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wang Jin-yi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7초

터널 굴착면에서의 전기비저항 탐사 적용성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imulation study on applicability of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t tunnel face)

  • 이명종;김낙영;이상래;황범식;하명진;김기석;조인기;이강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79-292
    • /
    • 2022
  • 설계 단계의 지반조사에서 예측되지 않은 이상대는 터널 시공 중 많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널의 붕괴 예방을 위해 터널 시공 중 굴착면 전방의 지질상태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터널 굴착면에서 전기비저항 탐사를 하더라도, 기존의 전기비저항 탐사 프로그램들은 터널을 모델링하지 못하기 때문에 왜곡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터널의 형태를 고려할 수 있는 전기비저항 모델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터널에서 전기비저항 탐사에 대한 수치모델링 및 역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굴착면 전방의 이상체의 위치 및 상태를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형수직구에 설치된 강성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산정방법 (Earth Pressure Equation Acting on the Cylindrical Diaphragm Wall in a Shaft)

  • 공진영;신영완;황의성;천병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1-29
    • /
    • 2009
  • 평면변형조건의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은 벽체의 형태에 따라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거의 통일된 방법이 설계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중연속벽(diaphragm wall)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원형수직구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은 정지토압을 적용하여 설계하고 있어 안전측이지만 과다한 단면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지반에 설치된 원형수직구의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에 의해 강성벽계에 작용하는 평형토압을 산정하기 위해 변형구속범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또한, 원통형벽체 모형실험을 통하여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분포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토압은 주동토압보다 약 1.4배 크고 정지토압보다 0.8배 작았으며, 변형구속법에 의한 예측값과 전반적으로 잘 일치하였다.

Lycopene Content and Fruit Morphology of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Germplasm Collections

  • Jae-Jong Noh;On-Sook Hur;Na-Young Ro;Jae-Eun Lee;Ae-Jin Hwang;Bit-Sam Kim;Ju-hee Rhee;Jung Yoon Yi;Ji Hyun Kim;Ho-Sun Lee;Jung-Sook Sung;Myung-Kon Kim;Awraris Derbie Assefa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32
    • /
    • 2020
  • High-quality and high-phytonutrient watermelon fruits have strong market opportunities besides their health related benefits. Hence, investigating quality and nutritional related traits of watermelon genetic resources could provide important baseline data in breeding for increased lycopene content thereby increasing the marketability of watermelon. To this end, we have examined some fruit morphological traits and lycopene content of 105 genetic resourc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recorded on the field and inside laboratory and lycopene was measured using spectrophotometric and HPLC methods. Watermelon fruits have shown a diverse morphological characters. Red and pink fleshed fruits dominated in the entire collections. Fruits with higher thickness of rind were found to exhibit less soluble solid content (SSC). Korean origin fruits were characterized by intermediate SSC while USA, RUS, TJK, TKM, TWN, and URY originated fruits had the highest SSC. The lycopene content varied between 41.37 and 182.82 ㎍/g, 2.81 and 163.72 ㎍/g, and 3.54 and 255.47 ㎍/g using HPLC, UV-Vis, and microplate reader instrumnets, respectively. Red- and pink-fleshed fruits had the highest levels of lycopene content compared to the yellow- and orange-fleshed. Lycopene cont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SC, however, no correlations were detected between lycopene and other quantitative fruit morphological characters.

  • PDF

대기 연직별 에어로졸 내 PAHs 농도분포 특성 (Vertical Distribution of PAHs Concentrations in the Aerosol)

  • 황은진;안강호;은희람;이홍규;이양우;이지이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69-17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기 중 연직방향의 혼합에 의한 PAHs 성분의 농도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모든 측정기간 동안 지상에서의 총 PAHs 농도가 상공에서 관측한 결과보다 높았고, 약 4-5배정도 높았다. 고도별 PAHs성분들의 구성비율은 동일 측정날에서는 PAH 성분들의 구성비율이 유사하였지만, 측정일별로는 다른 분포를 보였다. 이를 통해 상공에서의 PAH 성분들의 농도분포는 지상의 PAH 성분들의 농도분포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정 PAH 성분들의 분포비율을 바탕으로 지상과 상공의 PAHs 분포 및 배출특성을 살펴본 결과, 상공의 PAH 성분들은 지상에 비해 대기 체류시간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지상과 상공 모두 동일하게 바이오매스 및 석탄의 연소에 의한 배출영향이 지배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고도별 입자상 PAH 성분들의 농도 특성을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상공에서의 PAHs 농도의 보다 명확한 특성파악을 위해서는 고도별 PAHs 농도 프로파일이 작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동일 측정일에 다양한 고도에서의 입자 시료의 확보가 요구된다.

소하천에서 담수어류 표피에 부착된 미세조류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f Epizoic Algae Attached on the Freshwater Fishes in a Small Stream (lan Stream), South Korea)

  • 신재기;서진원;이혜숙;정선아;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462-468
    • /
    • 2004
  • 하천의 환경성 평가에서 부착조류 조사는 주로 비이동성 기질(돌, 식물, 모래, 점토 및 식물체 등)에 누적된 영향을 반영한 반면에 이동성 기질을 이용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소하천 생태계에서 어류 표피에 부착된 미세조류의 종조성과 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서식처 환경을 분석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현장 조사에서 우점한 어류는 계류성 어종에 속하는 갈겨니 (Zacco temmincki)와 피라미 (Zacco platypus)이었고, 상대도수는 각각 62%, 19%를 차지하였다. 어류는 광역이동의 대표적인 생물로서 기존의 한 장소에 고정된 부착생물의 기질과는 비교가 될 수 있었고,어류에 부착된 미세조류의 구성으로 볼 때 하천 상하류 구간의 현재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부착 미세조류는 규조류가 주류를 이루었고, 다른 분류군도 소수 관찰되었다. 또한, 생태학적 측면에서 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수환경 평가의 생물학적 도구로 제시하고자 한다.

입원 초기 지표를 통한 호스피스 환자의 퇴원 형태 예측 (Prediction of Patient Discharge Status Based on Indicators on Admission)

  • 정성인;이승훈;김윤진;이상엽;이정규;이유현;조영혜;탁영진;황혜림;박은주;김경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3호
    • /
    • pp.75-83
    • /
    • 2018
  •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환자의 기대 여명 예측뿐 아니라 퇴원형태를 예측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입원 초기 환자의 퇴원 형태 예측에 유의한 요소들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완화의료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16년 4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P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568명 중 3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입원 시 사정한 환자의 수행 지수, 증상 및 징후, 사회 경제적 상태와 혈액검사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입원 당시 높은 수행지수, 양호한 증상 및 징후, 정상에 가까운 혈액검사 수치를 보일 때 생존 퇴원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환자의 퇴원형태 예측에 ECOG, KPS, Global health, Mental status와 같은 수행지수, dyspnea, anorexia, dysphagia, fatigue와 같은 증상 및 징후, CBC, LFT, BUN, CRP 혈액검사 수치가 유의한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외식업체 종사자의 조미료 및 감미료 사용에 대한 인식 조사 (The Perceptions of Foodservice Workers on Use of Seasonings and Sweeteners in the Restaurants)

  • 이진실;이나영;박대섭;홍정연;황혜선;백진경;권용석;최승균;홍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9-56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foodservice industry workers in regard to the use of seasonings and sweeteners in the restaurant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902 foodservice workers of various restaurants. Participants were questioned on their perceptions of both natural and artificial seasonings & sweeteners. Furthermore,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questions regarding the need of public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seasonings and sweeteners, along with the demographic inform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65.7% of respondents used both the artificial seasoning and artificial sweeteners, while 9.9% of respondents used only natural seasonings and sweeteners. The restaurant employees answered that they have tried to reduce the use of artificial seasonings and sweeteners(3.69/5 point). Some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ve tried to increase the used of natural seasonings and sweeteners(3.54/5 poi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on the seasonings and sweeteners by the restaurant type(p<0.05).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safety of artificial seasonings and sweeteners(3.71/5point)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natural seasonings(3.75/5 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dents' perceptions on the need for education of the seasonings and sweeteners by the restaurant type. Th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 regarding the use of artificial seasoning and artificial sweeteners, as well as cooking methods that use natural seasonings, is needed to reduce the use of artificial seasonings and sweeteners in restaurants.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cute Exacerbation in COPD

  • Lee, Seung-Jun;Lee, Seung-Hun;Kim, Yu-Eun;Cho, Yu-Ji;Jeong, Yi-Yeong;Kim, Ho-Cheol;Kim, Jin-Hyun;You, Jin-Jong;Yoon, Chul-Ho;Lee, Jong-Deog;Hwang, Young-Si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4호
    • /
    • pp.367-373
    • /
    • 2012
  • Backgrou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now regarded as a heterogenous disease, with variable phenotypes. Acute exacerbation of COPD is a major event that alters the natural course of disease. The frequency of COPD exacerbation is variable among patients. We analyzed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cute exacerbation in COPD. Methods: Sixty patients, who visited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10 to October 2010, were enroll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frequency of acute exacerbation. Frequent exacerbator is defined as the patient who has two or more exacerbation per one year. We reviewed patients' medical records and investigated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MMRC) dyspnea scale, smoking history and frequency of acute exacerbation. We also conducted pulmonary function test and 6-minute walking test, calculated body mass index, degree of airway obstruction and dyspnea and exercise capacity (BODE) index and measured CD146 cells in the peripheral blood. Results: The number of frequent exacerbators and infrequent exacerbators was 20 and 40, respectively. The frequent exacerbator group had more severe airway obstructio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_1$], 45% vs. 65.3%, p=0.001; $FEV_1$/forced vital capacity, 44.3% vs. 50.5%, p=0.046). MMRC dyspnea scale and BODE ind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requent exacerbator group (1.8 vs. 1.1, p=0.016; 3.9 vs. 2.1, p=0.014, respectively). The fraction of CD146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requent exacerbator group (2.0 vs. 1.0, p<0.001). Conclusion: Frequent exacerbator had more severe airway obstruction and higher symptom score and BODE index. However, circulating endothelial cells measured by CD146 needed to be confirmed in the future.

주부 소비자의 쌀 가공제품 이용실태 및 요구도 조사 (The Housewife's Current Use and Demand for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 김수민;이진실;한정아;김영식;백진경;황혜선;이나영;박대섭;홍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5-104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e and the demand for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by full-time and working housewives in a metropolitan area. Out of 33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00 were analyzed(90.9% response rate). It was reveal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54.0%) had use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regardless of their occupation. Most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used rice food products because of the variety of the products, digestibility and the taste. The development necessity for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was analyzed, showing that rice cake(3.86), rice sauce(3.64), and rice cookie(3.89) had the highest score in each category. The average demand for education and promotion of rice food products was 3.89; among 7 items, menu recipe using rice flour was highly demanded(4.18) by the respondents. Approximately 43.0% of the respondents agreed that the interne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learning about rice flour cooking, and the respondents who have use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59.5%) were more likely to attend education programs compared to housewives who have not use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44.5%)(p<.05). Full-time housewife(59.4%) had a greater tendency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program than working woman(44.4%)(p<.001). The findings suggested that various processed rice flour products with convenience to use and prolonged shelf-life will be needed.

한국형발사체 7톤급 엔진의 개발 시험 현황 (Development Status of the 7-Tonf-class Engine for KSLV-II)

  • 이광진;김성룡;김성혁;김승한;김채형;서대반;우성필;유병일;소윤석;이승재;이정호;임지혁;전준수;조남경;황창환;한영민;김진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9-97
    • /
    • 2018
  • 한국형발사체 3단에 사용하기 위한 7톤급 엔진의 개발 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2기의 engineering model 엔진을 가지고 수행된 연소시험은 시험조건에 따라 지상 시험과 고공 시험으로 구분된다. 엔진의 작동성 검증을 위해 수행된 short duration과 long duration 시험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내구성 검증을 위해 수행된 full duration 시험에서는 일부 개선 사항들이 발견되었다. 종합적으로, 엔진 개발에 힘을 더할 수 있는 고무적인 데이터들이 7톤급 엔진 시험으로부터 획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새 엔진들이 제작되고, 제작된 엔진은 연소시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검증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