds ratio [OR], 5.77) and hypertriglyceridemia (OR, 2.27) in girls. Regular exercise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risk of hypo-HDL-cholesterolemia (OR, 0.40) in boys. Conclusion: Although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boys increased, favorable or constant trends in lipid profiles were observed among Korean adolescents during 1998-2010. Decrease in breakfast skipping and increase in regular exercise may have contributed to these trends.

한국 성인 여자에서 복부비만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 비교 -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Comparison of Chronic Disease Risk by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 Women - Using Data from the 2013~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 김미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38-945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as predicted by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 females. Data on 2,738 adult females aged 40~64 yrs was obtained from the 2013~2014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rmal (n=1,835), abdominal obesity (AO, n=73), and BMI-diagnosed abdominal obesity (BMI-AO, n=505) groups based on the NCEP-ATP III guidelines and by applying the KSSO definition regarding waist circumference. Triglyceride blood levels, fasting blood sugar level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higher in the AO and BMI-AO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The HDL-cholesterol levels of subjects in the two abdominal groups were lower as compared to those of subjects in the normal group. The mean adequacy ratio was lower among subjects in the AO and BMI-AO groups than among those in the normal group. Moreover, the NAR and INQ scores of some micro-nutrients in both of the abdominal obesity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Both the AO and BMI-A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isks of hypertriglycemia, hyperglycemia, hypertension, hypoHDL-cholesterolemia, and metabolic syndrome than were shown by the normal group. Notably,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AO group showed higher risk of hypercholesterolemia, hyperLDL-cholesterolemia, hypertriglycemia, and metabolic syndrome than did the BMI-AO group.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prevention programs including programs for those with abdominal obesity despite their having a BMI within the normal range.

경기도 농촌형 초등학교 어린이 대상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Effects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gi-do Rural Area)

  • 임재연;나혜복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nd evaluate the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rogram consisted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physical exercise. The subjects composed of 89 school children, first through sixth grade (n = 100), who had completed ten weeks of health education program from April through July 2010. Pre-post intervention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program effectiveness. After completing health education program, the number of overweight subjects decreased (boys 13 to 11 and girls 11 to 9) and the number of obese subjects decreased from 5 to 4 for boys and 4 to 2 for girls The number of sit-up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1-2 grade girls and 3-4 grade girls. Backward trunk extension of 1-2 grade girl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The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decreased from 171.8 mg/dL to 153.5 mg/dL (p < 0.001). Hypercholesterolemia (above 239 mg/dL), hyperLDLcholesterolemia (above 175 mg/dL) and low level hemoglobin subjects changed to normal levels. Total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increased from 5.9 to 6.1 (p < 0.05), percentage of perception answers increased significantly in 5 out of 10 items and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creased significantly in 6 out of 10 items (p < 0.05). Three food habits improved, including, "having breakfast", "having diverse foods" and "having vegetables per meal" (p < 0.05). Two self-efficacy items improved significantly, including, "having meals slowly", "having exercise instead of watching TV or computer"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luding nutritional education and physical exercise may be effective to improve their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physical fitness, hyperlipidemia, nutrition knowledge, food habits and self-efficacy.

비만 또는 고혈당 증상 보유에 따른 대사성증후군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 비교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in Subjects with Obesity or Hyperglycemia Classified Metabolic Syndrome)

  • 박정아;윤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8호
    • /
    • pp.672-681
    • /
    • 2005
  • Metabolic syndrome (MS) was defined as condition in which the subjects have two or more abnormalities among obesity, hyperlipidemia, hypertension and hyperglycemia. To develop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etary habits and nutrients intake of complex symptoms of MS with obesity or hyper-glycemia.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84 normal adults,62 MS with obesity, 33 MS with hyperglycemia and 54 MS with obesity and hyperglycemia (OB + HG). A dietary survey was conducted using 24-hour recall method. Total cholesterol level of MS with obesit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WHR and systolic blood press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S with obesity, hyperglycemia and OB+HG groups. Dietary intakes of energy, Fe, Vit A, Vit $B_2$ and Ca were less than $75\%$ of 7th Korean RDA in the all groups. Especially, dietary intakes of Vit $B_2$, Vit A and Ca were less than $50\%$ of RDA in MS with hyperglycemia and OB+HG groups. The other nutrient intakes of each group were also below the RDA level except for P, Vit C. It appeared that most of the nutrient intakes in MS with hyperglycemia and OB + HG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group. In MS with obesity group, each consumption of sweet, organ meat and soup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Each consumption of garlic and onion in MS with obesity, hyperglycemia and OB + HG groups was lower than normal group. Also, each consumption of soup in MS with hyperglycemia and OB + HG groups was higher than normal group. Indices of nutritional quality (INQ) for Ca, Vit A and Vit $B_2$ were below 1 in all the groups. Food composition group score of MS with hyperglycemia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and MS with obesity groups. Our results indicated that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MS with obesity or hyperglycemia should include specific strategies to modify unsound dietary habits and inappropriate food intake for health.

한국 성인에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분류한 비만 유형에 따른 특성 비교: 1998-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Comparison of Health Risks according to the Obesity Types Based Upon BMI and Waist Circumference in Korean Adults: The 1998-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 이율의;박지은;황지윤;김화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7호
    • /
    • pp.631-638
    • /
    • 2009
  •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모든 비만 유형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 고LDL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증가하였으나, 당뇨병에서는 복부비만의 유무에 따라 위험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대사증후군에서는 복부비만을 가지고 있는 비만 유형에서 질병위험도의 값이 크게 나타나 복부비만은 대사증후군의 강력한 예측인자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만 유형에 따른 질병 위험도가 달라지는 것은 비만을 진단하는 지표 중 어느 기준을 사용하여 비만을 구분하느냐에 따라 위험도가 높아지는 질병이 다름을 의미하며, 비만과 관련된 질병의 관리에 있어 특정 질병과 관련된 적절한 비만 지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비만 유형에 따른 비만인의 건강관리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한약자원을 이용한 약선차의 영양성분 분석 및 약선차의 섭취가 여대생의 혈청지질수준과 호모시스테인 농도에 미치는 효과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Effects of Yak-sun Tea Prescription from Oriental Medicinal Herbs for Serum Lipid Levels and Homocystein Content)

  • 한종현;송유진;박성진;박성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57-564
    • /
    • 2006
  • 본 연구는 현대 식이병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고지혈증과 같은 증상을 일반식사와 함께 영양섭취 형태로 섭취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한방식사요법인 약선에 관한 연구로서 약선(식)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수준에서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한약재를 이용하여 구성한 조성물로 약선차를 제조하여 영양성분을 조사하였고, 임상실험을 통해 혈액내 지질 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HDL-콜레스테롤 농도의 유의적 증가, LDL-콜레스테롤 및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유의적 감소를 보였다. 즉 가을차를 14일간 섭취하였을 때 혈청지질 조성이 유용하게 변화되었고 심장질환 지표인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유의적 감소에 의해 건강상태는 증진되었다고 판단되며 약선차 조성물의 객관적인 효능 평가가 이루어진다고 사료되나 향후 동물을 이용한 dose-response실험을 실시하여 유효한 작용이 나타나는 농도 및 그 기전에 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조성물은 차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약선(식)으로의 활용도 가능하리라 판단되며 이 결과는 한약자원의 식품으로서의 활용방안 및 과학화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고 또한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큰 기능성 식품의 연구 및 시장동향에 동양의 medicinal herb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소개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현재까지 병을 치료하는 음식인 약선의 효능은 섭취한 사람의 주관적인 판단과 병의 호전 정도로만 그 효능이 평가되어 왔기 때문에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이 애매한 실정으로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도 필요한 상태이다. 한의학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된 것이지만 한방과 양방의 병리를 토대로 관찰하여 그 효능 판단 요소를 잘 파악하여 실행한다면 객관적인 효능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며 향후 많은 자료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섭취를 보였으나 모든 지역 여학생들의 칼슘 뿐 아니라 철분 섭취량은 권장량의 70%수준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인터넷을 통해 영양교육 강의를 수강하는 전국의 대학생들의 식품 섭취빈도 및 영양섭취실태는 지역별 차이를 보였으나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지역에 상관없이 불규칙적인 식습관을 보이고 있으며 에너지, 비타민 $B_1$, 비타민 $B_2$, 철분 및 칼슘 등의 영양소에 있어 한국인 영양권장량보다 낮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 시기의 올바른 식습관의 확립 및 영양밀도가 높은 식품섭취를 통한 건강증진 및 중 장년기 질병예방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pm}45.2mg/dL$에서 상엽추출물 섭취 후 $161.3{\pm}25.3mg/dL$로 유의(p<0.05)하게 감소한 반면 공복혈당 양호군에서는 $119.3{\pm}22.4mg/dL$에서 $119.9{\pm}21.9mg/dL$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당화혈색소 불량군의 경우 실험 전 $8.7{\pm}0.7%$에서 실험 후 $7.8{\pm}0.8%$로 유의(p<0.05)하게 감소한 것에 반하여, 당화혈색소 양호군에서는 $6.7{\pm}1.2%$에서 $6.6{\pm}1.2%$로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엽추출물의 12주간 섭취 후 AST는 $24.8{\pm}3.5\;IU/L$에서 $31.8{\pm}8.7\;IU/L$로, ALT는 $26.4{\pm}4.6\;IU/L$에서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