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ic acid(HA)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초

카올리나이트에 대한 휴믹산 및 아메리슘 흡착거동 연구 (A Study of Adsorption Behaviour of Humic Acid and Americium on the Kaolinite)

  • 이명호;이규환;박경균;정의창;송규석;신현상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7-11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pH 변화에 따른 카올리나이트-휴믹산, 카올리나이트-아메리슘 및 휴믹산-아메리슘 등의 이성분계 흡착반응을 조사하였다. 카올리나이트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후, 휴믹산농도, 이온강도 및 pH 변화에 따른 카올리나이트에 휴믹산의 흡착실험을 하였다. pH 및 HA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KA에 대한 HA의 흡착율이 감소하였으나, 이온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HA의 흡착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pH 변화에 따른 카올리나이트와 아메리슘과 흡착반응 및 아메리슘과 휴믹산과의 흡착반응도 연구하였다. 산성 및 중성영역에서는 Am이 HA에 쉽게 흡착되었으나, 염기성 영역에서는 정전기적 반발력으로 HA에 대한 Am 흡착이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수환경에서 휴믹산에 의한 아메리슘 흡착거동 특성을 이해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

수질계의 Humic Acid와 Fulvic Acid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quatic Humic Acid and Fulvic Acid)

  • 이동석
    • 분석과학
    • /
    • 제15권1호
    • /
    • pp.36-42
    • /
    • 2002
  • 부식질 농도가 매우 높은 지하수로 부터 humic acid (HA) 와 fulvic acid (FA)를 분리 정제한 후 각각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소분석, 자외선/가시광선과 적외선 스펙트럼분석 및 $^{13}C-NMR$ 분광법으로 HA 와 FA의 구조 및 작용기를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자 교환능력과 분자 크기분포 측정 실험을 통하여 HA와 FA의 특성 외에 산출지 특성을 나타내며, 상당한 양성자 교환능력을 갖는 다분산계임을 확인하였다.

Complexation of Cadmium(Ⅱ) with Humic Acids: Effects of pH and Humic Acid Origin

  • Lee, Mee-Hae;Choi, Se-Young;Chung, Kun-Ho;Moon, Hi-Ch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4권6호
    • /
    • pp.726-732
    • /
    • 1993
  • A comparative study on cadmium(II) complexation with three well characterized humic acids (SHA: soil humic acid from the Okchun Metamorphic Belt; AqHA: aquatic humic acid from Gorleben underground aquifer, Germany; CoHA: commercially available humic acid from the Aldrich Co.) was carried out in 0.1 M $NaClO_4$ at different solution pH(5.0, 5.5, and 6.0) using the ultrafiltration technique. The maximum binding ability (MBA) of the humic acids for cadmium(II) was observed to vary with their origins and solution pH. The results suggest that 1 : 1 complex predominates within the experimental range, and the conditional stability constant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assumption of cooperative binding, yielding log K values that were quite similar (CoHA: 4.17${\pm}$0.08; AqHA: 4.14${\pm}$0.07; SHA: $4.06{\pm} 0.12\;l\;mol^{-1}$ at pH 6.0) irrespective of humic acid origins or pH. By contrast a nonlinear Schatchard plot was obtained, using the cadmium(II) ion selective electrode speciation analysis method, which indicated that humic acid may have two or more classes of binding sites, with $log\;K_1\;and\;log\;K_2$ of 4.73${\pm}$ 0.08 and $3.31{\pm}0.14\;l\;mol^{-1}$ respectively.

Effects of Humic Acid and Blueberry Leaf Powder Supplementation in Feeds on the Productivity, Blood and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 Kim, Kwonjung;Bae, Inkyu;Cho, Jinho;Choi, Yangil;Ha, Jungheun;Choi, Jungse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76-285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humic acid (HA) and blueberry leaf powder (BLP) supplementation in pig feed on productivity, blood profile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ngissimus muscle.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six treatments: 1) CON, no addition; 2) T1, BLP 0.1%; 3) T2, BLP 0.2%; 4) T3, humic acid 2%; 5) T4: humic acid 2%+BLP 0.1%; and 6) T5: humic acid 2%+BLP 0.2%. HA and BLP supplementation in pig feed significantly increase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values (p<0.05). HA supplementation in pig feed had beneficial effects in lipid profiles without altering feed efficiency rate (FER). HA and BLP co-supplementation in pig feed decreased pH in longissimus thoracis (p<0.05). In addition,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enhanced when pig feed was supplemented with HA and BLP without causing adverse effects in meat quality. Taken together, addition of HA and BLP in pig feed may produce functional meat products.

Humic Acid와 화학물질간의 결합상수 측정 (Measurement of Binding Constant between Chemical Compound and Humic Acid)

  • 육근성;김용화
    • 분석과학
    • /
    • 제9권1호
    • /
    • pp.91-97
    • /
    • 1996
  • 수계에서 화학물질의 독성에 대한 humic acid(HA)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HA와 화학물질간의 결합상수($K_B$)를 equilibrium dialysis를 이용하여 cartap, diazinon, fenobucarb, pentachlorophenol, P,P'-DDT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K_B$의 실험치 및 옥탄올/물 분배계수를 이용한 예측치로부터 대상 화합물 중 P,P'-DDT를 제외하고는 HA에 의해 수계 독성에 영향을 줄만한 농도의 감소는 없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제 자연환경에서는 $K_B{\geq}10^5$ 또는 $K_{ow}{\geq}10^6$ (log $K_{ow}{\geq}6$)인 화학물질에 대해서만 HA에 의한 독성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 되었다.

  • PDF

Humic Acid가 PCB의 착화합과 활성탄 흡착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ssolved Humic Acid on Complexation and Activate Carbon Adsorption of PCB)

  • 김성현;백일현
    • 공업화학
    • /
    • 제4권4호
    • /
    • pp.746-752
    • /
    • 1993
  • PCB와 HA 사이의 착화합 정도에 대한 양적인 측정을 위해 투석막을 이용한 평형실험이 여러 가지 변수에 대해 먼저 수행되었다. 활성탄에 대한 PCB의 흡착특성 파악을 위해서 HA가 용해된 물과 용해되지 않은 물을 이용하여 PCB에 대한 흡착평형 및 속도실험을 행하였다. 실험결과 HA에 대한 PCB의 착화합 정도는 PH, $Ca^{2+}$농도, 이온세기 및 HA의 농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PCB의 활성탄에 대한 흡착능력은 HA가물에 존재할 때 크게 감소하였으며 흡착특성은 HA, PCB와 HA에 착화합된 PCB 등의 물질이 서로 경쟁적으로 활성탄에 흡착하게 되는 복잡한 특성을 보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부식산(腐植酸)-중금속(重金屬) 착화합물형성(錯化合物形成) 반응(反應)에 대한 Mechanism (Mechanisms of Humic Acid-Heavy Metal Complexation)

  • 이정재;장상문;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4-122
    • /
    • 1995
  •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에 의한 중금속(重金屬)의 흡착(吸着)현상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이탄토(泥炭土)에서 humic acid를 분리정제(分離精製)하여, humid acid-metal complex 생성반응(生成反應)에 대한 mechanism을 조사(調査)하였다. 1. Humic acid-metal complex의 흡광도(吸光度)는 장파장영역(長波長領域)에서 단파장영역(短波長領域)으로 갈수록 Zn-HA > Cd-HA > Cu-HA의 순(順)으로 증가(增加)하였다. 2. Humic acid의 carboxyl group과 phenolic OH group들이 중금속(重金屬) ion들과 반응(反應)하여 complex를 생성(生成)하였으며 그 생성량(生成量)은 Cu > Zn ≧ Cd의 순(順)이었다. 3. Humic acid-medal complex의 안정도(安定度) 상수(常數)는 pH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增加하였으며 1차(次) 안정도(安定度) 상수(常數)는 Zn>Cd>Cu 순(順)이었고, 2차(次) 안정도(安定度) 상수(常數)는 Cu>Zn>Cd의 순(順)이었으며, 總安定도 常數는 Cu>Zn>Cd의 순(順)이었다. 4. Humlc acid와 중금속(重金屬)ion들 상호(相互) 간(間)의 평균결합수(平均結合數)는 pH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Cu>Zn>Cd의 順으고 增加하였다. 5. Humic acid에 의한 중금속(重金屬) ion들의 complex생성과정(生成課程)에서 barboxyl group만이 관여(關與)하는 것과 car-boxyl gruup 및 phenolic OH group이 동시(同時)에 관여(關與)하는 두가지 흡착(吸着)mechanlsm을 제안할 수 있었다.

  • PDF

담수토양중 부식물질에 대한 diazinon의 흡착 (Adsorption of Diazinon on Humic Substances in Submerged Soil)

  • 송재영;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5-40
    • /
    • 1993
  • 담수토양중 diazinon의 거동에 미치는 토양유기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담수토양에 토양유기물분획인 humin, humic acid, fulvic acid 와 diazinon을 처리하여 각 부식물질의 농도별 (0.1%, 0.5% 1.0%) diazinon 1.8ppm과 5.0ppm의 흡착률을 조사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8ppm diazinon의 흡착률은 humin > FA > HA의 순으로 많았고, 최대흡착률은 1.0% humin 첨가구에서 12.4%, 1.0% HA 첨가구에서 10.44%, 1.0% FA 첨가구에서 11.86% 이었다. 2. 5ppm diazinon의 흡착률은 1.0% humin 첨가구에서 10.21%, 1.0% HA 첨가구에서 10.4%, 1.0% FA 첨가구에서 10.64%를 보였다. 즉, diazinon의 첨가량 증가는 흡착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3. 부식물질별 diazinon의 흡착경향은 humic acid와 fulvic acid에서는 4시간 이내에 최대흡착률을 보였으나, humin에서는 4시간 이후에도 계속 흡착이 이루어 졌다. 4. 부식물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iazinon의 흡착률도 증가하였으며, humin 처리구에서 그 경향이 가장 뚜렷하였다.

  • PDF

Solubilization of bromadiolone in humic acid pseudomicellar media

  • Prakash, John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권3호
    • /
    • pp.211-221
    • /
    • 2012
  • Bromadiolone (BRD), a second generation anticoagulant often applied to the living environment to control rodents, is usually considered to have low environmental toxicity due to its poor solubility in water. In this study of the effect of humic acid (HA) on BRD using electronic absorption spectroscopy, it has been observed that BRD is appreciably solubilized even in low concentrations of aqueous HA solutions. The BRD solubilization efficiency of aqueous HA was found to be $2.39{\pm}0.14$ ($4.53{\pm}0.26{\mu}M\;ppm^{-1}$). It was also seen that BRD is reasonably solubilized in aqueous extract of farm soil.

전자기공명기법을 이용한 Humic Acid 용액에서의 라디칼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enerative Characteristics of Radicals in Aqueous Solutions of Humic Acids using Electron Spin Resonance)

  • 한상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71-677
    • /
    • 2008
  • We studied to determine quantitatively the radical species generated from humic acid (HA) solutions by irradiation(>400 mn). The formation of radical species from HA solutions was investigated with ESR spectroscopy. We gave ESR spectrum with g-value 2.0048 and line width 0.559mT, coincided with those of the semiquinone radical. 0.1 mg/L HA solution generated the radicals of $1.2{\times}10^{-6}M$, increased with increasing HA concentration. Also, pH and ionic strength effect of the amount of the semiquinone radical generate from HA solution. In this study, we have found that the singlet oxygen affects the semiquinone radicals generation in HA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