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nter′s color value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9초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늙은 호박 추출조건의 모니터링 (Monitoring on Extraction Conditions of Old Pumpki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66-470
    • /
    • 2001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for monitoring extraction conditions, based on quality properties of old pumpkin extracts. Hunter's color L value of extracts was maximized at 101℃, 2.6 hr and decreased gradually after maximum point. The polynomial equation for Hunter's color L value showed 10% of significance level and 0.8799 of R². Hunter's color a value was minimized at 117℃, 3.9 hr and R² of polynomial equation was 0.9852 within 1% significance level. Hunter's color b value and ΔE value increased as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Extraction yield of old pumpkin was maximized at 110℃, 4 hr and increased in proportional to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but decreased after 113℃ and 2 hr. Viscosity of pumpkin extracts were maximized at 120℃, nearly 3 hr. R² of polynomial equations for yield, viscosity and sugar content were 0.9532, 0.9812 and 0.8869, respectively. Optimum ranges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quality properties of old pumpkin were 102∼109℃, 2.5∼3.5 hr, respectively. Predicted values at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agreed with experimental values.

  • PDF

복분자 과립차 가공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preparation propertie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granule)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2-538
    • /
    • 2013
  •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과립차를 제조하고자 가공특성을 조사하였다. 복분자 추출물과 당 및 산을 적용하여 추출물 함량($X_1$, 0.4~1.2 g), 당 함량($X_2$, 6~10 g) 및 구연산 함량($X_3$, 0.1~0.3 g)의 비율로 혼합하여 과립에 관능적 특성 및 Hunter's color를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색상에 대한 가장 우수한 관능평점을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96 g, 당 함량 7.05 g 및 구연산 함량 0.232 g이었다.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향미를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86 g, 당 함량 6.04 g 및 구연산 함량 0.215 g이었다.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맛을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92 g, 당 함량 6.39 g 및 구연산 함량 0.251 g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86 g, 당 함량 6.65 g 및 구연산 함량 0.272 g이었다. Hunter's color b값의 반응표면은 전반적인 기호도의 반응표면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분자 과립차의 Hunter's color와 기호도는 Hunter's color a값 6.0, 복분자 추출물 함량 0.8 g 및 당 함량 0.6 g에서 선호되었다.

Threonine과 Sucrose 용액에 침지 및 볶음에 의한 도라지차의 색상 발현 모니터링 (Monitoring for the Color Formation of a Doraji Tea by Soaking of Threonine and Sucrose Solution and Roasting)

  • 이기동;정용진;박난영;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38-944
    • /
    • 1999
  • 도라지의 색상발현을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도라지의 threonine 침지농도 및 볶음조건에 따른 도라지차의 기계적 색도 및 관능적 색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기계적 색도와 관능적 색상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모두 0.87 이상으로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백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0.09%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42.37^{\circ}C$에서 21.94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1.24%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54.01^{\circ}C$에서 28.59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낮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농도 1.67%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37.61^{\circ}C$에서 24.62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1.10%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54.72^{\circ}C$에서 27.12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으로서 도라지차의 색상에 대한 관능평점은 threonine 농도 1.25%, 볶음온도 $141.81^{\circ}C$및 볶음시간 34.14분에서 가장 높았다.

  • PDF

재료배합비에 따른 앵도편의 Texture 특성 (Texture characteristics of Angdo Pyun as affected by ingredients)

  • 류재영;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5-53
    • /
    • 1986
  • 앵도편을 만들때 앵도즙 100에 대한 무게비로 녹말 15%, 20%, 25%, 설탕 20%, 30%로 녹말의 농도와 설탕량의 배합비에 변화를 주어 앵도편을 만들어서 앵도편의 기호성, Texture Color에 미친 영향을 관능검사와 물리적검사에 의해 측정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앵도편의 겉모양은 설탕의 양이 증가할수록 더 매끈해지고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륵 거칠어졌다. 앵도편의 견고성은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더 단단해졌으며 설탕의 양은 20%일대가 가장 단단하다. 앵도편의 색깔은 녹말의 양이 적을수록 설탕함량이 증가할수록 더 선명해졌다. 앵도편의 풍미는 녹말의 양이 적을수록 설탕양이 증가할수록 강하게 느껴졌다. 앵도편의 점조성은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설탕의 양이 감소할수록 증가되었다. 앵도편의 전체적인 기호성은 녹말의 양이 감소할수록 설탕의 양이 증가할수록 좋았다. 2. 물리적 검사결과 Compression force는 설탕의 양이 감소할수록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커졌다. Adhesive work는 설탕양과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커졌다. Work ratio는 설탕양이 20%, 녹말양이 20% 일때와 설탕양이 30%와 녹말양이 15%일때 0.54로 최고값을 나타냈다. Gumminess는 설탕양과 녹말양이 증가할수록 값이 커졌다. 3. 앵도편의 색은 앵도즙에 넣은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Hunter L value, Hunter a value는 증가했으나 Hunter b value, ΔE, ΔC 등은 감소했다. 앵도즙의 설탕양이 증가할수록 Hunter L value만 증가하였다. 가장 기호성이 높은 앵도편의 Hunter a value는 22.13, Hunter a value는 13.23, Hunter b value는 6.79, ΔE는 68.4였다. 4. Compression force와 관능검사의 Hardness 사이의 상관계수는 0.963이였다. 이것으로 보아 Hardness는 Compression force로 대치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풍미와 당도와의 상관계수는 0.641였다. 색에 대한 기호도와 Hunter L value의 상관계수는 -. 743 이였다. 이것으로 보아 L값이 낮을수록 즉 앵도편이 투명할수록 기호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3. 앵도즙을 8$0^{\circ}C$로 가열해서 앵도즙 100에 대한 무게비로 녹말 15%를 넣고 8$0^{\circ}C$를 유지하면서 4분간 끓인후 설탕 30%를 넣고 8$0^{\circ}C$로 유지하면서 6분간 끓여서 굳힌 앵도편이 가장 기초성이 높았다. 위의 재료배합비로 만든 앵도편의 pH는 3.48이었고 당도는 34.5%였다.

  • PDF

표고버섯가루의 첨가 함량에 따른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uk Added with Lentinus edodes Sing Powder)

  • 조정순;최미용;장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5-64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containing 0, 1, 3, 5 and 7% of Lentinus edodes powder during storage. The water content of Seolgiddeok changed little with the length of storage and the amount of Lentinus edodes powder added. Hunter′s color L value of Seolgiddeok decreased and "a"and "b"valu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entinus edodes powder. The hardness, gumminess, adhesiveness, chewiness and cohesiveness of Seolgiddeok decreased, but springines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entinus edodes powder. Seolgiddeok added with 3% Lentinus erodes earned the highest scores in color, taste, softness, chewiness, moistness and overall preference. From the above results of sensory and texture analyses, an addition of 3% Lentinus edodes to Seolgiddeok showed the best result in quality.

  • PDF

가열산화가 냉압착 들기름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rmal Treatment on Chemical Changes in Cold-Pressed Perilla Seed Oil)

  • 조영심;김범근;박기재;정진웅;정승원;임정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84-892
    • /
    • 2009
  • 냉압착 들기름과 볶음 압착 들기름 및 볶음 가열 압착 들기름의 가열산화에 의한 색도 및 갈변도, 총 페놀 함량, 과산화물가, 산가, 이중공액산가, 전자공여능 및 지방산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각 들기름의 특성 및 가열산화에 의한 품질을 비교하였다. 냉압착 들기름은 Hunter L 값은 76.62로서 볶음 압착 들기름의 39.77에 비하여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갈색도의 경우에도 각각 0.027과 0.244을 나타내어 냉압착유의 갈색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가와 이중공액산가는 냉압착 들기름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총 페놀 함량의 경우 볶음 압착 들기름이 7.27 mg/100 g oil로 냉압착 들기름에 비하여 1.60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도 볶음 압착 들기름이 냉압착 들기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내었다. 지방산 함량의 경우에도 냉압착 들기름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12.1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열산화 처리에 의해 들기름의 Hunter L 값, 산가, 이중 공액산가 및 과산화물가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Hunter a 및 b 값, 갈변도, 총 페놀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판차류제품(市販茶類製品)의 Hunter-Lab Tristimulus Colorimeter에 의한 색상(色相) 평가(評價) (Color Evaluation of Commercial Dehydrated Tea-products by Hunter-Lab Tristimulus Colorimeter)

  • 박길동;최진호;성현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0
    • /
    • 1982
  • 시판차류기호식품(市販茶類嗜好食品)의 관능적(官能的) 평가(評價)와 이들 제품(製品)의 품질관리적(品質管理的) 측면(側面)에서 중요시되는 색도(色度)의 지표(指標)를 조사코저 Hunter-lab tristimulus colormeter를 이용(利用)하여 제품(製品)의 입도(粒度), 밀도(密度), 및 탈흡습(脫吸濕)이 색도(色度)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제품(製品) 사이에는 입도(粒度)의 크기와 색도(色度)에서 특별한 유사성(有意性)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홍삼정분(紅蔘精粉)의 경우 입도(粒度)가 작아질수록 L,a,b 치(値)가 증가하고, X,Y,Z 치(値)에서는 X, Y 치(値)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Z 치(値)는 일정치 않았다. 2. 시판차류기호식품(市販茶類嗜好食品) L치(値) 범위는 32.8$\sim$48.0이었고 a 치(値)는 3.9$\sim$10.4, b 치(値)는 5.6$\sim$18.0이었으며 대부분의 제품(製品)이 주황색색소계(朱黃色色素系)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제품(製品)의 밀도(密度)는 0.232$\sim$0.898 g/ml의 범위 내에 있었으며 밀도가 클수록 L치(値)가 가하는 경향이었다. 4. 제품별(製品別) a/b치(値)는 생강차를 제외하고 0.61$\sim$0.98의 범위 내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총색도(總色度)의 차(差)($\Delta$E) 및 채색도(彩色度)의 차(差)($\Delta$C)가 작은 제품(製品)일수록 색상(色相)의 안정성(安定性)이 인정되었다. 5. 각제품(各製品) 사이에는 흡습(吸濕) 및 탈습(脫濕)에 의한 색상변화(色相變化)는 유의성이 없었다. 6. 광파장(光波長)에 따른 제품별색도(製品別色度)는 생강차, 쌍화차 및 탱이 녹적색계색소(綠赤色系色素)가 가장 높아 녹적색색소계(綠赤色色素系)인 반면 다른 차류제품(茶類製品)은 X,Y,Z 치(値)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 PDF

백삼, 홍삼 및 흑삼 분말 첨가에 따른 현미다식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asik Addition of White, Red and Black Ginseng Powder)

  • 김애정;한명륜;정경희;강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68
    • /
    • 2009
  • Powders prepared from three different varieties Korean Ginsengs(white, red and black) are readily available ingredients and are consumed daily by many Korean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These variants of Ginsengs are known to exert a variety of physiological effec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inseng Dasik prepared with different 3 types of Ginseng powder. We conducted a sensory evaluation analysis, and assesse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Hunter's color values, and general compositions of 3 types of Korean Ginseng Dasik stored at room temperature(20$^{\circ}C$).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lor, taste and overall quality of the samples(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dor or texture. With regard to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amples, we no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samples(p<0.05), but no differences in springiness were detected. The luminance of the black Ginseng Dasik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red, white, and control samples(p<0.05), We no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nter's b valu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nter's a values among the samples were detec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compositions of the samples were noted. In conclusion, red Ginseng Dasik among the samples evaluated herein, has the most commercial value.

콩떡의 저장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torage of the Steamed Soybean Rice Cake)

  • 안채경;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25-231
    • /
    • 1992
  •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me quality, acceptibility and storage of soybean rice cake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soybean. Soybean rice cake was stored at 30$^{\circ}C$, room temperature (18~20$^{\circ}C$) and 5~6$^{\circ}C$. Sensory evaluation was done by panels of 7 judges. Objective measurements were made by utilizing me Instron and Hunter Colorme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By sensory evaluation, 30% soybean of soybean rice cake was better than others during storage periods. 2. By Instron measurement of soybean rice cake, Hardness was tend to increase as addition level of soybean decreased and as storage periods increased. Hardnes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nsistency, moistness and texture during storage at 5~6$^{\circ}C$. 3. By color value of soybean rice cake, b value was tend to increase as me addition level of soybean increased and decrease as storage periods increased. The Hunter of L,a,b showed mat color of sensory evluatio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nly b value.

  • PDF

녹두가루 첨가 비율에 따른 청포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pomook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Mungbean Powder)

  • 김애정;한명륜;노정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229-1237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pomook prepared with five different levels of mungbean powder (0, 25, 50, 75, and 100%). We conducted the Hunter's color values,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sensory evaluations, and pasting properties of the Cheongpomook samples. The more mungbean powder was added, the more the luminance and Hunter's a values of Cheongpomook samples were decreased, but in Hunter's a values was reverse. With regard to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Cheongpomook samples, the more mungbean powder was added, the values of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lor, taste, and overall quality, the value of 25% mungbean powder added Cheongpomook (MP1) and 50% added Cheongpomook (MP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s. The resulting RVA viscogram, peak viscosity, hold viscosity, break down, setback, and final viscosity of Cheongpomook wer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mungbean powder, but the pasting temperature was increased slightly. Therefore, an addition of 25% mungbean powder appears to be an acceptable approach to enhance the quality of Cheongpomook without reducing accep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