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nter's color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35초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늙은 호박 추출조건의 모니터링 (Monitoring on Extraction Conditions of Old Pumpki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66-470
    • /
    • 2001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for monitoring extraction conditions, based on quality properties of old pumpkin extracts. Hunter's color L value of extracts was maximized at 101℃, 2.6 hr and decreased gradually after maximum point. The polynomial equation for Hunter's color L value showed 10% of significance level and 0.8799 of R². Hunter's color a value was minimized at 117℃, 3.9 hr and R² of polynomial equation was 0.9852 within 1% significance level. Hunter's color b value and ΔE value increased as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Extraction yield of old pumpkin was maximized at 110℃, 4 hr and increased in proportional to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but decreased after 113℃ and 2 hr. Viscosity of pumpkin extracts were maximized at 120℃, nearly 3 hr. R² of polynomial equations for yield, viscosity and sugar content were 0.9532, 0.9812 and 0.8869, respectively. Optimum ranges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quality properties of old pumpkin were 102∼109℃, 2.5∼3.5 hr, respectively. Predicted values at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agreed with experimental values.

  • PDF

복분자 과립차 가공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preparation propertie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granule)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2-538
    • /
    • 2013
  •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과립차를 제조하고자 가공특성을 조사하였다. 복분자 추출물과 당 및 산을 적용하여 추출물 함량($X_1$, 0.4~1.2 g), 당 함량($X_2$, 6~10 g) 및 구연산 함량($X_3$, 0.1~0.3 g)의 비율로 혼합하여 과립에 관능적 특성 및 Hunter's color를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색상에 대한 가장 우수한 관능평점을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96 g, 당 함량 7.05 g 및 구연산 함량 0.232 g이었다.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향미를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86 g, 당 함량 6.04 g 및 구연산 함량 0.215 g이었다.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맛을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92 g, 당 함량 6.39 g 및 구연산 함량 0.251 g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86 g, 당 함량 6.65 g 및 구연산 함량 0.272 g이었다. Hunter's color b값의 반응표면은 전반적인 기호도의 반응표면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분자 과립차의 Hunter's color와 기호도는 Hunter's color a값 6.0, 복분자 추출물 함량 0.8 g 및 당 함량 0.6 g에서 선호되었다.

감마선과 Phosphine 처리가 백삼의 색도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Phosphine Fumiagion on Color and Organoleptic Quality of White Ginseng)

  • 권중호;정형욱;변명우;양재승;이수정;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7-52
    • /
    • 1999
  • Comparative effects of phosphine fumigation and gamma irradiation were evaluated on the qualities of white ginseng prepacked in a commercial laminated film in terms of water absorption, Hunter color parameters(L, a, b) and organoleptic properties(overall color/appearance, flavor) during 6 months of storage at ambient(20oC, 70% RH) and accelerated(40oC, 90% RH) conditions. Moisture content of packed white ginseng(initial 8.44%) linearly increased with storage period, thereby reaching to about 10% (r=0.9966) in ambient and more than 15%(r=0.9886) in accelerated conditions, respectively, at the 6th month of storage. The storage at severe conditions resulted in remarkable changes in Hunter's color values, decrease in whiteness(L) and increase in redness(a) and yellowness(b), while both treatments, phosphine and irradiation less than 5kGy, did not cause any significant changes in color parameters. Phosphine fumigation was shown detrimental to overall flavor of white ginseng(p<0.01), however or ganoleptic qualities of stored samples were effectively maintained by irradiation less than 5kGy(p< 0.05). As the index on the guality of white ginseng stored at severe conditions its organoleptic quali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moisture content(r= 0.9777) and Hunter color values(over 0.9), suggesting the critical values of 15.5% moisture and 72.56, 7.15, 21.45 in Hunter's L, a, b values, respectively.

  • PDF

Threonine과 Sucrose 용액에 침지 및 볶음에 의한 도라지차의 색상 발현 모니터링 (Monitoring for the Color Formation of a Doraji Tea by Soaking of Threonine and Sucrose Solution and Roasting)

  • 이기동;정용진;박난영;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38-944
    • /
    • 1999
  • 도라지의 색상발현을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도라지의 threonine 침지농도 및 볶음조건에 따른 도라지차의 기계적 색도 및 관능적 색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기계적 색도와 관능적 색상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모두 0.87 이상으로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백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0.09%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42.37^{\circ}C$에서 21.94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1.24%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54.01^{\circ}C$에서 28.59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낮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농도 1.67%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37.61^{\circ}C$에서 24.62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1.10%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54.72^{\circ}C$에서 27.12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으로서 도라지차의 색상에 대한 관능평점은 threonine 농도 1.25%, 볶음온도 $141.81^{\circ}C$및 볶음시간 34.14분에서 가장 높았다.

  • PDF

근적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차제품의 표면 색상 및 발효정도 측정 (Measurement of Surface Color and Fermentation Degree in Tea Products Using NIRS)

  • 천종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5-60
    • /
    • 2009
  • 녹차, 부분발효차 및 발효차 등 다양한 차제품 117개 제품을 수집하여 분말화하여 측색계로 각 차제품의 표면 색상을 측정한 후 NIRS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대역($400{\sim}700$ nm)에서 스펙트럼을 얻어 중회귀분석에 의해 각각 색상 관련 특성에 대한 검량식을 작성하였다. 1. 측색계로 제품의 색상을 측정한 결과 CIE color scale에서 L값(6.98), a값(0.25) 및 b값(15.42)이 높았으나, a/b(0.09)값은 Hunter color scale에서 높았다. 또한 색상관련 특성 $a^*$(a)와 $a^*/b^*$(a/b)의 변이계수가 $317.2{\sim}327.5%$$293.8{\sim}316.7%$로 제품간 변이성이 매우 컸다. 2. CIE color scale와 Hunter color scale에서 발효정도($X_9$)의 변이를 $a^*/b^*(X_4)$나 a/b($X_8$)로 99.7% 설명될 수 있어 $a^*/b^*$(a/b)값으로 차제품의 발효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3. Modified partial least square(MPLS)를 이용하여 작성된 검량식의 결과 두 color scale을 종합하여 L값의 검량식 작성시 결정계수($R^2$)는 $0.973{\sim}0.977$, 검증시 상관도(1-VR) $0.969{\sim}0.972$, a값의 결정계수는 0.999, 검증시 상관도 0.998, b값의 결정계수는 $0.858{\sim}0.902$, 검증시 상관도 $0.833{\sim}0.888$, a/b값의 결정계수는 0.997, 검증시 상관도 0.993으로 매우 높았다. 4. 차 제품 표면 색상관련 특성들(CIE color scale; $L^*$, $a^*$, $b^*$, $a^*/b^*$, Hunter color scale; L, a, b, a/b)의 검량식 정확도가 매우 높아서 NIRS의 가시광선 대역($400{\sim}700\;nm$)에서 이들 특성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가 있으며, 또한 근적외선 대역($900{\sim}2500\;nm$)에서 기존 성분분석 화일과 병합하여(merge) 차 제품의 표면 색상 및 화학적 성분을 $1{\sim}2$분내로 동시에 측정이 가능하다.

Threonine과 Sucrose를 이용한 인삼의 색상 발현 모니터링 (Monitoring of Roast Color Formation in Ginseng Using Threonine and Sucrose)

  • 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35-740
    • /
    • 2014
  • 본 연구는 인삼의 threonine/sucrose 용액 침지 및 볶음온도에 따른 색상의 발현특성을 조사하였다. 인삼의 아미노산 및 당 혼합용액 침지 및 볶음 조건은 threonine 농도($X_1$, 0.1~0.9%), sucrose 농도($X_2$, 1.0~3.0%) 및 볶음온도($X_3$, $130{\sim}170^{\circ}C$)이며, 종속변수로는 갈색도, Hunter's colors 및 관능적 색상을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갈색도와 기계적 색도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모두 0.8758이상으로 5%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인삼추출물의 갈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0.70% 및 sucrose 농도 2.32%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66.03^{\circ}C$에서 25분간 볶음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볶음 인삼의 적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0.74% 및 sucrose 농도 2.19%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65.40^{\circ}C$에서 볶음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황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0.61% 및 sucrose 농도 2.84%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59.16^{\circ}C$에서 볶음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으로서 볶음 인삼의 색상에 대한 관능평점은 threonine 농도 0.53% 및 sucrose 농도 1.01%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46.96^{\circ}C$에서 25분으로 볶음처리한 것이 가장 높은 기호도 (7.27)를 나타내었다.

Lactococcus lactis ATCC l1454로 처리한 냉장돼지 고기 등심의 2-Thiobarbituric Acid, Color 및 육즙유출의 평가 (2-Thiobarbituric Acid, Color and Drip Loss Evaluations of Refrigerated Pork Loins Treated with Lactococcus lactis ATCC l1454)

  • 김광현;김창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9-64
    • /
    • 2001
  • 돼지고기 등심의 표면에 Lactococcus lactis subsp. Jactis ATCC l1454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의 처리구는 4$^{\circ}C$ 저장 1일 이후 대조구의 TBA가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color L*과 b*가는 저장 동안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배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a*가는 4$^{\circ}C$ 저장 1일과 6일 이후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 (P<0.05)를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육즙유출율은 4$^{\circ}C$ 저장 4일 이후부터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재료배합비에 따른 앵도편의 Texture 특성 (Texture characteristics of Angdo Pyun as affected by ingredients)

  • 류재영;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5-53
    • /
    • 1986
  • 앵도편을 만들때 앵도즙 100에 대한 무게비로 녹말 15%, 20%, 25%, 설탕 20%, 30%로 녹말의 농도와 설탕량의 배합비에 변화를 주어 앵도편을 만들어서 앵도편의 기호성, Texture Color에 미친 영향을 관능검사와 물리적검사에 의해 측정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앵도편의 겉모양은 설탕의 양이 증가할수록 더 매끈해지고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륵 거칠어졌다. 앵도편의 견고성은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더 단단해졌으며 설탕의 양은 20%일대가 가장 단단하다. 앵도편의 색깔은 녹말의 양이 적을수록 설탕함량이 증가할수록 더 선명해졌다. 앵도편의 풍미는 녹말의 양이 적을수록 설탕양이 증가할수록 강하게 느껴졌다. 앵도편의 점조성은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설탕의 양이 감소할수록 증가되었다. 앵도편의 전체적인 기호성은 녹말의 양이 감소할수록 설탕의 양이 증가할수록 좋았다. 2. 물리적 검사결과 Compression force는 설탕의 양이 감소할수록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커졌다. Adhesive work는 설탕양과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커졌다. Work ratio는 설탕양이 20%, 녹말양이 20% 일때와 설탕양이 30%와 녹말양이 15%일때 0.54로 최고값을 나타냈다. Gumminess는 설탕양과 녹말양이 증가할수록 값이 커졌다. 3. 앵도편의 색은 앵도즙에 넣은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Hunter L value, Hunter a value는 증가했으나 Hunter b value, ΔE, ΔC 등은 감소했다. 앵도즙의 설탕양이 증가할수록 Hunter L value만 증가하였다. 가장 기호성이 높은 앵도편의 Hunter a value는 22.13, Hunter a value는 13.23, Hunter b value는 6.79, ΔE는 68.4였다. 4. Compression force와 관능검사의 Hardness 사이의 상관계수는 0.963이였다. 이것으로 보아 Hardness는 Compression force로 대치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풍미와 당도와의 상관계수는 0.641였다. 색에 대한 기호도와 Hunter L value의 상관계수는 -. 743 이였다. 이것으로 보아 L값이 낮을수록 즉 앵도편이 투명할수록 기호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3. 앵도즙을 8$0^{\circ}C$로 가열해서 앵도즙 100에 대한 무게비로 녹말 15%를 넣고 8$0^{\circ}C$를 유지하면서 4분간 끓인후 설탕 30%를 넣고 8$0^{\circ}C$로 유지하면서 6분간 끓여서 굳힌 앵도편이 가장 기초성이 높았다. 위의 재료배합비로 만든 앵도편의 pH는 3.48이었고 당도는 34.5%였다.

  • PDF

시판차류제품(市販茶類製品)의 Hunter-Lab Tristimulus Colorimeter에 의한 색상(色相) 평가(評價) (Color Evaluation of Commercial Dehydrated Tea-products by Hunter-Lab Tristimulus Colorimeter)

  • 박길동;최진호;성현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0
    • /
    • 1982
  • 시판차류기호식품(市販茶類嗜好食品)의 관능적(官能的) 평가(評價)와 이들 제품(製品)의 품질관리적(品質管理的) 측면(側面)에서 중요시되는 색도(色度)의 지표(指標)를 조사코저 Hunter-lab tristimulus colormeter를 이용(利用)하여 제품(製品)의 입도(粒度), 밀도(密度), 및 탈흡습(脫吸濕)이 색도(色度)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제품(製品) 사이에는 입도(粒度)의 크기와 색도(色度)에서 특별한 유사성(有意性)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홍삼정분(紅蔘精粉)의 경우 입도(粒度)가 작아질수록 L,a,b 치(値)가 증가하고, X,Y,Z 치(値)에서는 X, Y 치(値)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Z 치(値)는 일정치 않았다. 2. 시판차류기호식품(市販茶類嗜好食品) L치(値) 범위는 32.8$\sim$48.0이었고 a 치(値)는 3.9$\sim$10.4, b 치(値)는 5.6$\sim$18.0이었으며 대부분의 제품(製品)이 주황색색소계(朱黃色色素系)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제품(製品)의 밀도(密度)는 0.232$\sim$0.898 g/ml의 범위 내에 있었으며 밀도가 클수록 L치(値)가 가하는 경향이었다. 4. 제품별(製品別) a/b치(値)는 생강차를 제외하고 0.61$\sim$0.98의 범위 내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총색도(總色度)의 차(差)($\Delta$E) 및 채색도(彩色度)의 차(差)($\Delta$C)가 작은 제품(製品)일수록 색상(色相)의 안정성(安定性)이 인정되었다. 5. 각제품(各製品) 사이에는 흡습(吸濕) 및 탈습(脫濕)에 의한 색상변화(色相變化)는 유의성이 없었다. 6. 광파장(光波長)에 따른 제품별색도(製品別色度)는 생강차, 쌍화차 및 탱이 녹적색계색소(綠赤色系色素)가 가장 높아 녹적색색소계(綠赤色色素系)인 반면 다른 차류제품(茶類製品)은 X,Y,Z 치(値)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 PDF

백삼, 홍삼 및 흑삼 분말 첨가에 따른 현미다식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asik Addition of White, Red and Black Ginseng Powder)

  • 김애정;한명륜;정경희;강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68
    • /
    • 2009
  • Powders prepared from three different varieties Korean Ginsengs(white, red and black) are readily available ingredients and are consumed daily by many Korean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These variants of Ginsengs are known to exert a variety of physiological effec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inseng Dasik prepared with different 3 types of Ginseng powder. We conducted a sensory evaluation analysis, and assesse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Hunter's color values, and general compositions of 3 types of Korean Ginseng Dasik stored at room temperature(20$^{\circ}C$).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lor, taste and overall quality of the samples(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dor or texture. With regard to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amples, we no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samples(p<0.05), but no differences in springiness were detected. The luminance of the black Ginseng Dasik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red, white, and control samples(p<0.05), We no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nter's b valu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nter's a values among the samples were detec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compositions of the samples were noted. In conclusion, red Ginseng Dasik among the samples evaluated herein, has the most commercial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