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Library Management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2초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현황 분석 (A Study on the Present Stage of Children's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김종성;오동근;여지숙;박상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5-202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현재 수준을 조망해 보기 위하여 전국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전국 공공도서관 중 171개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서관의 소재 지역과 예산 규모에 따라 영역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어린이 서비스를 시설 및 공간, 자료, 인력, 이용자봉사, 운영 일반 및 강좌 5개 영역으로 나누어 다양한 측면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 서비스의 수준과 내용에서 도서관 소재 지역과 규모에 따라 다양한 편차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전체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 어린이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투여되는 자원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놓여 있다는 사실이다.

인권 시소러스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Human Rights Thesaurus)

  • 심민석;이두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4년도 제1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60
    • /
    • 2004
  • 인권 시소러스는 인권 관련 색인어 작성시 특정성 및 일관성을 유지하고, 다양한 이용자 계층의 정보 검색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일반적인 목적과 함께, 모호하게 사용되고 있는 인권 용어의 개념화를 통해 전문가 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손쉽게 인권 전문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권 관련어로 유의미하게 사용되는 용어군을 수집한 후 실험대상군을 설정하여 어느 정도의 관련성을 가지는가를 실험한 것이다.

  • PDF

정보관리와 관련된 법적문제 (Legal Issues In Information Management)

  • 이순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9권
    • /
    • pp.23-61
    • /
    • 1990
  •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are no different from any other institutions in our society. Today, their managers have to make many more decisions which have certain legal implications than before. The ignorance of the law on their parts can not be an acceptable excuse anymore, since. the consequences sometimes maybe quite serious. This paper outlines some important legal issues involved in the services and management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They are: constitutional rights on human knowledge activities: library act and it's related laws; censorship and right to know; information access and the protection of privacy: library services and copyright law; labor relations; protections of the people and properties of the institutions, etc. The laws are not static: rather, they change with the social, politic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The managers, as well as the staff members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should be constantly updated with the changes in the field, in order to give the maximum service to the clients and to prevent any infringement of the laws, which may discredit their services and the institutions.

  • PDF

인적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및 지속의도의 이해: 대학도서관의 연구 (Towards an Understanding of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in Human-Mediated Services: An Investigation of Academic Libraries)

  • 이보람;박지홍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3호
    • /
    • pp.187-210
    • /
    • 2011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직원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만족도와 지속의도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다양한 도서관 서비스의 가치를 실현시킬 수 있는 기반핵심요소로서의 인적서비스는 그 가치와 중요성에 비해서 이전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강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인적서비스, 서비스 품질, 만족도, 지속의도의 개념을 이론적 배경으로 개념적 분석틀을 개발하여 이를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법론적으로 정량적 평가 외에 심층면담을 추가한 통합방법론을 활용하며, 결과적으로는 이용자들에게 대학도서관 인적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높여주는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지속의도 확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의의에 포함된다.

고객 경험 관리(CEM)를 활용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경험 분석 - 고양시립도서관을 중심으로 - (Analyses of Public Library User Experiences using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CEM) Perspective: Focused a Public Library in Goyang City)

  • 이고은;박지홍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35-159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과 이용자 간 커뮤니케이션 및 경험을 분석하여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현재 경영 및 마케팅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 고객 경험 관리(CEM)를 적용하여 이용자의 경험을 세분화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용자의 경험에 대한 접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마케팅, 경영 분야의 CEM 연구를 검토하여 물리적 환경, 인적 요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감정적 즐거움을 매개변수, 이용자 만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 방법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대면) 2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총 60개의 설문지를 기반으로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이용자의 물리적 환경과 편의성에 대한 경험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도서관 접근성은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도서관 직원 태도나 문제해결능력은 이용자의 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때 친절함보다는 문제해결 능력이 더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이때 정서적 즐거움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DLS)의 이용자 집단간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User Groups of the Digital Library System)

  • 이병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9-145
    • /
    • 2005
  • DLS(Digital Library System)는 학교도서관 관리자(사서교사)와 최종 이용자(일반교사 및 학생)에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개발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이다. DLS는 현재 15개 시 도교육청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 도교육청 관내의 초 중등학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LS는 서비스를 개시한지 2년 이상이 지났기 때문에 이용 실태와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DLS를 사용하고 있는 전국의 308개 초 중등학교의 학교도서관 관리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이용실태와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도서관의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원구의 휴먼라이브러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uman Library of the Public Libraries - The Case of Human Library in Nowon-Gu, Seoul -)

  • 김민영;황인혜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9-142
    • /
    • 2015
  • 휴먼라이브러리는 사람이 정보자료원이 되는 신개념의 도서관서비스이다. 최근 들어서는 기업 및 공공 민간단체에서도 이벤트와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로 급속하게 파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노원 정보도서관이 상설로서는 최초로 2012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원정보도서관의 노원 휴먼라이브러리를 중심으로 공공도서관의 휴먼라이브러리를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휴먼라이브러리를 개혁으로 보고 개혁확산이론을 적용하여 노원휴먼라이브러리의 현황과 추이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휴먼라이브러리의 확산에 있어서 질적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PDF

인터넷 기반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IBSLIS)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ternet-based School Library Information System)

  • 이병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51
    • /
    • 2003
  •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학교간의 자원공유와 상호대차 기반 조성, 단위 학교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효율성 도모, 단위 학교 목록 데이터 입력 및 시스템 관리 부담 경감 등을 목적으로 인터넷기반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IBSLIS)을 구축 운영 중에 있다. IBSLIS 정보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 운영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기능과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도에 시범적으로 설치한 부산시교육청의 IBSLIS 정보시스템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보사회 도서관의 인간관계 (Human Relationships in the Library of the Information Society)

  • 전명숙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4년도 제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2
    • /
    • 1994
  • 정보기술을 이용하면 도서관의 종이자료가 전자자료로 바뀌면서 기계화 되므로 문헌봉사는 비사서가 하게 되거나 이용자들이 손수봉사(Self-serveice) 하게 된다. 전문 사서는 인간을 대상으로 봉사하게 되므로 인간관계가 중요하게 대두된다. 도서관의 인간관계는 합리적이고 사무적이며 협동하게 되나 상호작용보다는 커뮤니케이션이 강조된다.

  • PDF

국가도서관 지역분관의 발전전략 모형 연구 - 국립세종도서관을 중심으로 - (A Pilot Study on a Strategic Development Plan for a National Branch Library)

  • 윤희윤;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7-21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립세종도서관이 '정책정보 수집 및 서비스 중심의 국립중앙도서관 지역분관'이라는 기본적 정체성을 정립하고 미래지향적인 중장기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책정보 중심의 특화도서관이라는 정체성을 기반으로 현실적 존재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는 중장기 로드맵(비전과 핵심가치, 전략적 목표 및 기능수행, 핵심 추진과제 및 실행전략, 조직 및 인력구성, 모체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과의 정책정보서비스 역할분담, 공동사업 추진 및 교류협력)을 제시함으로써 조직의 안정과 발전, 내적 핵심역량의 강화, 그리고 국가 및 사회에 대한 기여도를 높이는 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