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aulic elevator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9초

소방차량 정밀점검 분석에 따른 차종별 결함 발생에 관한 연구 (On the Occurrence of Defects by Vehicle Type According to the Fire-fighting Vehicle Detailed Inspection)

  • 이장원;한용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2-119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선 소방관서에 사용되고 있는 소방용 고가사다리차, 굴절사다리차, 화학차 및 펌프차의 최근 6년간의 정밀점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종별로 시·도별 실시현황, 결함 발생률 및 연도별 결함 발생 사항 등을 파악하여 소방차량의 기술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소방용의 고가사다리차, 굴절사다리차, 펌프차 및 화학차의 최근 6년간 정밀점검 기준에 따라 실시한 정밀점검 데이터를 통하여 차종별, 시·도별 실시현황 및 결함발생률, 연도별 결함사항을 분석하여 사용 연수에 따른 결함 발생 등의 현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평균 230대 이상의 정밀점검 차량을 신청한 2012년에서 2017년도까지 시·도별 결과, 약간의 변동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노후 소방차량 교체사업과 소방차량 제조업체의 대응 등으로 결함 발생 건수가 점차 감소 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론: 소방고가사다리차의 경우 결함발생율은 승강기장치, 전기장치, 사다리장치, 공압공급 장치의 순서로 결함의 발생률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소방굴절사다리차의 경우 굴절사다리, 유압실린더, 유압오일, 공압공급 장치의 순서로 결함의 발생률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방화학차의 경우는 분말소화장치, 소방펌프, 진공펌프, 공압공급 장치의 부분에서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방펌프차의 경우는 물탱크, 소방펌프, 진공펌프 및 공압공급 장치의 부분에서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방자동차 노후화에 따른 고장 발생원인 추적조사 연구 (Follow-Up Survey Fire Truck Deterioration)

  • 이장원;김의태;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59-64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4종류(고가사다리차, 굴절사다리차, 펌프차, 화학차)의 소방자동차 1,022대를 대상으로 고장 발생 원인을 추적 조사한 결과에 관한 것으로, 고가사다리차는 추락방지장치부문(46%), 굴절사다리차는 유압유 오염도부문(29%), 펌프차는 에어공급장치 실린더부문(37%), 화학차는 분말소화장치부문(39%)에서 고장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은 차량 노후화에 따른 경년변화로 인한 고장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에어공급장치 실린더와 같이 특장부품의 반복사용에 따른 피로가 원인으로 나타났다. 고가사다리차의 경우 와이어의 롤러사이의 끼임 현상이 고장으로 나타나 제조과정에서 개선할 점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5년 이상 경과한 차종에 대해서는 소방장비관리 규칙(총리령)에서 정하는 정밀점검을 통하여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며 차종에 따라 내용연수가 경과한 10년 또는 12 이상 도래된 차량에 대해서는 안전을 위하여 연장 사용보다는 신규로 교체하여 최상의 소방차량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집중식 컨트롤러 고소작업차의 고소리프트의 구조안정성 평가 (Centralized Controller High-altitude Work Car Elevations Lift Structure Safety Assessment)

  • 김준태;이기영;이상식;박원엽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50-357
    • /
    • 2017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로 진행되었던 수직상승형 고소작업차의 개발을 위한 구조해석 및 원격 제어를 포함한 중앙집중식 컨트롤러 및 유압식 상승리프트 개발에 관한 사후 연구로 진행되었다. 기존에 연구를 진행하면서 개발하였던 고소리프트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안전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Solidworks로 3D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Hypermesh S/W를 통하여 유한요소의 모델을 생성하였다. 또한, 평가를 위한 작업차의 적재 환경은 작업 테이블에 위치별(전체, 상좌, 상우, 하좌, 하우)로 적재량이 250 kg인 조건, 작업 테이블에 위치별(전체, 상좌, 상우, 하좌, 하우)로 적재량이 600kg인 조건으로 하여 구조해석을 진행하여 다방면으로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허용 적재량 250 kg과 초과 적재량 600 kg에 대해서 최대응력이 발생하는 부품을 제외한 결과를 살펴보면(Case-11 제외), 응력 수준은 항복강도 이하임을 알 수 있다. Case-11의 경우에는 최대응력이 발생하는 부품을 제외한 후에도 상단의 안전바 중앙 지지부에서 항복강도를 초과하는 영역이 존재하지만, 최대응력이 발생하는 부품과 같이 전체 구조물의 안전성 측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변위(처짐) 결과를 살펴보게 되면, 모든 경우에 있어서 동일하게 테이블에서 최대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250 kg과 600 kg 모두 처짐이 발생하는 경향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