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uff방법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udy on Design Capacity of Stormwater Pipe and Pumping Station considering Peak Rainfall Intensity (첨두강우강도를 고려한 우수관로 및 빗물펌프장의 설계용량 검토)

  • Chung, Gunhui;Sim, Kyu Bum;Kim, Eung 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9
    • /
    • pp.777-787
    • /
    • 2014
  • Stormwater pipe systems are most commonly used to discharge rainwater from the urban catchment covered by the impervious area. To design stormwater pipe and rainwater pumping station, frequency analysis is implemented using historical rainfall and the design rainfall is timely distributed using theoretical shape such as Huff distribution. This method cannot consider the rainfall intensity vari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which is type of uncertainty. Therefore, in this study, runoff from Gasan1 stormwater pumping stations catchment is calculated using design rainfall distributed by the 2nd quartile distribution method and the historical rainfall events. From the analysis, the nodal flooding in the urban catchment is likely caused by the high peak rainfall event rather than the large amount of rainfall.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s implemented. As a result, when several storms have the same amount of rainfall, the nodal flooding in the stormwater pipe systems could be caused by the high peak of storm events. Since as the storm duration become short, the peak rainfall become high, the nodal flooding likely become severe with the short storm duration. The uncertainty in the peak data of design rainfall is analyzed and this uncertainty has to be consider in the stormwater pipe design process.

Determination of operating offline detention reservoir considering system resilience (시스템 탄력성을 고려한 빗물저류조 운영수위 결정)

  • Lee, Eui Hoon;Lee, Yong Sik;Jung, Donghwi;Joo, Jin Gul;Kim, Joong 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0
    • /
    • pp.403-411
    • /
    • 2016
  • Recently,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inundation and the severity of flood damage has increased rapidly as the frequency of localized heavy rainfall and the ratio of impervious area increased in urban areas. Most local governments focus on employing structural measures (e.g., the construction of detention reservoirs/pump stations, rehabilitation of drainage and sewer pipes) to prevent urban inundation. 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ness of implementing such structural measures is being dimished because there are already many inundation prevention facilities. The limitation of structural measures can be overcoming by employing non-structure measures, such as flood alerts and the operation of drainage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e pump operation rule (i.e., suggesting pump stop level) for a new detention reservoir operating method, which triggers the operation of a pump based on the water level at the monitoring node in urban drainage system. In the new reservoir operation, a total of 48 rainfall events are generated by the Huff distribution for determining the proper pump stop level. First, the generated rainfall events are distributed as frequencies, quartiles, and durations. The averaged system resilience value was determined to range from 1.2 m to 1.5 m is based on the rainfall-runoff simulation with rainfall generated by the Huff distribution. In this range, 1.2 m was identified considering the safety factor of 1.25 by the Standard on sewer facilities in 2011.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Critical Rainfall Estimation (한계강우량 산정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 Lee, Changhyun;Lee, Kangwon;Keum, Hojun;Kim,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2-232
    • /
    • 2022
  • 1차원 관망해석모형과 2차원 지표면범람 해석모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실시간 홍수예·경보시스템 구축은 모형의 모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한계가 있다. 또한, 연구유역에서 시나리오 강우에 대해 침수를 유발시키는 한계강우량을 1-2차원 모형의 시행착오법을 적용한 반복적인 수행을 통해 산정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하여 배수분구별 침수 발생기준 강우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침수 발생 한계강우량 산정을 배수분구 단위로 제시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풍수해저감종합계획(2015)과 침수흔적도를 이용하여 배수분구 별 침수이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1-2차원 수리해석을 통한 침수심과 함께 로지스틱 회귀모형에 학습하였다. 지속시간 1시간, 10mm 강우부터 500년 빈도의 Huff 3분위 시나리오 17개를 사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고, 이를 1-2차원 수리해석을 위한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EPA-SWMM을 통한 1차원 도시유출해석과 FLO-2D를 통한 2차원 침수해석에서 20cm 이상의 침수심이 발생하거나 지상관측자료, 침수흔적도 및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서 실제 침수가 발생했을 경우를 1, 그렇지 않은 경우를 0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로지스틱 회귀모형에 학습시켜 침수 발생 한계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서울시 지역의 배수분구별 한계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관측되는 강우 및 침수 발생 유무 자료를 추가함으로써 산정된 침수 한계강우량을 상회하는 강우 사상이 나타났을 시에 침수 발생 유무를 확인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에 대해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n Analysis of critical duration for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 (수공구조물 설계를 위한 임계지속시간 결정)

  • Lee, Sangjin;Kim, Woo Gu;Whang, Ma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14-818
    • /
    • 2004
  • 최근 기상이변이 빈번하여 자연재해에 대한 방재대책의 중요함이 절실히 요청되는 시점에서 수공구조물들의 설계빈도를 상향조정하는 등의 대책이 마련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할 때 유역의 수문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강우의 임계지속시간 결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홍수제어를 위한 수공구조물은 그 특성상 계획홍수량 결정에 최대치 개념이 도입되어야 하므로, 설계강우의 지속기간을 결정할 경우 강우로 인한 최대유출과 홍수총량이 최대가 되는 임계지속기간을 이용하여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단위도(Clark방법, Nakayasu방법, SCS방법)등 각 수문요소에 따른 임계지속기간의 변동양상을 파악한 길과 24시간 강우지속시간시 총유출량 보다 임계지속시간개념으로 산정한 유출량이 크게 산출되었으며, 시간분포모형(Huff의 4분위법, IDF곡선 분포법, Mononobe방법)별 적합성을 평가함으로써 수문설계시 활용 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n Estimation Method for Specific Flood (비홍수량 산정 방법의 개발)

  • Jeong, Jong-Ho;Park, Cheong-Hoon;Yoon, Y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230-239
    • /
    • 2005
  • 유역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비홍수량 산정 공식을 유도하여 개략적인 홍수량 산정 및 홍수량 범위 예측 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의 실무적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홍수량 산정의 주요 입력인자 조건을 설정하고 이들 조합에 의한 홍수량 산정 결과를 회귀분석함으로써 유역특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일종의 지역빈도해석 개념의 비홍수량 산정 공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역형상은 타원형, 강우량은 50년빈도 전국평균 확률강우량, 강우분포는 Huff 방법의 전국평균 4분위, CN은 80, 유입시간은 10분, 평균유속은 3.0m/sec의 조건을 기준조합으로 채택하고, 홍수량 산정 모형은 Clark 단위도법 및 Sabol 공식을 적용하여 기준조합의 비홍수량 회귀식을 유도한 다음, 각종 인자들의 변화에 따른 비홍수량의 변화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는 회귀 식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Discharge of Urban Basin Considering Pipe Runoff and Surface Runoff (관로유출과 지표유출을 고려한 도시유역의 유출량에 관한 연구)

  • Jung, Jae-Hee;Ahn, Jeong-Hwan;Kwon, Joon-Youp;Cho,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09-913
    • /
    • 2012
  • 본 연구는 XP-SWMM 2011 모형의 최적 해석범위설정과 월류에 의한 2차원 지표유출량을 포함한 도시유역의 총 유출량 산정에 대한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하수 및 우수 관망 해석 모형으로 1차원 관로해석과 2차원 지표면 해석이 가능한 XP-SWMM 2011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지역은 최근 연속적인 침수 피해를 일으켰던 광화문 일대로 선정하였다. 발생가능한 빈도별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은 Huff의 4분위법을 이용하여 10분 간격으로 분포시켰으며, 기존의 유역 출구점에 기준한 설계기준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월류에 의한 2차원 지표유출수를 포함한 유역 내에서의 총 유출량 산정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모의 결과분석시 기존의 제한된 격자확장 경계조건으로 인한 문제점 극복을 위해 해석범위 설정 시 적합한 격자경계의 설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도시유역의 관로유출량과 본 연구에 제시된 지표유출량을 함께 고려한다면 치수계획규모를 설정하는데 주요 판단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Flooding Characteristic Value of Urban Basin (도시유역의 침수특성치에 관한 연구)

  • Kwon, Yong-Chan;Ahn, Jeong-Hwan;Kim, Ho-Soung;Cho,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14-918
    • /
    • 2012
  • 본 연구는 유역의 침수특성치를 기준으로 하여 치수계획규모를 설정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9월 21일 광화문 일대에 발생한 침수피해를 이용하여 XP-SWMM 2010 모형을 검증한 후 침수예상도를 산정하였다. 확률강우량은 Huff의 4분위법으로 분포시켰으며, 침수특성치(관로첨두유출량, 평균침수심, 특정지점의 최대침수심, 최대침수면적, 침수총량, 특정지점의 침수지속시간)를 기준한 유역치수계획규모를 설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모의 결과 출구점에서의 첨두유출량은 각 빈도별 최대값/최소값이 1.11~1.22로 거의 동일하게 구해지는 반면, 평균침수심, 특정지점의 최대침수심, 최대침수면적, 침수총량, 특정지점의 침수지속시간 등의 침수특성치는 1.59~7.44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유역 내에 발생하는 침수피해규모를 통한 임계지속시간이 계획규모설정에 더욱 적합하다 판단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Vari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Reservoir due to a Rainstorm (호우발생시 저수지 유입 부유사농도의 변화특성 연구)

  • Jang, Su-Hyung;Park, Moo-Jong;Yoo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1
    • /
    • pp.43-54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reservoir operation method in relation to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due to rainstorms. Present analysis is made for the Tamjin reservoir which is under construction. For the hydrologic computations the Huff rainfall distribution, Clark unit hydrograph method and Puls reservoir routing method are used. The vari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s calculated by 2-dimensional RMA-4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ossible intake time from the reservoir under low frequency flood is estimated and the rainfall-ret urn period - possible intake tim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which is very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water quality standard when supplying water from the reservoir for different utilizationurn period- possible intake tim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which is very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water quality standard when supplying water from the reservoir for different utilizations.

The variation of Probable Maximum Flood due to Rainfall distribution and Rainfall-Runoff Parameters (강우분포와 강우-유출 매개변수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

  • Kim, Nam Won;Lee, Jeong 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287-291
    • /
    • 2004
  • 가능최대홍수량(PMF)은 가능최대강수량(PMF)을 입력으로 한 강우-유출해석의 결과이다. 대상유역의 가능최대강수량을 산정하여 시${\cdot}$공간분포를 고려한 가능최대호우를 결정한 후, 강우-유출관계를 적용하여 가능최대홍수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산정된 가능최대홍수량은 실무에서 댐설계를 위해 이용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댐설계기준(건설교통부, 2001)에 가능최대홍수량 산정을 위한 방법론은 제시되어 있지만, 이에 내한 이론적인 토의가 충분치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가능최대홍수량 산정절차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강우분포와 강우-유출매개변수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먼저, 강우의 시간분포방법으로 blocking 방법, huff 방법, mononobe 공식을 채택하여 그 문제점을 세시하고, 시간분포방법별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강우-유출 매개변수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서, 먼지 평균개념의 기존단위도와 최대개념의 단위도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두 단위도 적용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최대개념의 단위도는 강우-유출관계의 적용을 위해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주로 이용되어 왔던 Clark 단위도를 선정하였고, 실측강우-유출자료의 해석을 통해 가능최대홍수량의 개념에 부합되는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가능최대강수량의 차이, 강우손실방법, 기저유량 고려유무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 PDF

Assessment of the Properties and Suitability for Bivariat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Rainfall Event along the Inter-Event Time (최소무강우시간(Inter-Event Time)에 따른 강우사상 특성 및 이변량 확률분포형 적합성 검토)

  • Joo, Kyungwon;Shin, Ju-Young;Kim, Hanbee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3-463
    • /
    • 2017
  • 최근 다변량 확률모형 연구 및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패턴 연구의 증가에 따라 시계열로 기록되어 있는 강우량 자료로부터 강우사상(Event)을 분리하는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우사상은 최소무강우시간(Inter-Event Time)을 기준으로 전후강우가 독립적인 강우인지 연속적인 강우인지 구별하는데 이 최소무강우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이 각 사용되는 분야마다 일관되지 않은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30년 이상 기록된 기상청 강우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를 위한 Huff 4분위법에서 사용되는 6시간의 최소무강우시간분터 지수확률분포 방법으로 얻어지는 최소무강우시간(일반적으로 12시간 내외)까지 최소무강우시간의 변화에 따라 분리된 강우사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강우사상의 이변량 빈도해석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연최대강우량 사상을 선정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최소무강우 시간에 따라 이변량 확률분포형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