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nter L*a*b*

검색결과 719건 처리시간 0.024초

알칼리 및 효소처리가 멸치추출액의 산도, 점도 및 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protease Treatments on Acidity, Viscosity and Color of Anchovy Extracts)

  • 박주영;김혜경;김우정;윤숙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8-492
    • /
    • 1988
  • 멸치추출액의 제조과정중 멸치를 0.3N NaOH용액으로 마쇄하여 1,3,5시간 동안 알칼리 처리한 뒤 알칼리와 중성 단백질 분해효소로 4시간 가수분해하면서 얻어진 멸치마쇄액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멸치추출액의 물리적 품질로서 점도, 색, 총산도. 및 상등액의 양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효소처리한 멸치 마쇄액의 상등액량을 전체무게에 대하여 89%로서 70%인 비교구보다 약 20%증가되는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상대점도는 효소처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산도는 반응초기에 현저히 증가하였다가 그 후 완만하여 졌으며 Hunter값으로 표시된 색의 변화는 ‘L’값이 점점 감소하여 어두워졌으며 이러한 현상은 알칼리처리를 많이한 시료일수록 더욱 현저하였다. 한편 ‘a’값의 변화는 효소를 반응시키는 동안 일정한 변화경향은 없었으나 엷은 붉은색 범위를 보여 주었고 'b'값은 효소처리에 의하여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 PDF

담금방법을 달리한 부추김치의 색과 조직특성 (Color and Texture Properties of Puchukimchi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 박문옥;김나영;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1-327
    • /
    • 2000
  • 본 연구는 부추김치의 담금방법에 따른 부재료가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금을 첨가한 처리구 A, 간장을 첨가한 처리구 B, 간장과 들깨가루를 첨가한 처리구 C, 멸치액젓을 첨가한 처리구 D, 멸치액젓과 찹쌀풀을 첨가한 거리구 E로 담금 즉시 1$0^{\circ}C$에서 43일간 발효시키면서 색과 조직특성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클로로필 및 카로티노이드의 잔존율은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Hunter's color value에서 녹색도를 나타내는“a”값이 감소하였다. 특히 멸치액젓과 찹쌀풀을 첨가한 처리구 E의 녹색이 가장 감소하였다. 2. 수용성 펙틴과 고형분 함량은 전반적으로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는데. 대체로 처리구 B>C>D>E>A의 순이었다. 3. TDF 함량은 발효숙성 초기와 큰 차이가 없다가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다. TDF 함량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SDF와 IDF의 조성에는 변화가 있었는데, 발효숙성 8일째에는 SDF 함량이 전반적으로 5배에서 7배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발효숙성은 처리구 B>C>E>D>A의 순으로 빨리 진행되어 간장은 부추김치의 발효숙성을 빠르게 하였으며, 들깨가루 첨가는 발효숙성 말기에 오히려 발효숙성을 촉진하였고, 멸치액젓과 찹쌀풀 첨가는 부추김치의 변색을 가장 빨리 유발하였다는 결과로 보아 담금방법에 따라 부추김치의 발효숙성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부추김치 담그는 목적에 따라 부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ED 처리에 의한 고춧가루의 미생물 저감화 및 품질특성 (Effects of LED Treatment on Microbial Reduc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owder)

  • 윤혜정;박경훈;류경열;김세리;윤종철;김병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2-448
    • /
    • 2012
  • 고춧가루의 LED(적색, 황색, 청색, 녹색광) 처리시 저장기간 중 미생물 저감화, 수용성 색소, capsanthin 함량, 표면 색도(Hunter L, a, b, ${\Delta}E$)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저장기간 중 총 호기성 세균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효모 및 곰팡이의 경우 황색 LED 처리군에서 1.76 log 감소되었다. 표면 색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색차는 황색 LED 시료에서 ${\Delta}E$ 값이 3.0 이하로 나타나 다른 시료군에 비해 색도의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 색소는 저장기간 중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capsanth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적색 LED 시료와 황색 LED 시료는 저장 10일 후 초기와 유의적인 capsanthin 함량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능적 품질은 대조군의 경우 외관, 색 및 상품성이 저장기간 중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황색 LED 시료와 녹색 LED 시료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잡곡을 이용한 압출면의 제조와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Extruded Noodles Mixed with Cereals)

  • 황인국;정헌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85-69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잡곡을 원료로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하여 압출면을 제조하고 삶음 후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잡곡 압출면의 삶음 후 중량, 수분흡수율, 부피는 각각 52.40~54.14 g, 161.74~170.16% 및 49.00~52.00 $m{\ell}$로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국물의 탁도는 0.60~0.87로 높게 나타났다. 삶음 전 잡곡 압출면의 색도는 대조구에 비해 L, b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였으며, 삶음 후 L값은 증가하고, a와 b값은 감소하였다. 잡곡 압출면 EN-2과 EN-3의 견고성, 부착성, 탄력성, 씹힘성, 검성, 응집성은 대조구와 유사한 조직감 특성을 보였다. 잡곡 압출면 EN-1의 외관, 풍미, 씹는 동안의 조직감,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게 평가되었지만, N-2와 EN-3은 유사한 관능특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한 잡곡 압출면의 제조가 가능하며, 잡곡 압출면 제조시 녹두 첨가는 잡곡 압출면의 관능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클로렐라 음료의 제조와 그 품질 특성 (Preparation of Chlorella Drinks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 김정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82-387
    • /
    • 2004
  • 영양적, 기능적 면에서 우수성을 지닌 클로렐라를 소재로 한 음료와 여기에 매실을 첨가한 혼합음료 즉, 클로렐라 추출물 5%액과 10%액의 음료와 클로렐라 추출물 5%액에 매실액 0.2%와 0.4%액을 혼합한 음료 등 4종류를 제조하고, 그 특성과 안전성, 그리고 선호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양적으로는 단백질, 당질, 무기질(Zn, Fe, Mn, Ca, Na, Mg, K, Cu) 등이 상당량 들어 있으며, 지질은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클로렐라와 매실에 지질함량이 적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당질이 많이 검출된 것은 첨가물로 설탕을 넣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색도 검사에서는 클로렐라 추출물 10%액이 5%액보다 명도, 적색도, 황색도 등이 모두 감소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5%액에 매실액 0.2%와 0.4%액을 혼합한 경우에는 0.4%액이 0.2%액에서 보다 명도, 적색도는 감소한 반면 황색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안전성 확인을 위해 각 제품에 대하여 중금속 검사, 세균 및 대장균의 검사 등을 실시한 결과 모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색깔, 맛, 향, 선호도에서 클로렐라 추출물 5%액에 매실액 0.4%을 첨가한 음료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클로렐라 추출물 5%액에 매실액 0.2%를 첨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는 클로렐라 추출물 10%액인 것으로 나타났다.

감국 첨가 주악의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Quality of Juak with Chrysanthemum indicum L.)

  • 최영옥;김귀순;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35-942
    • /
    • 2009
  • For the economical use of the medicinal effects and functional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gamkug) this study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uak (tradition Korean rice cakes such as backed rice cakes)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Chrysanthemum indicum L. powder (0, 1, 2, 3, 4, 5%). The diameter of the juak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the added gamkug powder, whereas the height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the powder. The Hunter colorimeteric L-values of the dough and gamkug-juak decreased as the amount of gamkug powder increased. Hunter a and b-values both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the gamkug powder. Textural characteristics results for the gamkug juak dough indicated increasing hardness and, chewiness values as the amount of gamkug powder increased. After cooking, there were decrease in hardness and chewiness as the amount of gamkug powder increased. Springiness, cohesiveness, brittle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the level of gamkug powder increased.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 results, appearance, color, and flavor showed significantlyn (p<0.001) higher scores as the addition level of gamkug powder increased. The 2~4% addition of gamkug powder presented significantly (p<0.001) higher scores for non-oily and herb tast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ory texture results among all treatments of the juak. After taste was deemed best for the containing 3% gamkug powder. Overall, the optimum addition level of gamkug powder was proposed as 3% in glutinous flour for attributes of appearance, taste, flavor, texture,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product.

  • PDF

깻잎 분말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erilla Leaf Powder and Carcass Grade on the Quality and Palatability of Pork Sausage)

  • 정인철;강세주;김종기;현재석;김미숙;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0-355
    • /
    • 2003
  • 본 연구는 깻잎 분말의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pH, 칼로리, 보수력, 아질산 잔류량, 표면색깔, 조직 특성, 아미노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을 실험하였다. 수분 줄 조회분 함량은 소시지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조지방은 B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보다 높았고, 깻잎 분말을 첨가한 B 등급육 소시지가 깻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낮았다. 그리고 조단백질 함량은 E 등급육 소시지가 B 등급육보다 높았다. 돈육소시지의 pH는 깻잎 분말을 첨가한 E 등급육 소시지가 6.19로 가장 높았으며, 칼로리는 깻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B 등급육 소시지자 2,473 cal/g으로 가장 높았다. 보수력은 깻잎 분말의 첨가와 관계없이 B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 소시지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아질산 잔류량은 깻잎 분말을 첨가한 돈육소시지가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낮았다. 돈육소시지의 $L^{*}$ (명도)은 B등급육이 E등급육보다, 깻잎 무첨가구가 깻잎 첨가구보다 높았으며, $a^{*}$ 값(적색도)는 B 등급육보다 E 등급육이, 깻잎 무첨가구가 깻잎 첨가구보다 높았고, $b^{*}$ 값(황색도)은 깻잎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높았다. 조직적 특성에서 경도, 탄성, 응집성 및 씹힘성은 소시지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뭉침성은 깻잎을 첨가한 E등급육 소시지가 644 g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총아미노산 함량은 소시지들 사이 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능적인 색깔 및 조직감은 B 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 소시지보다 우수하였으나, 향기 및 맛은 등급과 깻잎 분말의 첨가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전체적인 기호성은 깻잎 무첨가 소시지가 우수하였다.X>9t가 trans 지방산 이성 체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냉동피자의 C18:1 $\Delta$9t 함량은 30%를 초과하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슈크림 빵은 높은 C18:2t 함량을 보였으며(8.26%), 불고기버거와 피쉬버거의 C18:2t trans 지방산 함량은 3.26%와 3.34%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육가공품 및 튀김류 중 냉동 닭튀김과 냉동 감자튀김의 trans 지방산 함량이 15%~l9%의 수준으로 높았으며, C18:1$\Delta$9t과 C18:2t가 그 주된 성분이었다. 돼지고기구이 (목살)에서는 C18:1$\Delta$9t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냉동감자튀김에서는 C16:1 $\Delta$9t이 검출되지 않았다. 1회 분량 당 trans지방산 함량이 높은 식품은 팝콘, 냉동피자, 감자튀김과 닭튀김, 빵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 집단을 하나의 제도의 틀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총허용어획량(TAC)을 총 어촌 허용어획량(TAIVCs)과 총 허용 유어 어획량(TARCs) 및 총허용 상업적 어획량 (TACCs)의 세부문으로 나눌 것을 제안한다. 그리하여 다시 TAFVCs와 TARCs, 그리고 TACCs는 어촌별 어획량(ITCQs), 개별 유어 회사별 어획량(IRCQs), 그리고 양도 가능한 개별 상업적 어획량(ITCQs)으로 나누어 관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중국의 국가 총허용어획량(TAC)을 IFVQs와 IRCQs, 그리고 ITQCQs의 세부문으로 구분하여 할당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어업을 관리하는 것은 중국에 있어서 사회적 형평성과 경제적 효율성과의 상충관계를 고려하여 고안된 것으로, 중국에 있어서 수산업을 통한 경제적 및 사회적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근적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차 제품의 색상 및 카테킨류의 신속 측정 (Rapid Measure of Color and Catechins Contents in Processed Teas Using NIRS)

  • 천종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86-392
    • /
    • 2010
  • 녹차, 부분발효차, 발효차 및 후발효차 등 다양한 차 제품 분말을 NIRSystem를 이용하여 전 대역(400-2500 nm)에서 스펙트럼을 얻어 중회귀분석에 의해 색상 관련 특성 및 카테킨류 성분에 대한 검량식을 유도하였다. Hunter color scale에서 발효정도의 변이를 a/b로 98.7% 설명될 수 있어 a/b값으로 차제품의 발효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MPLS를 이용하여 작성된 검량식의 결과 L값의 검량식 작성시 결정계수는 0.997, a값의 결정계수는 1.00, b값의 결정계수는 0.996, a/b값의 결정계수는 0.999로 매우 높았다. MPLS를 이용하여 작성된 검량식의 결과 EGC, EC, EGCg, ECg 및 총 카테킨의 결정계수는 각각 0.919, 0.896, 0.978, 0.905 및 0.983으로 매우 높았다. 차 제품 분말의 색상관련 특성들(L, a, b, a/b) 및 카테친류 (EGCg, EGC, EC, ECg 및 총 카테킨) 의 검량식 정확도가 매우 높아서 NIRS의 가시광선 대역(400~700 nm)및 근적외선 대역(780~2500 nm)에서 동시에 두 특성의 성분을 1~2분 내로 측정이 가능하다.

렌틸콩 분말을 첨가한 마들렌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Added with Lentil (Lens culinaris) Powder)

  • 배단비;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816-182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렌틸콩 분말 첨가에 따른 마들렌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고자 밀가루 대비 렌틸콩 분말 0, 20, 40, 60%를 첨가한 마들렌을 제조하고 pH, 수분 함량, 비중, 굽기 손실률, 색도, 조직감,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렌틸콩 분말 첨가 마들렌의 품질은 렌틸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마들렌의 pH, 수분 함량 및 비중은 감소했지만, 굽기 손실률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 결과 마들렌의 crust와 crumb 모두 L값과 b값이 감소하고 a값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조직감 측정 결과 렌틸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점착성은 증가했지만,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렌틸콩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 결과 모든 평가항목에서 렌틸콩 분말을 20% 첨가한 마들렌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렌틸콩 분말 20%를 첨가하여 마들렌을 제조하면 마들렌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무농약 산머루 즙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added with Pesticide Free Wild Grape (Vitis amurensis) Juice)

  • 강창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01-30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무농약 산머루 즙의 양을 각각 50 g, 100 g, 150 g, 200 g 수준으로 다르게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하고 색도, 당도, 기계적 조직감,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무농약 산머루 양갱의 색도는 명도(L)값과 황색도(b)값이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반대로 적색도(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대조군이 2.31 Brix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점차 높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기계적 조직감은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 등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색, 향, 맛 등의 전체적 선호도에서 무농약 산머루 즙 150 g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