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검색결과 60,756건 처리시간 0.07초

조명을 위한 인간 자세와 다중 모드 이미지 융합 - 인간의 이상 행동에 대한 강력한 탐지 (Multimodal Image Fusion with Human Pose for Illumination-Robust Detection of Human Abnormal Behaviors)

  • ;공성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37-640
    • /
    • 2023
  • This paper presents multimodal image fusion with human pose for detecting abnormal human behaviors in low illumination conditions. Detecting human behaviors in low illumination conditions is challenging due to its limited visibility of the objects of interest in the scene. Multimodal image fusion simultaneously combines visual information in the visible spectrum and thermal radiation information in the long-wave infrared spectrum. We propose an abnormal event detection scheme based on the multimodal fused image and the human poses using the keypoints to characterize the action of the human body. Our method assumes that human behaviors are well correlated to body keypoints such as shoulders, elbows, wrists, hips. In detail, we extracted the human keypoint coordinates from human targets in multimodal fused videos. The coordinate values are used as inputs to train a multilayer perceptron network to classify human behaviors as normal or abnormal. Our experiment demonstrates a significant result on multimodal imaging dataset. The proposed model can capture the complex distribution pattern for both normal and abnormal behaviors.

Cloning and Expression Analysis of a Novel Mouse Zinc Finger Protein Gene Znf313 Abundantly Expressed in Testis

  • Li, Na;Sun, Huaqin;Wu, Qiaqing;Tao, Dachang;Zhang, Sizhong;Ma, Yongxin
    • BMB Reports
    • /
    • 제40권2호
    • /
    • pp.270-276
    • /
    • 2007
  • We have cloned a novel mouse zinc finger protein gene Znf313 by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according to the homologue of human ZNF313 gene. The cDNA is 2,163 base pairs (bp) in length and encodes a 229 amino acids (aa) protein with a $C_3HC_4$ ring finger domain and three $C_2H_2$ domains. 89% and 93% nucleotide (nt) and aa sequence identity is observed with its human homologue. Revealed by Northern blot and RT-PCR, full mRNA consists of 2.16 kb and widely expresses in tissues as a single transcript, most abundantly in heart, liver, kidney and testis. The expression of Znf313 in testis is detected in all development stages. Western blot analysis also reveals that Znf313 is expressed in the tissue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demonstrate that Znf313 is expressed both in the cytoplasm and nucleus whereas predominantly localized in the nucleus. Present data suggests that Znf313 gene might play a fundamental role in gene transcription and regulation in organism and relates to spermatogenesis.

사람 책 참여자의 체험 현상 분석 연구 -경기도교육청의 사람 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Study or Analysis of the Phenomenal Experiences with Human Book - Focusing on the Human Book Program at the G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53-176
    • /
    • 2017
  • 이 연구는 사람 책의 실제 체험을 통해 겪게 되는 주관적인 경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들을 고찰하고 선행되어진 논문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사람 책 체험의 현상학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고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로는 경기도 교육청 소속으로 사람 책 활동을 2년 이상 하고 있는 분들 3명으로서, 심층 인터뷰의 내용은 첫째, 사람 책의 필요성, 둘째, 사람 책 활동을 통한 체험, 셋째, 사람 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넷째, 사람 책 적용의 개선점의 4가지로 분류하여 인터뷰 하였다. 그 결과 사람 책 활동에 참여한 학교 및 독자 수, 사람 책의 숫자는 계속 확장되었고, 더불어 사람 책 활동은 참여 독자들은 물론이고 사람 책 자신에게도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

휴먼 라이브러리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구조 개발 (Development of a Data Structure for Human Library Services)

  • 한승희;이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569-58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휴먼 라이브러리 서비스의 체계적 관리, 운영을 돕기 위해 휴먼 라이브러리 운영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규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휴먼 라이브러리 운영을 위한 데이터 구조를 제안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휴먼 라이브러리 구성요소인 '운영자', '사람 책', '사서', '자원봉사자' 이외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를 추가하여 총 5가지의 휴먼 라이브러리 운영을 위한 구성요소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휴먼 라이브러리', '휴먼 북', '이용자'라는 3가지 메타 개념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메타 개념을 이용하여 휴먼 라이브러리 운영을 위한 메타데이터 세트를 개발하였다. 또한 메타데이터 세트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메타데이터 요소를 XML 문서로 선언하였으며, 메타 개념들을 연결하는 구조도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서관에서는 이용자 프로파일 관리를 통해 이용자에게 휴먼 북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사회복지과목 이수 대학생의 인권감수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를 중심으로 (Human Rights Sensitivity of Undergraduates in Social Welfare Classes : Focused on Adult Learner in On-line University)

  • 박형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91-200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과목 이수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인권관련 교육경험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S사이버대학교에서 사회복지과목 수강중인 251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변인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인권감수성은 5점 척도 기준에서 2.70으로서 중간 정도수준이었으며, 이주노동자의 노동권과 장애아동의 교육권에 높은 인권감수성을 나타냈다. 전공유형, (사회복지)윤리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인권감수성에 차이가 있었는데, 사회복지계열 전공 학생과 (사회복지)윤리과목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의 인권감수성이 높았다. 또한 인권감수성 척도의 에피소드별로 인권감수성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권전문직인 사회복지사를 교육함에 있어 수업에서의 학생 권리 존중, 직간접적으로 인권갈등사례를 학습하면서 인권의식을 함양하는 교육방법의 필요성, 수업과정에서의 자기반성적 과정의 필요성, 학생들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인권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민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Employees in the Vagabond Facilities)

  • 정선영;공상길;임은경;천덕희;오영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1호
    • /
    • pp.263-289
    • /
    • 2010
  • 본 연구는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의식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인권민감성을 조사함으로써 그들의 인권의식을 살펴보고 부랑인복지시설 생활인의 인권의식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 38개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 390명의 인권민감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사자들의 인권민감성은 총점 150점에 평균 64.55점으로 매우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종사자들의 학력별 인권민감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직책별 인권민감성에서 실질적인 운영자들의 인권에 대한 의식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부랑인복지시설 내에서의 인권교육 유무별에서는 인권교육을 받은 경우가 그렇지 못한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인권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랑인복지시설 내의 인권교육을 정규 커리큘럼으로 일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정례화 되어야 하고 종사자들의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인권침해상황과 관련된 사례나열식 인권교육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PDF

실습선원의 인권침해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Cadet's Human Rights Violation)

  • 정선근;김종관;박성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70-478
    • /
    • 2023
  • 인간이라면 누구나 보호받아야 할 인권을 가지며, 오늘날 인권 보호에 관한 중요성은 사회 모든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다. 산업계에서도 인권 경영을 위하여 인권교육을 시행하고, 인권침해 대응 체계를 마련하는 등 근로자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선박에 승선하고 있는 선원은 그 폐쇄적인 환경과 특수한 근로조건으로 인하여 인권 보호에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실습선원을 비롯한 초급 선원을 중심으로 다수의 인권침해 사례가 발견되고 있으며, 관련 실태조사나 연구가 타 직군에 비하여 미흡한 현실이다. 인간의 기본권을 제한받는 직업은 누구에게도 선망의 대상이 될 수 없으며, 해기사를 꿈꾸는 실습선원의 인권 보호와 권익 신장은 해기인력 확보와 선원직 매력화를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습선원을 대상으로 한 인권 실태조사 결과와 인권침해 사례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습선원은 승선 전 선상에서의 인권침해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실제로 승선 후 선내 인권침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선원이 승선 전 불필요한 두려움과 공포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실습선원의 지위에 관한 법제도 마련, 비물리적 인권침해 완화를 위한 조치, 인권침해 처리 절차와 대응 체계 개선, 인권교육의 실효성 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AI시대, 인간의 정체성과 존엄성 교육의 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Human Identity and Dignity Education in the AI Era.)

  • 서미경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7권
    • /
    • pp.157-194
    • /
    • 2021
  • AI의 윤리의식 문제는 국제적인 것이며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AI는 어린아이처럼 인간의 모든 것을 습득하고 모방한다. 그러므로 현재 우리가 AI에게 요구하는 윤리의식은 먼저 인간에게 요구되는 윤리의식이며, 그 중심에는 인간에 대한 존엄성이다. 이에 본고는 AI 기술의 발전에 따른 인간의 정체성과 그 문제를 분석하고, 인간 존엄성의 신학적 전제와 특성을 변증하여, 인간의 존엄성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AI의 발전과 인간에 대해 논하였다. AI 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전유물로 여겨지든 '이성 혹은 지성'을 AI이라는 기계와 공유하게 되었다. 그래서 AI 기계보다 탁월하며, 구별되는 인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둘째, 트랜스휴머니즘과 인간의 정체성에 대해 논하였다. 트랜스휴머니즘은 비효율적인 인간의 지능 개선과 인간 능력 향상을 위해, AI 기계와 인간의 결합을 주장해 왔다. 하지만 인간과 AI 기계의 결합으로 인한 인간 정체성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었다. AI 시대, 인간의 정체성은 하나님이 우리를 지으실 때 품으셨던 마음을 믿는 것이다. 셋째,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신학적인 전제와 특성을 변증하였다. 인간의 존엄성은 세계 각국의 헌법과 국제인권조약의 핵심적 개념이다. 하지만 인간이 존엄하다는 선언적인 확신은 신학적 전제 없이는 이해하기 힘든 주장이다. 인간 존엄성의 신학적 전제는 천부로부터 생명을 부여받은 존엄한 존재라는 것에 있다. 또한 그 특성은 인간의 '선'과 '영원성'에 대한 갈망, 아름다움의 추구, 관계 속에서 행복한 존재라는 것에 있다. 넷째, 인간의 존엄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인간 존엄성 교육의 방향은 인간은 어떤 존재이며, 어떻게 생겨났으며,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일깨워주고, 의식하고, 최고의 가치로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정체성을 교육하는 것이며, 그 핵심은 어떠한 형편이든 - 빈부격차, 지식정도, 피부색깔, 성별, 연령, 장애여부 등 - 관계없이 모든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존재로서 하나님께 매우 중요한 존재라는 것에 있다.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과 인권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Types of Perception in regards to Human Rights for College Students)

  • 심태은;이송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52-36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권감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권감수성 수준과 인권인식 유형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인권감수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설문지 자료를 활용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권인식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Q방법론을 통한 Q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권감수성의 수준은 3학년과 4학년이 1학년과 2학년보다 높았고, 종교별로는 기독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과대학별에서는 사회과학대학 학생들이 가장 높은 인권감수성을 보여주었으며, 봉사를 한 학생들이 봉사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인권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기증 등록을 한 학생들이 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인권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인권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인식 유형과 관련해서는 총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유형 1은 인권에 대한 이상적인 개념을 지니고 있으며 도덕적 판단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특성을 보이는 '보편적인 사회윤리형', 유형 2는 사회적 규범을 벗어날 생각이 없고 삶 속에서 인권으로 인해 실리적인 혜택을 박탈당하기를 원하지 않는 '실리적 현실형', 유형 3은 기본적인 인권에 대한 개념을 지니고 있고 개인의 권리를 위해서 사회의 규범을 어겨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사회체제 유지형', 유형 4는 인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회적 규범을 벗어나 행동하지만, 그 행동이 사람들과 관계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보려주는 '개인권리보호의 사회계약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인권에 대한 개인의 맥락에서의 인지적 교육에만 구한되지 않고 개인의 삶과 연결될 수 있는 사회적인 관점의 가능성을 찾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스마트 홈을 위한 사용자 위치와 모션 인식 기반의 실시간 휴먼 트랙커 (Real-Time Human Tracker Based on Location and Motion Recognition of User for Smart Home)

  • 최종화;박세영;신동규;신동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3호
    • /
    • pp.209-216
    • /
    • 2009
  • 스마트 홈(smart home)은 인간과 홈의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이용하여 인간에게 자동적인 홈 서비스(Home service)를 제공해줄 수 있는 미래의 환경이다. 인간의 위치와 모션은 스마트 홈에서 굉장히 중요한 컨텍스트이다. 본 논문은 스마트 홈에서 인간의 위치와 모션을 예측할 수 있는 실시간 휴먼 트랙커(tracker)를 연구하였다. 실시간 휴먼 트랙커를 위해 4개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휴먼 트랙커의 구조를 설명하고, 인간의 위치와 모션을 자동적으로 예측 및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인간 위치를 위해서 3개의 배경 이미지를 이용하였다(이미지1: 빈 방 이미지, 이미지2: 거주자가 제외 된 가구 및 가전 이미지, 이미지3: 전체 이미지). 실시간 휴먼 트랙커는 3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각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특징 값을 결정하고, 이들 특징 값을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각각의 모션을 예측하였다. 3개의 배경 이미지를 이용한 인간 위치 인식실험은 평균 0.037 초가 소요 되었다. SVM을 이용한 모션 인식 요소에서, 각 동작에 대하여 1000번씩 측정했고, 모든 모션의 정확도 평균은 86.5% 의 정확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