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brid dentur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3초

Developement of the reinforced acrylic-based hybrid denture composite resin with vinyloligosilsesquioxane (POSS)

  • Nam, Kwang-Woo;Chang, Myung-Woo;Chang, Bok-Sook;Han, Dong-Hoo;Shim, June-Sung;Chang, Ik-Tae;Heo, Seong-Joo;An, Jung-Ho;Chung, Dong-June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82-790
    • /
    • 2000
  • The mainly used polymeric material for the denture is PMMA because of its cost and easiness to handle. So it was widely used material among dentists for past decades. But the acrylic-based denture materials have several common weak points such as shrinkage after curing and lack of strength.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adapted one of hybrid system using acrylic polymer and vinyloligosilsesquioxane(POSS). POSS, which is a well known expandable monomer during polymerization process, may eventually suppress volumetric shrinkage. And the hybrid system makes it possible for the polymer to be stable in various severe conditions. Eight different kinds of samples were designed and synthesized. Each samples were characterized with dynamic mechanical analyser(DMA) to confirm their thermodynamic properties, fractured to analyze the cross-sectional morphology of the samples. And elongation, flexural and impact tests were also executed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amples. From the results, hybrid composites had well defined crosslinked network structure compared to the widely used denture materials, and the mechanical strength improved without changing any surface condition as increment with POSS ratio in hybrid system. Fractured morphology showed homogeneous surfaces in spite of mutli component system,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adoption of the POSS brought the reinforcement of the denture resin.

  • PDF

Double crown retained RPD의 4년 임상 관찰 (DOUBLE CROWN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 4 YEARS IN RETROSPECT)

  • 이석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3-82
    • /
    • 2004
  • Statment of problem : Little in known about the importance of selection of various double crowns as retainer in determining the outcome of treatment with double crown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Purpose :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and the results of this treatment modality. Material and methods : This study describes 61 double crown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worn by 51 patients from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a time ranging between 6 and 48 months and evaluate occlusal contacts on the denture teeth, denture movement, incidence of denture relining, denture retention, fracture of dentures and abutments, hygiene, residual ridge inflammatory changes, number of lost abutment,. interruption of denture use. Results : One tenth of all the restorations were relined. Restorations in 21 arches fractured repeatedly for various reasons . There was no apparent interrelationship between fractures and the five groups. Conclusion : Good prognose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were shown in all groups(Kennedy Classes I, II, III, combination and few remaining abutment).

고립된 소수 잔존치 환자에서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의 임상증례 (A clinical case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using friction pin with an isolated few remaining teeth)

  • 손상혁;조진현;조성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80-86
    • /
    • 2016
  • 잔존 지대치의 수가 적은 경우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한 여러 보고에서 우수한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치주 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고립된 소수 잔존치를 지대치로 이용하여 국소의치로 수복해야 하는 경우에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은 적절한 적응증이 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심한 치주염으로 다수 치아 발치 후 상악은 전치부 고정성 보철 수복과 Kennedy class I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고 하악은 양측성 고립 지대치만 남아있어 클래스프 국소의치로 수복하기에 예후가 불분명하여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하였다.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의 특성과 효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본 증례를 보고한다.

장기간 사용한 이중관 의치의 실패원인 및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 수복증례 (Causes of failures of long-term used double crown denture and new rehabilitation with dental implant and tooth combined denture using remaining teeth and implants)

  • 서정교;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84-390
    • /
    • 2018
  • 치주적으로 지지가 불리한 소수의 잔존치가 남은 환자에게 있어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의치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예후를 보이는 치료가 된다. 편측 악궁에 소수 잔존치가 남고 반대측 악궁에 다수의 자연치가 존재 하는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자연치와 혼재된 형태의 이중관 의치를 제작 할 시 의치의 지지 및 안정요소의 향상과 더불어 저작력의 균형을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본 증례는 55세 여자 환자로 만성 치주염으로 인해 치주 지지가 감소한 소수 잔존치 상태에서 자연치만으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 치료를 통해 9.5년간 의치를 사용하였다. 9.5년 후 지대치 파절로 내원 하여 임플란트의 식립을 통해 자연치와 임플란트가 혼재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로 재수 복 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 치료에서도 장기적 예후의 안정성을 기대 할 수 있다.

저한성 외배엽 이형성증을 가진 소아 환자에서 의치 유지력 향상을 위한 보철 치료 전략: 두 가지 증례 보고 (Prosthetic Treatment Strategies for Improving Denture Retention in Pediatric Patients with Hypohidrotic Ectodermal Dysplasia: a Report of Two Cases)

  • 전홍주;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83-494
    • /
    • 2023
  • 이 논문은 저한성 외배엽 이형성증(Hypohidrotic Ectodermal Dysplasia, HED)으로 인한 부분무치증을 가진 소아 환자에게 의치의 유지력 증가 방법에 관한 두 가지 증례를 보고한다. 두 환자 모두 다수의 치아 결손 및 원추형의 견치와 치조골 위축, 골격적 III급 경향이 나타났다. 첫 번째 증례에서는, 변형된 형태의 Conical-Crown Retained Denture (CCRD)를 이용해 견치를 피개하였다. 이 방법은 치아를 삭제하거나 코핑 없이 진행되었다. 두 번째 증례에서는, 심한 치조제 흡수와 함께 하악 좌측 견치가 원심으로 경사지어 맹출한 상황에서, 하이브리드 세라믹 크라운을 사용하여 견치를 수복한 후, 흡착성 원리를 이용한 클라스프 유지 가철식 의치로 변경하였다. 두 환자는 현재 보철물 유지 관리 및 성장양상을 평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 이 증례는 HED로 인하여 의치의 유지력이 부족한 소아 환자에게 적용된 창의적인 보철 치료 방법을 제시하였다.

섬유의 종류와 조합이 열중합 의치상 레진의 강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ber Type and Combination on the Reinforcement of Heat Polymerized Denture Base Resin)

  • 유상희;김영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45-45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열중합 의치상 레진에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를 2.6%, 5.3% 부피비로 첨가하여 섬유의 종류에 따른 강화효과를 평가하고, 각 섬유를 두 가지로 조합한 hybrid FRC를 제작하여 동일 함량의 단독 섬유 FRC보다 굴곡성질이 더 우수한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단독 섬유 FRC에서는 5.3% 부피비의 GL, PE 섬유군의 굴곡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두 가지 섬유 조합FRC의 굴곡강도는 단독 섬유 FRC보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5.3% GL, PE 섬유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독 섬유 FRC의 굴곡계수는 5.3% 부피비의 GL 섬유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두 가지 섬유 조합FRC의 굴곡계수는 단독 섬유 FRC의 5.3% GL 섬유군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열중합 의치상 레진의 강화를 위해 섬유를 단독으로 이용할 경우 5.3% 부피비로 첨가한 유리 섬유가 굴곡강도와 굴곡계수 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섬유 조합FRC의 경우 굴곡강도 면에서는 강화효과가 크지 않았지만, 굴곡계수 면에서 볼 때 유리섬유를 하방에 아라미드 섬유를 그 상방에 위치 시킨 조합을 의치상의 강화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편측 절제된 상악골 환자에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의치를 이용한 구강 폐색기 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for patient with hemi-maxillectomy: Obturator combined with a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using friction pin)

  • 서정교;조진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4호
    • /
    • pp.317-323
    • /
    • 2018
  • 구강암이 상악에 발생하게 되면 원발 부위의 제거를 포함한 외과적 처치 후 비구강 개통(oro-nasal communication)이 발생하게 된다. 비구강 개통으로 인한 음식물의 저류를 막고 및 원할한 발음 및 심미적 회복을 위해서는 구강 폐색장치(Obturator)를 통한 수복이 필요하다.본 증례에서는 구강암으로 인해 우측 상악 편측절제술(hemi-maxillectomy) 시행하고 두경부 방사선 치료의 영향으로 인해 잔존 지대치의 우식과 불량한 치주지지를 보이는 환자에서 구강폐색장치(obturator)를 하이브리드형 이중관의치(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로 수복하였다. 18개월 간 경과관찰에서 성공적인 예후를 보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치주적으로 불리한 소수 잔존치에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한 임상증례 (Clinical Report by using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emovable Partial Denture on a few remaining teeth with severe periodontal disease)

  • 서장원;이청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24-30
    • /
    • 2019
  • 소수 잔존치의 부분 무치악 환자들에 있어 이중관을 이용한 치료의 성공적인 결과에 대해 여러 논문에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이중관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는 잔존치의 치주 상태가 좋지 않고 클라스프 유지 가철성 국소의치가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crown/root ratio > 1) 대체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하악 양측 구치부 상실과 전반적인 치아 동요로 인하여 저작의 어려움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심한 치주질환으로 다수의 치아 발치 후 하악은 전치부 고정성 수복과 자연치의 구강형성을 통해 Kennedy class I 가철성 국소의치로 치료 계획을 하였고 상악은 클라스프 유지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기에 예후가 불분명하여 프릭션 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로 치료를 계획하였다. 이와 같이 보철 치료 완료 후 환자는 잘 적응 하였으며 발음, 저작, 유지, 심미적으로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이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전치부 과개교합을 가진 상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의 상악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와 하악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치료의 11년 경과관찰 증례 (Prosthetic treatment for patient with anterior overbite and partial edentulism using maxillary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 and mandibular fixed prostheses: A 11-yr follow-up)

  • 최현석;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5-421
    • /
    • 2021
  • 소수 잔존치가 남아있거나 치주적으로 불리한 경우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의 생역학적 예후가 불분명하다. 이러한 경우,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는 성공적인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치료방법의 경우 지대치 간의 이차고정 효과가 있으며 응력의 방향이 수직적이고, 지대치 발치 시에 의치의 수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장점을 보인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의 과개교합을 가진 상하악의 부분 무치악 환자에 있어 상악에는 이중관 의치, 하악에는 임플란트 및 고정성 보철치료가 시행되었다. 장기간 동안 경과관찰 및 유지관리 치료를 시행한 결과, 기능 및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 COMPARISON OF THE MASTICATORY FUNCTION BETWEEN TWO DIFFERENT TYPES OF IMPLANT SUPPORTED PROSTHESES AND COMPLETE DENTURE FOR FULLY EDENTULOUS PATIENTS

  • Lee, Jae-Hoon;Kim, Woo-Hyun;Shin, Rie-Hye;Lee, Keun-Woo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91-601
    • /
    • 2008
  • STATEMENT OF PROBLEM: The improvement in oral function and comfort from the dental implant appears to depend on the particular type of implant support used with the denture. The number and positioning of implants have an influence on the force transfer and subsequent stress distribution around implants. Nevertheless, a quantitative comparison has not been made between the types of implant prosthesis used with different materials compared to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masticatory performance, bite force and impact of two different type of implant supported prosthese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 with GOHAI, validated oral-specific health status measures, the sieving method, and the Prescale Dental System. MATERIAL AND METHODS: From the years 1999 to 2006, a total of 30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in a single arch were selected from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and Implant Clinic in Seoul, S. Korea.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of 10 each. Group HR was restored with fixed-detachable hybrid prostheses with resin teeth. Group FP had fixed dentures with porcelain teeth while Group CD had a complete denture. The masticatory performance was compared between 3 groups. RESULT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 dental implants compared to a conventional denture in GOHAI comparison. Overall, implant prostheses showed a higher masticatory performance ($S_{50}$) and maximum bite force compared with conventional dentures (P < .05) but no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implant supported prostheses (P > .05).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numbers of implant and material of implant prostheses does not appear to impact patient satisfaction, masticatory performance or bite 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