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yGIS-Model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Estimating Watershed Characteristics Using Hydrologic Geography Information System (HyGIS를 이용한 유역특성인자 추출에 대한 검토)

  • Kim, Kyung Tak;Choi, Yun Seok;Park, Dong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267-1270
    • /
    • 2004
  •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한 기술이 수자원분야에서 필수적인 GIS 활용기술인 이유는 DEM을 이용할 경우 유역의 수문학적 지형특성인자를 객관적인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분포형 수문모형을 개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GIS를 이용하여 수문모형의 입력인자를 추출한 다든가 분포형 수문모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DEM을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GIS S/W인 Arc/Info, ArcView, WMS 등에서 DEM을 활용하여 수문학적인 유역분석 기능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DEM을 이용하여 하천망을 추출하고, 유역을 분한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역 Boundary 내에서의 지형특성인자를 추출하는 기능을 말한다 본 연구는 수자원분야에서 GIS를 활용할 때 필요한 필수기능인 DEM의 활용기술을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하였다. DEM활용에 대한 최신 알고리즘을 검토하여 국내 기술로 개발된 GIS Engine인 GEOMaina v.3.0을 이용하여 수문학적인 DEM 활용 Module을 개발하였으며 HyGIS(Hydrologic Geography Information System)라 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HyGIS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지형특성인자를 추출하고 기존에 사용되어오던 GIS S/W와 비교 검토하여 HyGIS의 환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Hydraulic/Hydrologic Model with HyGIS (HyGIS와 연계한 수리/수문통합 모형의 개발)

  • Han, Kun-Yeun;Ahn, Ki-Hong;Kim, Kyung-Rock;Park, Ho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40-845
    • /
    • 2006
  • 본 연구는 수리.수문 모형화에서의 시공간 자료 분석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국내 GIS엔진인 GeoMania를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HyGIS와 수리.수문 연계모형을 확립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로, 현재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HEC-HMS 모형과 HEC-RAS 모형을 선정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모형의 입 출력 구조, GIS와의 연계방안 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HyGIS-HMS 모형과 HEC-RAS 모형의 개발은 국내 GIS엔진인 GeoMania-Pro와 Add-ON 방식으로 연계되어 구동되며, 입력자료는 GeoMania-Pro 프로그램 상에서 GUI에 의한 대화식으로 구성되었다.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 DEM의 구축과 종합적인 유역분석 및 체계적인 하천에 대한 지형학적 자료구축과정을 제시하였고, 국내 하천유역 및 하도망의 Geo DB와 연계되는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Thiessen 계수 계산 결과에 신뢰성을 제고하였고, CN값 구성과정은 국내 유역상황과 자료구축과정에 적합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GRID를 이용한 하천에 대한 지형학적 자료구축 과정에 있어 보다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고, HyGIS-HMS 모형 및 HyGIS-RAS 모형에 대한 입력자료의 구성이 편리하도록 GUI를 이용한 입력자료 구성 모듈이 적용되었고, 이러한 입력자료가 파일로 구성이 되어 각 모형에 적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HEC-HMS 및 HEC-RAS를 이용한 HyGIS-HMS 모형과 HyGIS-RAS 모형을 개발함로써 국내유역에 대한 수리 수문 모델링시 사용자들이 하나의 GIS 엔진상에서 필요한 제반사항을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엔지니어링 회사, 수자원기술자, 수자원관련 연구자들에 의해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이 보다 향상될 것이다.>에서 $0.0190m^3/s$로, 갈수량$(Q_{355})$$0.0176m^3/s$에서 $0.0189m^3/s$로 약 7%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로부터 침투 트렌치는 저수량 및 갈수량을 증가시키는 보조수단이 될 수 있다.해 보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역의 물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 PDF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the Calculating Hydrological Geographic Parameters Using GIS (GIS를 이용한 수문학적 지형인자 산정에 대한 비교검토)

  • Kim, Kyung-Tak;Choi, Yun-Seok;Lee, Hyo-J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
    • /
    • pp.25-39
    • /
    • 2010
  • Recently, GIS softwares such as WMS, ArcHydro, and HyGIS which can calculate hydrological geographic parameters are popularized. These softwares have the functions to calculate various geographic parameters which are used in water resources from DEM (Digital Elevation Model). In this study, hydrological geographic parameters calculated by WMS and ArcHydro are compared and examined with them from HyGI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arameters from HyGIS. Bochungcheon (Riv.), Wicheon (Riv.), Pyungchanggang (Riv.), Gyungancheon (Riv.), Naerincheon (Riv.), and Imjingang (Riv.) watersheds a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 shape of watershed, watershed area, watershed slope, the average slope of watershed, main stream length, main stream slope, maximum flow distance, and the slope of maximum flow distance are calculated to compare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Study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relative error of 7 geographic parameters from all the watersheds is 4.77 %, and all the watershed boundaries are very similar. So, all the geographic parameters calculated by each software show very similar value, and the geographic parameters calculated by HyGIS can be applied to water resources with WMS and ArcHydro which have been generally used.

Development of Qual2E Interface System Coupled with HyGIS (HyGIS와 Qual2E의 연계 시스템 개발)

  • Park, In-Hyeok;Kim, Kyung-Tak;Ha, Seong-R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2
    • /
    • pp.96-108
    • /
    • 2011
  • Going abreast of high public concerns on the environment, the need of environmental modeling has been increased to assess the impact of space exploitation of environment. GIS offers potential solutions to the many problems encountered during water-quality modeling. But there are also many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modeling. The preparation of necessary parameters for the modeling can be complicated. Also, the results from one model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the same area is analyzed.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data processing system to couple the Qual2E and HyGIS in which Qual2E input and output data files can be created, modified and processed using HyGIS and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A structural analysis and standardization of modeling are conducted to identify data flow and processing of Qual2E. Algorithms of the defined processors are designed and developed as component modules. The data model of HyGIS-Qual2E is designed, and GUI(Graphical User Interface) is developed using Visual Basic 6.0 and GDK.

Development of Soil Erosion Analysis Systems Based on Cloud and HyGIS (클라우드 및 HyGIS기반 토양유실분석 시스템 개발)

  • Kim, Joo-Hun;Kim, Kyung-Tak;Lee, Jin-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4
    • /
    • pp.63-76
    • /
    • 2011
  • This study purposes to develop a model to analyze soil loss in estimating prior disaster influence. The model of analyzing soil loss develops the soil loss analysis system on the basis of Internet by introducing cloud computing system, and also develops a standalone type in connection with HyGIS. The soil loss analysis system is developed to draw a distribution chart without requiring a S/W license as well as without preparing basic data such as DEM, soil map and land cover map. Besides, it can help users to draw a soil loss distribution chart by applying various factors like direct rain factors. The tools of Soil Loss Anaysis Model in connection with HyGiS are developed as add-on type of GMMap2009 in GEOMania, and also are developed to draw Soil Loss Hazard Map suggested by OECD. As a result of using both models, they are developed very conveniently to analyze soil loss. Hereafter, these models will be able to be improved continuously through researches to analyze sediment a watershed outlet and to calculate R value using data of many rain stations.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a Distributed Model at the Downstream of Dam (댐 하류 지점에 대한 분포형 모형의 적용성 평가)

  • Choi, Yun-Seok;Kim, Kyung-Tak;Shim, Myung-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9
    • /
    • pp.703-713
    • /
    • 2009
  • Dam has very important roles in both water use and flood control. Dam release and runoff from rainfall affect directly to the flood control at the downstream of dam during heavy storm especially. This study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a distributed model by applying the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based on HyGIS (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 to runoff modeling at the downstream of dam where the discharge from dam and rainfall affect simultaneously. In order to do this, Yeoju watershed in Han River basin is selected. Rainfall data and discharge from Chungju regulation dam and Hoengseong dam are applied to runoff simulation. The modeling results are verified with Yeoju water level station, and they show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hydrographs. And this study shows that GRM is able to simulate appropriately the effect of dam discharge and rainfall on watershed runoff.

The Verification of Application of Distributed Runoff Model According to Estimation Methods for the Missing Rainfall Data (결측강우보완방법에 따른 분포형 유출모형의 적용성 검증)

  • Choi, Yong-Joon;Kim, Yeon-Su;Lee, Gi-Ha;Kim, Joo-Cheol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9 no.12
    • /
    • pp.1375-138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nge of runoff characteristics by estimated spatial rainfall. Therefore, this paper largely composed of two parts. First, we compared the simulated result according to estimation method, ID(Inverse Distance Method, ID2(Inverse Square Distance Method), and Kr(General Covariance Kriging Method), after letting miss rainfall data to the observed data. Second, we reviewed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ed runoff model according to the estimated spatial rainfall. On the basis of Yuseong water level station, we select the target basin as Gabchun watershed. We assumed 1 point or 2 point of the 6 rainfall gauge stations in watershed were missed. We applied the spatial rainfall distributed by Kr to Hy-GIS GRM, distributed runoff model. When 1 point rainfall data is missed, Kr is superior to others in point rainfall estimation and runoff estimation of Hy-GIS GRM. However, in case rainfall data of 2 points is missed, all of three methods did not give suitable result for them. In conclusion, Kr showed better applicability than other estimated methods if rainfall's data less than 2 points is missed.

Sensitive Analysis of GRM Parameter (GRM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 Choi, Yun-Seok;Kim,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14-11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HyGIS(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환경에서 구동되는 물리적 분포형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모형(HyGIS-GRM)에서 사용자에 의해 추정되는 주요 매개변수인 초기포화도, 하도 최소경사, 하도 조도계수에 대한 민감도를 분석하고, 모형의 보정을 위한 각 매개변수의 추정 과정을 고찰하였다. 매개변수 민감도 평가는 초기포화도, 하도 최소경사, 하도 조도계수를 대상으로 각각을 기준 값에서 ${\pm}2%$ 간격으로 ${\pm}10%$까지 변화시킨 후 이를 유출모의에 적용하고, 첨두유량, 첨두시간 및 총유출량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초기포화도는 첨두유량, 첨두시간 및 총유출량에 대해서 모두 가장 민감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도 조도계수는 첨두시간에 대해서는 초기포화도와 유사한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첨두유량과 총유출량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하도 최소경사는 첨두시간에 대해서는 초기포화도 및 하도 조도계수와 유사한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첨두유량에 대해서는 하도 조도계수와 유사한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총유출량에 대해서는 민감도가 매우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The Assessment of Application of the Distributed Runoff Model in accordance with Rainfall Data Form (강우 자료 형태에 따른 분포형 유출 모형의 적용성 평가)

  • Choi, Yong Joon;Kim, Joo 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26 no.2
    • /
    • pp.252-260
    • /
    • 2010
  • The point rainfall measurements need to be converted to the areal rainfall by means of mean areal precipitation (MAP) estimation methods. And it is not appropriate to evaluate the areal rainfall with constant drift because of the geomorphological influences to rainfall field. Non-stationarity should be applied to the estimation of the areal rainfall, therefore, to consider these effects. Kriging methods with special functional would be a suitable tool in this case. Generalized covariance Kriging method is the most developed one among different Kriging method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performs the analysis of its applicability to distributed runoff model. For these purpose, distributed rainfall was created by Thiessen and Kriging method. And distributed rainfall of each method was applied into HyGIS-GRM. The result of applying, Runoff was different in the rainfall data form. Therefore, To apply Kriging method with physical meaning is that it is the useful method as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Development of QGIS plugin GUI for the GRM Model and Free Open (GRM 모형의 QGIS Plugin GUI 개발 및 모형 공개)

  • Choi, Yun Seok;Park, Sang Hoon;Kim, Kyung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8-3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의 확장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3가지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는 기존의 GRM은 HyGIS, MapWindow GIS 등과 같은 GIS 소프트웨어 및 Microsoft MDB와 코드 수준에서 통합된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특성은 GRM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시스템 개발시 제약 조건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RM 모형을 GIS 및 데이터베스와 코드 수준에서 분리하여 GRMCore.dll을 개발하였다. GRMCore.dll은 콘솔 모드 및 GUI에서 유출해석을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실시간 유출해석시스템 등과 같이 유출 해석을 위한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두 번째는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오픈소스 GIS 인 QGIS의 plugin으로 GRM 모형의 GUI(QGIS-GRM)를 개발하였으며, GRM 모형의 입력자료 구축을 위해 TauDEM을 이용해서 Drainage Tool을 개발하였다. Drainage Tool에서는 격자별 흐름방향, 하천망, 유역 등과 같은 수문학적 공간정보를 DEM을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세 번째는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오픈소스로 공개하였다. 공개 대상은 GRM 모형, QGIS-GRM, Drainage Tool 등이며, 각 소프트웨어에 대한 매뉴얼을 포함하고 있다. 소스코드의 공개는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오픈소스 플랫폼인 Github(https://github.com/floodmodel/)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기존에는 특정 소프트웨어에 코드 수준에서 의존적이던 GRM 모형의 독립성을 향상시켰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적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QGIS 기반의 GUI 개발, 모형 입력자료 구축 도구의 개발,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오픈소스화 등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좀 더 쉽게 GRM 모형을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