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ydrometeorologic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Assessment on the Geographical Boundary of Hydrometeorologic Changes due to Dam Construction (댐 건설에 따른 수문기상학적 영향 범위)

  • Ahn, Jae-Hyun;Yoo, Chul-Sang;Kim, Hag-Yeol;Yoo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4 s.153
    • /
    • pp.293-300
    • /
    • 2005
  • This study analyzes hydrometeorologic changes after a dam construction, and develops a model related to estimating the geographical boundary hour far hydrometeorologic changes could happen due to a dam construction. The model is applied to several dams, namely Seomjin Dam, Soyang Dam, Andong Dam, and Chungju Dam. Throughout estim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albedo and recycling coefficients, the result confirms that the land use changes by dam construction are the critical factor on the recycling of the water in the air. It is also shown that the geographical boundary is highly related to the surface area of a dam. Finally,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estimate its boundary of hydrometeorologic changes by a new dam construction.

Analysis of the estuary outflow characteristics of floating debris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using satellite location tracking buoys (위성 위치 추적 부이를 활용한 낙동강 하류 부유쓰레기의 하구 유출 특성 분석)

  • Jang, Seon-Woong;Yoon, Hong-Joo;Seo, Won-C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2
    • /
    • pp.157-164
    • /
    • 2015
  •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discharge characteristic from the mouth of floating debris in the Nakdong River through real time tracking of moving route and by analyzing hydrometeorologic environmental. To identify the path and route of outflow through the mouth of the river of floating debris, small-sized buoy equipped with satellite location transmitters was used. Moreover, to identify hydrometeorologic environmental, flux of the river, change of discharge of the River-Mouth Weir and wind direction of the mouth of the river area were analyzed. From now o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identify damage and flowing into nearby ocean of the floating debris of Nakdong River in time of severe rain storm.

Estimation of Hydrometeorologic Parameters using DHSVM (DHSVM을 이용한 수문기상인자 산정)

  • Cho, Hyungon;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2-222
    • /
    • 2016
  •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의 규모와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자원 영향 평가 및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기반의 분포형 수문기상모형인 DHSVM을 이용하여 2012년-2014년 동안의 한반도 유역의 기상인자 자료를 수집하여 증발산, 토양수분, 현열, 잠열, 지열, 순복사량 등의 수문기상인자를 산정하였다(Fig. 1). 모형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서 안동댐 유역에 대하여 검정통계량으로 NSE(Nash-Sutucliffe model efficiency coefficient), RMSE, $R^2$,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example)위한 계산하였다.

  • PDF

Estimation of Hydrometeorologic Parameters using Dynamic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동적 다중선형회귀 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수문기상인자 산정)

  • Cho, Hyungon;Kim, Baek-Jo;Lim, Yoon-Jin;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6-286
    • /
    • 2016
  • 기후변화를 고려한 위한 미래 수자원 계획은 신뢰성 있는 수문기상인자의 산정을 통한 수자원 영향 평가 결과로 수립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HSVM모형과 TOPLATS모형에서 생산된 결과를 가지고 제약조건을 가지는 다중선형회귀 모형을 통하여 2012년-2014년 동안의 한반도 유역에 대한 수문기상인자를 산정하였다(Fig. 1). 다중선형회귀 모형은 하나의 종속변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두 개 이상의 독립변수를 사용하는 모형으로 일반적으로 다중선형회귀 모형의 회귀 계수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의 적용을 위하여 검정지점에 대하여 산정된 음의 회귀계수 값이 그대로 적용될 경우 적합하지 않으므로 회귀 계수에 제약조건을 부여하였다. 제한된 회귀 계수의 범위는 0-1사이를 가진다. 동적 다중선형 모형의 구성은 광릉 GCK, GDK 지점자료를 활용하였다.

  • PDF

Estimation of Local Change in Hydrometeorologic Environment due to Dam Construction (댐 건설로 인한 국지 수문기상환경의 변화 추정)

  • Yoo, Chul-Sang;Ahn, Jae-Hyun;Kang, Sung-Kyu;Kim, Kee-Wook;Yoon, Yong-Nam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4 no.1
    • /
    • pp.21-38
    • /
    • 2005
  • In this study, a model for analyzing the spatial effect of large dam reservoirs on local hydrometeorology was developed, and then actually applied to the Seomjingang Dam, Soyanggang Dam, Andong Dam, and Chungju Dam. The application included the analysis of land use using the satellite images to derive the change in albedo before and after the dam construction. Summarizing the modeling procedure and its appl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ange in albedo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size of the dam, also the spatial limit of albedo change were estimated to be 10-20km for the Seomjingang Dam, 40km for the Soyanggang Dam, 20-30km for the Andong Dam, and 50km for the Chungju Dam. (2) The change in the coefficient of recycle (ratio of internal supply of moisture to the total available moisture) was found to be big within the narrow boundary of the. dam, but become smaller as the boundary becomes larger.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lbedo and. coefficient of recycle was found high. Thu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hange in land use due to dam construction has much effect on the moisture circulation structure. (4) The spatial range of hydrometeorogic effect was compared with the water surface area of dam reservoir. The result showed that the spatial range sensitively increased up to $50km^2$ of water surface area.

  • PDF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 for Hydrometeorologic Parameters Considering Climate Changes in Geum River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금강유역 수문기상인자의 특성 분석)

  • Ahn, So-Ra;Park, Jin-Hyeog;Chae, Hyo-Seok;Hwa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55-1559
    • /
    • 2010
  • 본 연구는 미래 물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방안 도출 연구의 사전연구로서 금강유역의 과거 기상 수문요소의 특성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상자료로 금강유역 기상관측소 8개소의 37개년(1973~2009)의 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하천수위자료는 수위자료와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신뢰성 문제, 이후 수행될 장기유출분석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공주, 규암 수위관측소의 36개년(1973~2008)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지하수위자료는 강우관측소와 근접하게 위치해 있으면서 과거 자료를 최대한 많이 보유하고 있는 6개 관측소의 10개년(1999~2008)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평균, 표준편차, 왜곡도, 변동계수를 산출하여 연 계절별로 수문기상인자의 경년변화를 파악한 결과 기상인자 중 강수량의 변동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 경년별 변화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하천수위보다는 지하수위가 경년별 변동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문학적 지속성 분석을 위해 Run 검정, Turning Point 검정, Anderson Exact검정을 이용하여 시계열자료에 주기성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기온과 강수는 무작위성, 상대습도, 하천수위는 지속성을 가지는 인자로 분석되었고 지하수위는 관측소별, 기간별로 무작위성과 지속성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향성 분석을 위해 단순 선형 회귀분석과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기온은 연 계절 모두 증가경향이 나타났고, 강수량은 여름에만 증가경향이 나타났으며, 상대습도는 뚜렷한 감소경향을 보였다. 또한 하천수위는 감소경향이 나타났으며 지하수위는 유의수준 범위에서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자원의 영향을 평가하고 미래 물 관리 적응기술 개발 및 계획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ainfall-Runoff Analysis Utilizing Multiple Impulse Responses (복수의 임펄스 응답을 이용한 강우-유출 해석)

  • Yoo, Chul-Sang;Park, J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6 no.5
    • /
    • pp.537-543
    • /
    • 2006
  • There have been many recent studies on the nonlinear rainfall-runoff modeling, where the use of neural networks is shown to be quite successful. Due to fundamental limitation of linear structures, employing linear models has often been considered inferior to the neural network approaches in this area. However, we believe that with an appropriate extension, the concept of linear impulse responses can be a viable tool since it enables us to understand underlying dynamics principles bett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use of multiple impulse responses for the problem of rainfall-runoff analysis.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a simple and fixed strategy for switching among multiple linear impulse-response models, each of which satisfies the constraints of non-negativity and uni-modality. The computational analysis performed for a certain Korean hydrometeorologic data set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yield very meaningful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