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philida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에서 채집된 Laboulbenia 균류의 분류와 분포에 관하여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Studies on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the Laboulbeniales collected in Korea -(species from Cheonnam Province)-)

  • 이용보;최동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3-194
    • /
    • 1992
  • 라블베니아 균류는 곤충의 외부에 기생하는 자낭균류이다. 저자들은 이 균류의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각 지역에서 특히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곤충들을 채집하여 그것들을 해부현미경 아래서 기생여부를 관찰하여 표본을 만들고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5속 13종을 얻었기에 다음과 같이 보고한다. Chitonomyces chinensis on Laccophillus difficilis, (Dytiscidae, Coleoptera), Chitonomyces melanurus on Laccophillus difficilis, (Dytiscidae, Coleoptera), Chitonomyces paradoxus on Laccophillus difficilis, (Dytiscidae, Coleoptera), Dichomyces furcifer on Philonthus amicus (Staphylinidae, Coleoptera), Dichomyces homalotae Thaxter on Atheta sp. (Staphylinidae, Coleoptera), Laboulbenia acupalpi Spegazzini on Acupalpus inoratus (Carabidae, Coleoptera), Laboulbenia proliferans Thaxter on Chlaenius naeviger (Carabidae, Coleoptera), Laboulbenia flagellata on Anisodactylus tricuspidatus Morawitz (Carabidae, Coleoptera), Laboulbenia tachys Thaxter on Tachys laetificus (Carabidae, Coleoptera), Laboulbenia vulgaris Peyritsch on Bembidion scopulinum (Carabidae, Coleoptera), Rickia ancylopi Thaxter on Ancylopus melanocephalus (Endomychidae, Coleoptera), Zodiomyces subseriatus Thaxter on Helochares lentus (Hydrophilidae, Coleoptera), Zodiomyces vorticellarius Thaxter on Helochares lentus (Hydrophilidae, Coleoptera). 이들 속과 종들 중에서 Zodiomyces의 1속과 L. prolfferans Thaxter, Z subserariatus Thaxter, Z. vomticellarius Thaxter의 3종들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기록되어진 것이다.

  • PDF

꼬마검정물땡땡이속(딱정벌레목: 물땡땡이과)의 국내 첫 보고 (The Genus Paracymus Thomson (Coleoptera: Hydrophilidae) new to Korea)

  • 이대현;안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03-107
    • /
    • 2016
  • 한국산 꼬마검정물땡땡이속(Paracymus Thomson)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꼬마검정물땡땡이속, 염전꼬마검정물땡땡이[P. aeneus (Germar)]와 꼬마검정물땡땡이(P. zaitzevi Shatrovskiy)를 한반도에서 처음 보고한다. 종에 대한 성충의 외형 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분포도, 식별 형질 및 검색표를 제시한다.

Taxonomy of the Genus Hydrochus (Coleoptera: Hydrophilidae: Hydrochinae) in Korea

  • Lee, Dae-Hyun;Lee, Soong Hwa;Ahn, Kee-Je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9권3호
    • /
    • pp.249-252
    • /
    • 2013
  • A 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Hydrochus Leach is presented. They inhabit in the margins of shallow lentic water with plentiful vegetation. The genus Hydrochus Leach contains about 28 species in the Palaearctic region and only H. japonicus Sharp is recently listed in Korea. Here, two species are recognized, one of which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H. chubu Balfour-Browne & Sat$\hat{o}$). This species are distinguished from H. aequalis Sharp by impressed pronotum and from H. japonicus by dark brown elytra. Habitus photographs, descriptions, and diagnostic characters with illustrations of the species are provided.

수중트랩으로 채집된 논 수서생물 군집의 지역 및 시기별 특성 (Region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Aquatic Organism Communities in Rice Paddy Fields, using Submerged Funnel Trap)

  • 윤성수;김명현;어진우;권순익;남형규;송영주
    • 환경생물
    • /
    • 제36권2호
    • /
    • pp.99-106
    • /
    • 2018
  • 기존에 주로 논 수서생물의 채집을 위해 사용된 방형구법과 뜰채법은 높은 노동력을 요구했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모니터링이 어려웠다. 이 연구는 논 수서생물을 보다 신속하게 채집할 수 있는 수중트랩을 사용하여 지역 및 시기별 논 수서생물의 군집 조성을 확인하였다. 수중트랩은 논을 대표하는 수서생물 중 환경 변화를 지표하거나 수조류의 먹이가 되는 이동성이 높은 종이 포함된 분류군을 채집하는 데 유용했다. 사과우렁이과 (Ampullariidae), 미꾸라지과 (Cobitidae), 물벌레과 (Corixidae), 물방개과 (Dytiscidae), 물땡땡이과 (Hydrophilidae), 물달팽이과 (Lymnaeidae) 등 15개 분류군은 논 수서생물 군집 조성을 결정했다. 주요 분류군 중 환경 교란에 강한 깔다구과 만이 논 수서생물 군집의 시기 변화를 대표했다. 인위적인 영향에 민감한 사과우렁이과, 물땡땡이과 그리고 물방개과는 지역별로 분포가 상이했다.

한국산 점박이물땡땡이속(딱정벌레목 : 물땡땡이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Review of the Berosus Leach (Coleoptera: Hydrophilidae) in Korea)

  • 이대현;안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05-214
    • /
    • 2016
  • 한국산 점박이물땡땡이속(Berosus Leach)의 분류학적 재검토를 수행한 결과, 1미기록종[Berosus (E.) spinosus (Steven) (가시점박이물땡땡이: 신칭)] 포함 총 2아속 4종이 발견되었다[Berosus (Berosus) japonicus Sharp (새가슴물땡땡이), Berosus (Berosus) punctipennis Harold (점박이물땡땡이), Berosus (Enoplurus) lewisius Sharp (뒷가시물땡땡이)]. 또한, 이전의 한국기록 B. (B.) puchellus MacLeay (남쪽점박이물땡땡이)는 B. (E.) lewisius Sharp의 오동정이다. 각 종에 대한 성충 외형사진, 미세형질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및 식별형질과 검색표를 제시한다.

Aquatic Beetles Fauna in Nohwa and Bogil Islands, and Copelatus parallelus (Coleoptera: Dytiscidae) and Scirtes sobrinus (Coleoptera: Scirtidae) New to South Korea

  • Jung, Sang Woo;Min, Hong Ki;Lee, Dae-Hy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2호
    • /
    • pp.128-138
    • /
    • 2020
  • A faunistic list and distribution of aquatic beetles were given with two newly records, Copelatus parallelus Zimmermann, 1920 (family Dytiscidae) and Scirtes sobrinus Lewis, 1895 (family Scirtidae) from Nohwa and Bogil islands in South Korea. As a result, a total of 30 species belonging to 24 genera and eight families were recognized: 12 Dytiscidae species, eight Hydrophilidae species, three Haliplidae species, two Scirtidae species, two Gyrinidae species, one Noteridae species, one Elmidae species, and one Psephenidae species. Composition and habitus photographs of all collected aquatic beetles, habitats, and the diagnostic characters of C. parallelus and S. sobrinus are provided.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 Hydrophilidae, Coleoptera) 유충의 모기 2종(Culex pipiens molestus 및 Ochlerotatus togoi)에 대한 실내조건에서의 섭식효율 및 선호도 (Predation Efficiency and Preference of the Hydrophilid Water Beetle Hydrochara affinis (Coleoptera: Hydrophilidae) Larvae on Two Mosquitos Culex pipiens molestus and Ochlerotatus togoi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백학명;김동건;백민정;이차영;강효정;김명철;유재승;배연재
    • 환경생물
    • /
    • 제32권2호
    • /
    • pp.112-117
    • /
    • 2014
  •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 유충의 지하집모기(Culex pipiens molestus)와 토고숲모기 (Ochlerotatus togoi)에 대한 포식효율과 먹이선호도를 실험하였다. 포식실험에는 투명한 원통형 용기(지름 100 mm, 높이 40 mm, 수심 15 mm)가 사용되었으며, $25^{\circ}C$에서 24시간 (16L : 8D)동안 진행되었다. 잔물땡땡이 개체당 모기 섭식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각 잔물땡땡이 유충에 대해 서로 다른 먹이조건(1, 2, 4, 8, 16, 32, 64 및 128개체)을 주었고, 각 조건별로 5회씩 반복실험 하였다. 모기유충 2종에 대한 먹이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잔물땡땡이 1령 유충에 지하집모기와 토고숲모기 유충 32개체씩을 동시에 투여하여 5회 반복실험 하였다. 실험의 결과 모기유충 2종에 대한 잔물땡땡이 유충의 포식곡선은 로그함수의 곡선으로 나타났으며, 잔물땡땡이 유충의 영기가 증가함에 따라 포식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식곡선으로부터 잔물땡땡이 3령 유충의 1일 최대 포식수를 산출한 결과, 지하집모기는 926개체를, 토고숲모기는 304개체를 포식 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Holling's disk equation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잔물땡땡이 유충의 영간, 그리고 모기유충의 종간에 모기유충 포식수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Attack rate보다는 Handling time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Handling time은 잔물땡땡이 유충이 성장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토고숲모기가 지하집모기에 비해 2배가량 길게 나타났다.

논 서식 물땡땡이과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Scavenger Beetles (Hydrophilidae) in Korean Paddy Field)

  • 한민수;방혜선;김명현;강기경;정명표;이덕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7-433
    • /
    • 2010
  • 논을 포함한 주변의 일시적 또는 연속적인 정수지를 가지는 논생태계는 다양한 수서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서 국가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수로정비, 경지정리 등에 의해서 서식환경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생태계 내에 출현하는 수서곤충 중에서 상위 포식자 역할을 하고 있는 물땡땡이류의 전국 분포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논 내에서 총 15종의 물땡땡이류가 확인되었다. 그중 전국적으로 애넓적물땡땡이(98.6%)와 점물땡땡이(87.7%)가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대부분의 물땡땡이류는 경지정리가 이루어진 들에 위치한 논(33.7%)보다는 곡간에 위치한 논(5.0%)에서 출현빈도가 높았다. 한일넓적물땡땡이(1.4%), 등볼록물땡땡이(2.9%) 및 새가슴물땡땡이(4.3%) 3종은 곡간과 들 모든 지역에서 낮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잔물땡땡이, 애물땡땡이, 알물땡땡이, Berosus elongatulus, 점박이물땡땡이, 뒷가시물땡땡이 및 북방물땡땡이 7종은 지역 특이적 분포 특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종들은 향후 기후변화를 포함한 농업환경변화에 따른 논생태계 생물의 변화를 연구함에 있어서 좋은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논 서식 애물땡땡이 (Sternolophus rufipes)와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의 비행시기 예측 (Prediction of the Flight Times of Hydrochara affinis and Sternolophus rufipes in Paddy Fields Based on RCP 8.5 Scenario)

  • 최순군;김명현;최락중;어진우;방혜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29
    • /
    • 2016
  • 우리나라 농경지 중 논은 약55%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논에 서식하는 생물 중 논 환경변화에 민감하고 일정한 방향의 반응을 보이는 생물종은 생물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생물계절 및 서식범위 등 생물지표를 이용한 분석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직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논에 서식하는 수서생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생물반응 연구는 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계획 수립과 기후변화 감시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계절을 관측하기 위하여 일 단위 관측이 가능한 무인관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무인관측시스템은 유인부, 촬영부,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며 위도를 고려하여 해남, 부안, 당진, 철원에 설치하였다.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철원을 제외한 세 지역에서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와 애물땡땡이(Sternolophus rufipes)의 개체 수를 계측할 수 있었다. 계측 값을 바탕으로 비행시기의 유효적산온도를 판별하였으며 KMA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2020년대, 2050년대, 2080년대 평년의 비행시기의 변화를 예측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20년대에 비하여 2080년대는 비행시작시기가 15일 이상 앞당겨졌으며 최대 비행시기가 22일, 최종 비행시기가 27일 이상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 위치에 따라서는 내륙보다 해안, 도심보다 도외지, 평야보다 곡간지 논의 비행시기 변화가 뚜렷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잔물땡땡이와 애물땡땡이를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