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uman Computer Interface (HCI)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study on HCI(Human Computing Interface) for Architectural CAD modeling (건축 CAD모델링에 대한 HCI에 관한 연구)

  • 신승우;이규식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30
    • /
    • pp.86-91
    • /
    • 2002
  • HCI (Human Computer Interface)is important key of software design. Effectiveness and productivity of CAD software is creation is not study actively in architectural part. The results of this study \circled1 HCI of architectural modeling is demanded effective design of keypad and short key. \circled2 It is require that system reactions to be united in one interface in order to hold in check confusion of the information. \circled3 Intelligent interface for continuous update of 3D information is required.

Implementation of Human and Computer Interface for Detecting Human Emotion Using Neural Network (인간의 감정 인식을 위한 신경회로망 기반의 휴먼과 컴퓨터 인터페이스 구현)

  • Cho, Ki-Ho;Choi, Ho-Jin;Jung, Seul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13 no.9
    • /
    • pp.825-831
    • /
    • 2007
  • In this paper, an interface between a human and a computer is presented. The human and computer interface(HCI) serves as another area of human and machine interfaces. Methods for the HCI we used are voice recognition and image recognition for detecting human's emotional feelings. The idea is that the computer can recognize the present emotional state of the human operator, and amuses him/her in various ways such as turning on musics, searching webs, and talking. For the image recognition process, the human face is captured, and eye and mouth are selected from the facial image for recognition. To train images of the mouth, we use the Hopfield Net. The results show 88%$\sim$92% recognition of the emotion. For the vocal recognition, neural network shows 80%$\sim$98% recognition of voice.

Development of Wearable Vibrotactile Display Device (착용 가능한 진동촉감 제시 장치 개발)

  • Seo, Chang-Hoon;Kim, Hyun-Ho;Lee, Jun-Hun;Lee, Beom-Chan;Ryu, Je-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6
    • /
    • 2006
  • 촉감 제시 방법은 다른 사람에게 방해를 주지 않고 은밀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시각 혹은 청각 장애인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정보 전달의 수단이다. 또한 촉감을 이용한 정보의 전달은 시청각을 이용한 정보전달의 방법을 보완하거나 때로는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모바일, 또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착용 가능한 진동촉감 제시 장치를 제안한다. 이 진동촉감 제시 장치는 25개의 진동모터를 $5{\times}5$의 형태로 배열하여 문자, 숫자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코인형 진동모터 각각을 스펀지로 감싸고 푹신푹신한 재질의 패드에 세워서 배열하여 진동의 퍼짐을 최소화하고 사람의 글씨 쓰는 순서에 따라 진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새로운 추적모드를 제안하여 사용자의 문자 및 숫자 인식률을 크게 향상시켰다. 사용자 성능 평가에서는 사용자의 발등에 영문 알파벳을 표시하여 86.7%의 인식률을 얻었다. 또한 진동촉감 제시 장치를 이용하여 핸드폰에서의 발신자 정보표시를 한다거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응용분야를 제시하였다.

  • PDF

Immersive Live Sports Experience with Vibrotactile Sensation (스포츠 방송에서의 몰입감 증대를 위한 진동촉감 제시 시스템)

  • Lee, Beom-Chan;Lee, Jun-Hun;Seo, Chang-Hoon;Cha, Jong-En;Ryu, Je-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230-237
    • /
    • 2006
  • 본 논문은 스포츠 방송의 몰입감 증대를 위한 진동촉감 제시 시스템 및 장치를 제안하며, 촉감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촉감제시 방법론 및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최근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에 있어 오감을 통한 정보 전달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대중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디지털 매체에서의 시청각과 더불어 촉감 제시의 역할과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동적인 현장 상황을 실감 있게 전달하는 스포츠 방송에서의 햅틱 효과와 역할 그리고 가능한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진동촉감 제시 장비를 설계하여 촉감 정보 표현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제안된 촉감을 이용한 스포츠 방송 시나리오 중 축구 방송을 기반으로 사용자 촉감 인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축구 방송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감방송 전시회 시연을 통해 진동촉감 시스템 및 촉감 제시 방법론을 검증하였다. 촉감이 인간의 오감 중 시청각 다음으로 정보를 인지하는 중요한 감각 체계인 만큼 많은 양의 정보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시청각과 더불어 효과적인 정보 전달 체계로써 기여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 PDF

Real-time BCI for imagery movement and Classification for uncued EEG signal (상상 움직임에 대한 실시간 뇌전도 뇌 컴퓨터 상호작용, 큐 없는 상상 움직임에서의 뇌 신호 분류)

  • Kang, Sung-Wook;Jun, Sung-Ch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642-645
    • /
    • 2009
  • Brain Computer Interface (BCI) is a communication pathway between devices (computers) and human brain. It treats brain signals in real-time basis and discriminates some information of what human brain is doing. In this work, we develop a EEG BCI system using a feature extraction such as common spatial pattern (CSP) and a classifier using Fisher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FLDA). Two-class EEG motor imagery movement datasets with both cued and uncued are tested to verify its feasibility.

  • PDF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Nielsen's Usability Heuristics for Computer Engineers and Designers without Human Computer Interaction Background (비 HCI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Nielsen의 Usability Heuristics에 대한 이해 정도 평가)

  • Jeong, YoungJoo;Sim, InSook;Jeong, GooCheo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2 no.2
    • /
    • pp.165-171
    • /
    • 2010
  • Usability heuristics("heuristics") are general principles for usability evaluation during user interface design. Our ultimate goal is to extend the practice of usability evaluation methods to a wider audience(e.g. user interface designers and engineers) than Human Computer Interaction(HCI) professionals. To this end, we explored the degree to which Jakob Nielsen's ten usability heuristics are understood by professors and students in design and computer engineering. None of the subjects received formal training in HCI, though some may have had an awareness of some HCI principles. The study identified easy-to-understand heuristics, examined the reasons for the ambiguities in others, and discovered differences between the respons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to the heuristics. In the course of the study, the subjects showed an increased tendency to think in terms of user-centric design. Furthermore, the findings in this study offer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se heuristics to resolve ambiguities and to extend their practice for user interface designers and engineers.

  • PDF

Program Development of Emotional Human and Computer Interface

  • Jung, Seul;Cho, Kih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0a
    • /
    • pp.102.3-102
    • /
    • 2002
  • $\textbullet$ Human and computer interface(HCI) $\textbullet$ Voice recognition $\textbullet$ Image recognition $\textbullet$ Neural network $\textbullet$ Hopfield net

  • PDF

View direction-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using Image Observation and EMG Signal (영상 관측과 근전도 신호 계측을 이용한 주시 방향 기반 휴먼-컴퓨터 인터페이스)

  • 황성재;조승관;정상현;문인혁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2.06e
    • /
    • pp.185-188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 view direction-based human computer interface(HCI) system using image observation and EMG signal. CCD camera is available for observation relatively small angular view direction. Large angle is recognized by measuring EMG signal of the sternocleidomastoideus,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large angular view direction by CCD observation. From experimental results, we show the proposed HCI system is useful for the disabled.

  • PDF

A Multi Modal Interface for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의 Multi Modal 인터페이스)

  • Seo, Yong-Won;Lee, Beom-Chan;Lee, Jun-Hun;Kim, Jong-Phil;Ryu, Je-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666-671
    • /
    • 2006
  • 'Multi modal 인터페이스'란 인간과 기계의 통신을 위해 음성, 키보드, 펜을 이용, 인터페이스를 하는 방법을 말한다. 최근 들어 많은 휴대용 단말기가 보급 되고, 단말기가 소형화, 지능화 되어가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도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 방법에 기대치가 높아가고 있다. 현재 휴대용 단말기에 가능한 입력장치는 단지 단말기의 버튼이나 터치 패드(PDA 경우)이다. 하지만 장애인의 경우 버튼이나 터치 패드를 사용하기 어렵고, 휴대용 단말기로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이 많으며 새로운 게임이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도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은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새로운 Multi Modal 인터페이스를 제시 하였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이용하여 더 낳은 재미와 실감을 줄 수 있는 Multi Modal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손목으로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색다른 입력 장치를 제공 하였다. 향후 음성 인식 기능이 추가 된다면, 인간과 인간 사이의 통신은 음성과 제스처를 이용하듯이 기계에서는 전통적으로 키보드 나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인간처럼 음성과 제스처를 통해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에 진동자를 이용하여 촉감을 부여함으로써, 그 동안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에 소외된 시각 장애인, 노약자들에게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제로 사람은 시각이나 청각보다 촉각에 훨씬 빠르게 반응한다. 이 시스템을 게임을 하는 사용자한테 적용한다면, 능동적으로 게임참여 함으로서 좀더 실감나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특수한 상황에서는 은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앞으로 개발될 모바일 응용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다.

  • PDF

Wireless EMG-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for Persons with Disability

  • Lee, Myoung-Joon;Moon, In-Hyuk;Kim, Sin-Ki;Mun, Mu-Seo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0a
    • /
    • pp.1485-1488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 wireless EMG-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HCI)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e HCI, four interaction commands are defined by combining three elevation motions of shoulders such as left, right and both elevations. The motions are recognized by comparing EMG signals on the Levator scapulae muscles with double thresholds. A real-time EMG processing hardware is implemented for acquiring EMG signals and recognizing the motions. To achieve real-time processing, filters such as high- and low-pass filter and band-pass and -rejection filter, and a full rectifier and a mean absolute value circuit are embedded on a board with a high speed microprocessor. The recognized results are transferred to a wireless client system such as a mobile robot via a Bluetooth module. From experimental results using the implemented real-time EMG processing hardware, the proposed wireless EMG-based HCI is feasible for the disabl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