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egak(慧覺)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성명(性命)의 4요소와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 배속(配屬)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Four Elements of Seongmyeong(性命) and Their Attributions to the Four Constitutions Based on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 조영;정창현;장우창;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7-259
    • /
    • 2009
  • The primary reason for the uprising interest and research concerni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due to a shift in paradigm; from one that treats based on symptoms to one that emphasizes unique personal traits such as living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Cheoninseongmyeong(天人性命), the components of Seongmyeong(性命) theory on constitutilnal medicine,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Hyegak(慧覺) of Juchaek(籌策), Gyeongryun(經綸), Haenggeom(行檢) and Doryang(度量), the 4 components of Sung(性), and the Ja-eop(資業) of Sikgyeon(識見), Wiui(威儀), Jaegan(材幹) and Bang-yak(方略), the 4 components of Myeong(命) are assigned to each of the 4 different constitutional types. Ultimate Hyegak[絶世之慧覺] and Goodman's Ja-eop[大人之資業] can change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will to overcome one's shortcomings despite the correlations made between Hyegak(慧覺) and Ja-eop(資業) of the 4 elements of given Seongmyeong(性命) and the 4 constitutions. The focal point in the discussion of Dongmu's Jihaeng theory is that any flaws one might have ought to be overcome by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others who are better and any gifts ought to be shared with those who don't have the privilege to enjoy it. Thus, from the fact that Dongmu's Jihaeng theory is not one that confines one to a certain body type but is meant to be the basis for realizing which paths, or Seongmyeong(性命), ought to be taken, we can learn how to overcome disadvantages due to body constitution. Furthermore, Dongmu's Suyang(修養) theory is significant and valuable in that it can not only be utilized to bring personal welfare and longevity but also to achieve a healthy and moral society.

  • PDF

단청장(丹靑匠)이 인식하는 전통 단청 색상에 관한 조사 연구 (Study on Traditional Multicolor, Dancheong in awareness by Dancheongjang)

  • 정혜영;박주현;고인희;강영석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7호
    • /
    • pp.27-41
    • /
    • 2016
  • 전통 단청을 계승하고 있는 단청장을 대상으로 계보에 따른(일섭, 월주, 혜각, 만봉 등) 단청 색상에 대한 인식과 색상 기준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단청장이 인식하는 '전통색'의 기준은 주로 '스승이 전수한 단청색'이었다. 더불어 단청장 모두 표준화된 색상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기준은 전통색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시대에 따른 단청색상의 변천 원인을 재료의 변화와 시대의 선호도가 반영된 결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단청의 주요 색상 11종에 대하여 단청장이 선정한 색도 자료를 단청장 계파별, 색상별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매우 다양한 색상 범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상대적으로 색상 영역이 넓고 편차가 큰 색상은 양록, 뇌록, 주홍이었으며 색상 영역이 좁고 편차가 작은 색상은 하엽, 다자, 석간주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단청장 계파별 색상 기준에 대한 뚜렷한 경향성을 찾기는 어려웠는데 이는 계파의 구성원이 가진 주관적인 예술성 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