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brid antenna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9초

상관된 페이딩 채널에서 하이브리드 ARQ를 사용하는 V-BLAST 시스템의 수율 (Throughput of V-BLAST System using Hybrid ARQ in Correlated Fading Channels)

  • 김봉회;황승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호
    • /
    • pp.66-7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H-ARQ를 위한 NACK 신호를 이용한 안테나 스위칭 방식을 제안하고 V-BLAST 시스템에서 분석하였다. 여기서 전송 안테나는 재전송시 번갈아 스위칭 되어 동작한다. 상관된 페이딩 채널에서 제안된 방식의 채널 용량을 해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채널 상관성의 악영향이 안테나 스위칭 방식으로 줄어듦을 보인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상관된 페이딩 채널에서 평균 수율은 큰 복잡도의 증가 없이 개선되어질 수 있음을 보인다.

UHF RFID 시스템을 위한 Polarization Selective 안테나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Polarization Selective Antenna for UHF RFID System)

  • 이사원;송우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0-175
    • /
    • 2010
  • 본 논문은 UHF RFID 시스템을 위해 편파를 선택할 수 있는 리더 안테나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리더 안테나는 두 개의 급전부를 가지는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와 두 개의 SPDT 스위치와 하나의 SP4T 스위치와 3dB hybrid coupler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스위치 전압을 조절하여 수직 방향의 선형 편파와 수평방향의 선형 편파, 좌수 원형 편파와 우수 원형 편파를 선택할 수 있다. 제안된 안테나는 902MHz ~ 928MHz 대역에서 VSWR 2:1을 만족하고 원형 편파로 선택되었을 때 AR (Axial Ratio)은 3dB 이하로 측정되었다. 또한 사용 환경 및 태그의 편파 방향에 적합한 편파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PLF (Polarization Loss Factor)를 최소화 할 수 있고 태그의 인식거리를 확장 시킬 수 있다.

1~3 GHz 대역용 계산가능 다이폴안테나의 접지판 위 안테나 인자 특성 (Characteristics of Antenna Factor for a Calculable Dipole Antenna above Ground Plane in 1~3 GHz Frequency Band)

  • 임성민;김상명;정성우;김기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991-1998
    • /
    • 2015
  • 본 논문은 하이브리드 발룬을 갖는 계산가능 다이폴안테나가 접지판 위에 수평 및 수직으로 놓여 있을 경우의 안테나 인자 특성을 모멘트법으로 검토하고 있다. 안테나 인자의 표현식은 전력부정합손실의 개념을 적용하여 도출한 식을 사용하였으며, 안테나 인자의 계산에서 나타나는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 및 유효길이는 모멘트법을 적용하여 계산하고 있다. 그 결과, 접지판 위에서의 안테나 인자 특성은 안테나의 편파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자유공간 안테나 인자와는 최대 ± 0.14 dB 의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평편파인 경우의 안테나 인자 변동폭이 수직편파인 경우보다 0.2 dB 정도 더 크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 빔 패턴 형성을 위한 원통형 하이브리드 안테나 (A Cylindrical Hybrid Antenna for Shaping Complex Beam Patterns)

  • 엄순영;정영배;전순익;김창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279-129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복합 빔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 오프셋 선형 급전 배열에 의해 공간 급전되는 원통형 하이브리드 안테나에 대하여 기술한다. 선형 급전 배열은 12개의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소자들로 구성되며, 수평면에서 $90^{\circ}$의 구형 빔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수직면에서 $-5^{\circ}{\sim}-25^{\circ}$ 범위에 걸쳐 코씨컨트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선형 급전 배열에 의해 원통형 반사판상의 수직 곡선이 성형화 된다. IMT-2000 서비스 대역에서 동작하는 $140{\times}50\;cm$ 크기의 원통형 반사판 개구면을 갖는 하이브리드 안테나 시제품을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또한 안테나의 전기적 성능들을 측정하고 그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GPS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 설계 (Design of Broadband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the GPS)

  • 신경환;이용창;손태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28-13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GPS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의 대역특성을 넓히기 위하여 $90^{\circ}$ 하이브리드를 적용한 2포트 급전을 제안한다. 패치는 정사각형 패치이며, 급전은 프로브 급전한다. $90^{\circ}$하이브리드 칩 소자 회로를 설계하고, $90^{\circ}$위상차가 나는 출력 포트를 패치안테나에 각각 공급한다. 설계된 패치와 $90^{\circ}$하이브리드 회로를 FR4 기판에 구현하고 이들을 결합한다. 구현된 안테나에 대한 정재파비 측정결과, 2:1 기준으로 29% BW (1,230~1,700 MHz)을 얻었으며, 축비 밴드폭은 3dB 기준 15.87% BW (1,400~1,650 MHz)의 광대역 특성을 얻었다. 이득은 중심 주파수에서 2.75dBi으로 측정되었다.

광대역 버틀러 매트릭스와 위상 천이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빔포밍 안테나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Hybrid Beamforming Antenna System Using Broadband Butler Matrix and Phase Shifter)

  • 최세환;최재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501-50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버틀러 매트릭스와 위상 천이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빔포밍 안테나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설계 및 측정하였다. 기존 $4{\times}4$ 버틀러 매트릭스는 4개의 빔패턴과 낮은 이득 때문에, $8{\times}8$ 버틀러 매트릭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 때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적층 및 양면 패턴으로 설계하게 되며, 이는 비아홀 및 Cross-over 구조에 의한 손실로 성능이 열화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하이브리드 빔포밍 안테나 시스템의 경우, 비아홀 손실로 인한 성능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면 패턴으로 구조를 단순화하였다. 또한, 두 개의 위상 천이기를 추가함으로써, 다양한 빔패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제안한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하여, 16개의 입력조합으로 ${\pm}45^{\circ}$의 빔조향 각도에서 10 dBi 이상의 방사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

전송선으로 연결된 광대역 주, 부 안테나 (Broadband Main and Sub Antenna Connected by the Transmission Line)

  • 박민길;손태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2-49
    • /
    • 2014
  • 주안테나와 부안테나를 이용하여 휴대폰 및 ITS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 광대역특성의 안테나를 설계한다. 두 안테나는 모노폴과 IFA(Inverted F Antenna)가 합쳐진 하이브리드 안테나로 설계한다. 주안테나와 부안테나 사이는 전송선로로 연결한다. 작은 크기의 부안테나를 단말기 내 임의장소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LTE700, CDMA, GSM, DCS, PCS 및 WCDMA의 6중 주파수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를 휴대폰 크기의 베어보드에 설계하고 이를 구현한다. 구현된 안테나에 대한 반사손실 측정결과, VSWR 3:1 기준으로 설계대역 전체를 만족하였다. 또한 안테나에 대한 방사특성은 LTE700/CDMA/GSM 주파수대역에서 평균이득 -3.78 ~ -2.62dBi 및 41.9 ~ 54.73%의 효율, DCS/PCS/WCDMA 주파수대역에서는 평균이득 -3.75 ~ -1.84dBi 및 42.19 ~ 65.46%의 효율을 보였다.

위성 반사경 안테나 변형으로 인한 초점영역의 전자장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ield distribution in focal plane for the shape deformations of Satellite antenna)

  • Yi Sang-Hoi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2A권12호
    • /
    • pp.36-47
    • /
    • 1995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a new focal point and field distribution due to the shape deformation of reflector antenna by numerical method such as geometrical optics and the aperture field method. It is shown the 4 types deformations to be added into original shape of parabola antenna and offset antenna: linear, quadratic, cubic and hybrid distortion.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deformed reflector antenna in order to fit a focal point and radiation pattern.

  • PDF

90도 하이브리드 칩 회로를 이용한 GPS용 패치안테나의 광대역화 (Bandwidth Enhancement for the GPS Patch Antenna Using the Quadrature Hybrid Chip Circuit)

  • 손태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765-76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GPS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의 대역특성을 넓이기 위하여 90도 하이브리드를 적용한 2포트 급전을 제안한다. 패치는 정사각형 패치이며, 급전은 프로브 급전한다. 90도 하이브리드 칩 소자 회로를 설계하고, 90도 위상차가 나는 출력 포트를 패치안테나에 각각 공급한다. 설계된 패치와 90도 하이브리드 회로를 FR4 기판에 구현하고 이들을 결합한다. 구현된 안테나에 대한 정재파비 측정결과, 2:1 기준으로 29 %BW(1,230~1,700 MHz)을 얻었으며, 축비는 3 dB 기준 15.87 %BW(1,400~1,650 MHz)을 얻었다. 무반사실에서 측정한 안테나의 최대이득은 GPS 중심주파수에서 2.75 dBi를 얻음으로써 실용화에 대한 가능성을 보였다.

모멘트법과 기전력법을 적용한 계산가능 다이폴안테나의 안테나 인자 특성 비교 (A Comparison of Antenna Factor Characteristics for a Calculable Dipole Antenna by MoM and EMF Method)

  • 김기채;김상명;김기출;권재용;강태원;김정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75-28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balun을 갖는 계산가능 다이폴안테나의 안테나 인자 특성을 모멘트법과 기전력법으로 계산하여 비교하고 있다. 안테나 인자의 표현식은 전력부정합손실의 개념을 적용하여 도출한 식을 사용하였으며, 안테나 인자의 계산에서 나타나는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 및 유효길이는 모멘트법과 기전력법을 적용하여 계산하고 있다. 그 결과, 모멘트법과 기전력법에 의한 입력 임피던스 특성은 최대 17 ${\Omega}$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지만, 안테나 인자 특성은 0.24 dB 이내에서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