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lled Barley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8초

맥류의 흰가루병 저항성 검정을 위한 실내 유묘 대량검정 방법 (An Easy Seedling Method to Screen Resistance of Powdery Mildew of Barley and Wheat)

  • 박종철;박철수;김미정;김양길;이미자;박기훈;노태환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3-158
    • /
    • 2008
  • 유묘를 이용한 보리와 밀의 흰가루병에 대한 실내 대량 검정 방법을 개발하고 국내 육성 품종 및 유전자원에 대해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였다. 종이 봉투를 이용한 유묘 검정은 파종에서 접종이 가능한 생육까지 약 10일이 소요되었으며, 접종 후 발병 및 검정까지는 약 8일로 3주 이내에 저항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1회에 180종 이상을 검정할 수 있다. 유묘 검정시 저항성 반응은 포장과 마찬가지로 무감염과 괴사증상 두가지 반응을 보여 이를 이용하여 저항성 정도를 판정할 수 있었다. 국내 육성 보리 79품종 중 겉보리에서는 '상록보리'만이 저항성이었고, 맥주보리에서는 '다진보리'가 저항성을 보였고 '제주보리'는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쌀보리와 밀 25품종은 모두 감수성을 의였다. 이 결과는 포장에서의 저항성성과 같은 결과를 보여 맥류의 흰가루병 저항성 검정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한편 국내에서 보리와 밀의 품종육성에 이용되는 유전자원 검정 결과 맥주보리에서 가장 많은 51종이 저항성 자원으로 선발되었다. 그러나 겉보리와 쌀보리 796종과 밀 273종에서는 저항성 자원이 확인되지 않았다.

계통별 유색보리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Capacity of Colored Barley Extracts by Varieties)

  • 송은승;박수진;우나리아;원미희;최재성;김정곤;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491-149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강화된 유색보리 계통을 선발하고 유색보리 계통 육성 및 활용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유색보리 40계통과 대조군인 춘추쌀보리, 겉보리를 $0.1\%$ TFA를 용매로 사용하여 3회 반복 추출 후 감압 농축 후 anthocyanin 함량, 색도 및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유색보리의 anthocyanin 색소함량과 색도를 측정한 결과 계통별로 큰 차이를 보였고, 색의 짙음과 옅음으로 그룹 I ,그룹 II, 그룹 III을 나눌 수 있었다. 계통별로 항산화효과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나, 제놀함량이 높았던 유색보리 계통이 전자 공여능, SOD-like 활성, lecithin 산화 저해활성능, hydro-gen radical 소거능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여러가지 항산화실험에서 항산화능이 높게 측정되었던 No. 25, 27, 34, 35, 38이 anthocyanin을 함량이 높은 그룹 I에 포함되어 있어 anthocyanin을 함량과 항산화효과는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른 유색 함유 작물처럼 색깔이 진한 유색보리 품종이 개발되어 다양한 생리활성이 입증된다면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포장대맥(圃場大麥)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양분농도(養分濃度)와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 (Relation between yield and nutrient contents at various growth stages of hulled barley in fields)

  • 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45
    • /
    • 1976
  • 농가포장(農家圃場)에 실시(實施)한 대맥(大麥) 삼요소(三要素) 시험(試驗)(1967/68)지(地)를 대상(對象)으로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N.P.K.Ca.Mg 농도(濃度), NPK와 수량(收量)과의 상관(相關) 및 NPK 이용율(利用率)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농도(濃度)의 변화량(變化量)으로 보아 N와 K가 유이(類似)하고 P, Mg, Ca가 유이(類似)하였다. 2. 수량(收量)은 해빙직후(解氷直後) N농도(濃度)와 가장 유의성(有意性)이 깊고 북부(北部) 즉(卽) 강원(江原)과 충남(忠南)에서는 동결직전(凍結直前)의 P및 N농도(濃度)와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기타(其他)의 시기(時期)는 P, K에서 부(負)의 관련경향(關聯傾向)을 보였는데 K에서 더욱 그러했다. 3. 시비량(施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N.P.K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은 초기(初期)일수록 뚜렷하고 N에서 더욱 뚜렷하며 P와 K가 생육후기(生育後期)에 상대적(相對的)으로 많은 반면 N가 적은 것을 잘 보였으며 N와 K간(間)의 길항관계(拮抗關係)도 잘 보였다. 4. 이용율(利用率)은 N(55)>K(27)>P(12)의 순(順)이었으며 N이용율(利用率)은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다. 5. 수량(收量)과 관련(關聯)된 영양진단(營養診斷)은 해빙직후(解氷直後) 또는 직전(直前)이 가장 좋을 것으로 나타났고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영양(營養) 기준(基準)을 제시(提示)하였다.

  • PDF

Production and Quality Parameters of Oat Grown in Conventional/Organic Farming

  • Petr Konvalina;Ivana Capouchova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19
    • /
    • 2022
  • Hulled and naked oat is a perspective crop for the low input production systems due to its low requirements for soil quality and nutrition. Oats have good competitive ability against weeds and can provide appropriate yield in organic farming in comparison with other cereal species such as wheat or barley. It is a perspective crop from the point of view of use in the food industry too. The aim of our study was to compare the production and quality parameters of naked and hulled oat grown in both organic (OF) and conventional fields (CF). Small plot trials were conducted in two locations in the Czech Republic (České Budějovice, Prague) for four years (2018-2021) in two production systems (OF, and CF). We used four varieties of hulled oat (Korok, Kertag, Raven, Seldon) and one variety of naked oat (Patrik). During the vegetation, agronomically important data were recorded. After harvest samples were processed in the laboratory and analyzed selected quality parameters of grain dry matter (the protein content was determined by the Kjeldahl method, starch content in grain according to Ewers, fat content in grain dry matter by the modified method according to Soxhlet, and ash content in grain dry matter). The data were evaluated using the program STATISTICA version 13.2, StatSoft, Inc., California, USA. It is clear from the results that the number of panicles before the harvest was influenced by the location, cultivation system, year, and, to a lesser extent, the influence of the variety. The number of panicles in OF averaged 340 per square meter, which was 90% of the value of CF. For thousand grain weight (TGW), a significantly predominant effect of year was found. The independent effect of location on TGW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Grain yield was predominantly influenced by cultivation system and location. In OF, it reached an average of 3.97 t.ha-1, which was 75% of the yield of CF. As part of the evaluation of the basic grain quality indicators, the content of protein, starch, fat, and ash in the dry matter of the grain was evaluated. The content of protein in the dry matter of the grain was predominantly influenced by year, followed by the influence of the variety and a fairly comparable influence of the cultivation system and locality. On average, it achieved 16.05% in OF and 17.01% in CF. The starch content was then related to the protein content, where as a result of the lower protein content in the grain of OF oats, the content of starch and fat was on the contrary increased. The year turned out to be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both the starch content in the dry matter of the grain and the fat content. This was followed again by a fairly comparable influence on the cultivation system and locality. The influence of the cultivation system and loc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pplied in the case of ash content in dry matter. Based on our results we can propose both types of oat (hulled and naked) as perspective crops for OF. An organic farmer can expect to achieve stable yields which, in less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cereals in the OF, may be close to the level of conventional yields. In the future, it will be important to change agrotechnology in OF and increase oat yield because this crop has a good potential to grow in areas with low nitrogen input or less fertile soil.

  • PDF

Further Modifications to the Mobile Nylon Bag Technique to Determine Nutrient Digestibility for Swine

  • Thacker, P.A.;Qiao,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8호
    • /
    • pp.1149-1156
    • /
    • 2001
  • Previous studies conducted with swine have reported that the mobile nylon bag technique (MNBT) does not always accurately predict in vivo nutrient digestibi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NBT was modified so that nutrient digestibilities would more closely resemble those from conventional (Con) digestibility studies obtained using the indicator method. A total of 19 feeds were tested including five cereal grains, five legumes, three high protein sources and six mixed diets. The principle changes to the MNBT included the use of a fecal collection harness which minimized the number of bags lost. In addition, previous protocols involved pooling of bags within pig while in the present experiment all bags were analyzed separately to increase the precision of the test. Finally, chemical analyses were done using the entire nylon bag plus residue rather than opening.the bags and scraping out the contents. With the exception of the barley sample (p=0.01),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coefficients obtained with the MNB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btained with the indicator method.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relating the MNBT to the indicator method was Con DMD=-O.77+1.02 MNBT DMD ($r^2=0.93$: p<0.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gross energy digestibility (GED) coefficients determined using the MNBT or the indicator method for any of the 19 feeds. The regression line equation relating the MNBT to the indicator method was Con GED=-5.68+1.06 MNBT GED ($r^2=0.94$: p<0.0001). The MNBT was less effective in predicting in vivo crude protein digestibility (CPD) than it was in predicting dry matter and energy digestibility. Differences greater than five percentage units were observed for two of the legumes, Kabuli chickpeas (p=0.02) and the extruded pea-canola seed mixture (p=0.01) as well as for three of the mixed diets including the unheated hulled barley-based diet (p=0.01), the unheated hulless-barley based diet (p=0.08) and the barley-soybean meal based diet (p=0.008). The regression equation relating the MNBT to the indicator method was Con CPD=5.75 + 0.90 MNBT CPO ($r^2=0.76$; p<0.0001).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modified MNBT can be used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dry matter and energy digestibility in a wide variety of ingredients. For the measurement of crude protein digestibility, the technique produces results similar to conventional digestibility studies for cereal grains and high protein feeds but tends to overestimate protein digestibility for legumes and mixed diets.

동질유전자계통을 이용한 보리의 간장 및 수장유전자효과 (The Gene Effect of Culm Length and Ear Length Using Isogenic Lines in Barley)

  • 조장환;이은섭;성열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0-280
    • /
    • 1988
  • 피맥의 다수확을 위하여는 다비, 밀식재배를 하여야 하며 이때에 문제가 되는 것은 도복에 의한 감수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비추어 피맥 7개 조합을 공시하여 간장과 수장의 대응이 되는 isogenic lines 을 만들어 다비, 밀식재배조건하에서 간장 및 수장의 차이에 따른 유전자의 주효과와 다면적효과를 구명하고 농업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양질 다수성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시험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동질유전자계통에서 단간계통 대 중간계통, 수장동질유전자계통에서 단수계통 대 중수계통, 간장과 수장 동질유전자계통에서 단간단수계통 대 중간중수계통, 단간단수계통 대 장간장수계통간에는 간장 및 수장의 주효과와 다면적 효과에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2. 간장동질유전자계통에서 간장유전자의 영향이 큰 형질은 출수일수, 제1, 2절간장, 수당립수, m$^2$당 수수, 1$\ell$중이었고 수장동질유전자계통에서 수장유전자의 영향이 큰 형질은 수축절수, 출수일수, 성숙일수, 1,000립중, 1$\ell$중이었다. 3. 간장 및 수장동질유전자계통에서 간장 및 수장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는 형질은 수축절수, 제 2, 3, 4 절간장, 1,000립중 및 수량이었다. 4. 수량은 단간계통이 중간계통보다, 중수계통이 단수계통보다, 중간중수계통이 단간단수계통보다, 단간단수계통이 장간장수계통보다 많은 경향이며 성숙일수는 단간계통이 중간계통보다, 중수계통이 단수계통보다, 단간단수계통이 중간중수계통보다 짧은 경향이었다.

  • PDF

이모작 벼 재배시 경운방법 및 관개량에 따른 쌀 수량, 토양특성에 대한 보릿짚 시용효과 (Effect of Barley Straw Application on Soil Properties, Rice Yield and Plowable Stress with Plowing Methods and Irrigation Rates in Barley- Rice Double Cropping System)

  • 양창휴;김병수;박우균;이덕배;류철현;김재덕;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1-207
    • /
    • 2007
  • 답리작 보리재배 후 보릿짚을 시용하고 관개량, 경운방법을 달리하여 만추벼를 전북통에서 2년 동안 재배시 토양이화학성, 작업정도,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릿짚 시용 후 경운방법 및 관개량에 따른 작업정도는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처리구에서 경운 + 물 로타리 1회(관행)보다 보릿짚 피복정도가 적었고 결주율 2.6%, 부묘율 1.7% 낮았으며 관개량이 많을수록 결주율과 부묘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토양이화학성 변화는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처리구 심토에서 토양경도, 용적밀도가 낮아지고 공극율, 기상율이 증가되어 토양물리성이 개선되었으며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처리구에서 CEC가 높아지고 유기물, 유효인산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C/N율이 낮아져 토양화학성이 개량되었다. 경운방법에 따른 벼의 유효경비율은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2회 >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 경운 + 물 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순으로 높았으며 쌀 수량은 $500Mg\;ha^{-1}$ 관개시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700Mg\;ha^{-1}$ 관개시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2회 처리구에서 수수 및 영화수 확보가 많았고 현미천립중이 무거워 경운 + 물 로타리 1회(관행) 대비 각각 7%, 5% 증수되었다.

신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한반도 내 겨울보리 재배적지 이동 (Geographical Migration of Winter Barley i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RCP8.5 Projected Climate Condition)

  • 김대준;김진희;노재환;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61-169
    • /
    • 2012
  • 변화된 미래 기후조건에서 한반도의 식량수급전망에 긍정적 변수로 떠오르고 있는 가을보리의 안전재배지대 재설정 및 잠재 생산량 추정을 위해 한반도 지역 RCP8.5 기반 미래 기온전망을 현재 평년의 상세 전자 기후도와 결합하여 2011-2100 기간 중 보리 품종군별 재배안전지대의 지리적 변화를 10년 단위로 예측하였다. 먼저 1971-2000 기간 중 1월 최저기온과 평균기온 분포도를 30m 격자 해상도로 남북한 전역에 걸쳐 준비하고, 이 기준 기온분포도 위에 기상청의 RCP8.5 기반 한반도 12.5km 시나리오 기후자료에서 산출한 기준평년 기점의 10년 단위 기온상승폭을 중첩시켰다. 2100년까지 매 10년 단위 1월의 최저기온과 평균기온의 예상분포도상에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보리 추파재배 시 품종군별 안전월동기준에 따라 재배안전지대를 표현한 결과, 2020년대에는 강원도와 북한 남부 대부분 지역에서 겉보리 재배가 가능해지며 남한 전역에서는 쌀보리 재배가 가능해질 것이고, 2040년대에는 북한 평야지대 거의 모든 벼논에서 쌀보리 이모작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현재 파악되고 있는 북한의 경지면적은 160만 ha 인데, 2040년대 이후 북한지방의 논에는 벼 수확 후 쌀보리를, 밭에는 옥수수, 감자 후작으로 겉보리를 재배한다면 연간 최대 400만 톤의 식량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곡물별 담자균 배양물의 효소활성 (Enzyme activity of Basidiomycetes products in each cereals)

  • 박효숙;김보현;최한석;김중만;김명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02-108
    • /
    • 2010
  • 본 연구는 곡류별 버섯 균사체의 성장률과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현맥 배양물이 다른 곡류와 비교했을때 균사체 성장 속도가 빨랐다. 효소 활성은 기간별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alpha}$-amylase 효소 활성은 느타리와 상황버섯균이 우수하였으며, ${\beta}$-amylase활성은 느타리와 장수버섯균이 우수하였다. Protease활성은 상황버섯균을 제외하고는 곡물에 관계없이 비교적 고른 생산을 보였다. 담자균 배양에 의해서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 PDF

고 섬유질 곡류의 섭취가 육계의 성장능력 및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Fiber Grains on the Growth Rate and Fat Accumulation in Broiler Chickens)

  • 정하연;이봉덕;임재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38
    • /
    • 1987
  • 고-섬유질 곡류의 육계의 성장률, 도체조성 및 복강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갓 부화한 암평아리 240수를 공시하였다. 시험사료는 저-섬유질 곡류로서 옥수수와 수수를, 고-섬유질 곡류로서 호밀과 겉보리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사료는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을 같게 하였다. 시험 설계는 4처리 5반복의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하였으며, 반복당 12수를 철제 battery cage에 수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5% 수준에서 실시하였고, 평균간의 비교는 신다준 검정법(Duncan, 1955)을 사용하였다. 육계의 성장률은 2주령 시에는 호밀 사료구가 6주령 시에는 수수와 호밀 사료구가 유의하게 불량하였으며, 사료 섭취량은 처리구별로 차이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3주령 시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6주령 시에는 보리와 옥수수 사료구가 수수와 호밀 사료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좋았다. 3주령된 육계의 내장 척출한 도체의 지방 함량은 호밀 사료구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보리 사료구도 수수 사료구 보다는 낮았으나 옥수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주령된 육계의 내장 척출한 도체와 방혈ㆍ탈모만을 한 도체의 조성은 처리구별로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복강지방 함량에 있어서도 곡류의 섬유질 함량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