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uff방법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Peak Discharge according to Temporal Patterns of Short-Duration Rainfall in Urban Area (도시지역에서 단시간강우의 시간분포형에 따른 첨두유량의 변화에 관한 연구)

  • Lee, Jung-Sik;Shin, Chang-Dong;Kim, 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68-177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시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설계강우의 시간분포형에 따른 첨두유량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Huff 및 Yen과 Chow의 시간분포방법을 이용하여 단시간 강우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기왕의 연구인 건설교통부의 전기간 강우에 의한 시간분포와의 비교를 실시하고, 실제 도시지역에 적용하여 첨두유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한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대상지역은 서울, 부산과 대구지점이며, 강우자료는 1961년부터 2004년까지 44년간의 연속된 자료로서 기상청의 자기우량지 및 AWS자료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첨두유량분석을 위한 대상유역으로는 서울특별시 일원의 성내와 반포배수구역과 부산광역시 일원의 동의대 시험유역, 경북 구미시 일원의 광평배수구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인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uff의 시간분포방법의 경우에는 단시간 강우자료의 지속기간에 따른 최대강우강도는 제1구간에서 발생할 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3구간에서 가장 낮게 발생하였으며, 기왕의 연구들과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Yen과 Chow의 시간분포방법에서는 기왕의 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에서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셋째, 첨두유량의 비교에서는 시간분포방법에 따라 변화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Rainfall Time Distribution using Minutely Data (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강우시간분포 개발)

  • Kim, Min-Seok;Kim, Jong-Suk;Son, Hong-Min;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17-417
    • /
    • 2015
  • 강우유출분석 시 강우의 총량과 시간분포는 첨두치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 강우의 시간분포는 HUFF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Huff방법은 소유역과 도시 하천에 적용에 대한 문제점, 지속시간별 시간분포 변화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 기준강우량으로 일괄 적용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과거 실제호우사상을 기반으로 한 도림천 유역에 적합한 시간분포를 개발하고 유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목적에 따라 홍수 예 경보 뿐만 아니라 수자원설계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ime Distribution Model for Design Storms (설계강우의 시간적 분포모형 적용성 연구)

  • 서진호;이상배
    • Water for future
    • /
    • v.28 no.5
    • /
    • pp.205-217
    • /
    • 1995
  • The historical data from 3, 550 event storms during 11 years in Wi-stream basin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statistical parameter of the time distribution for design storms by the method of Yen-Chow, Huff, Pilgrim-Cordery and Mononobe. The dimensionless value of triangular hyetograph, $a^0$, ranges from 0.44 to 0.50 and trapezoidal hyetograph, $h^0$, value increases as the duration time is getting longer in Yen-Chow method. In the Huff, the second-quartile storms occurred most frequently and third-quartile storms occurred most infrequently. In the Pilgrim-Cordery, the shapes for shorter than 6-hour durations are advanced tendency. However, for longer than 6-hour durations show delayed tendency. In the Mononobe, every one hour rainfall occured Centered Type. Th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for each duration time was tested by using the observed rainfall-runoff data of Wi-stream basin. As a result, the reappearance of hydrographs of triangular hyetograph by Yen-Chow method showed promising, and it was approved to be used for prediction of the ungaged basins.

  • PDF

Development of a Rainfall Time Distribution Model for Urban Watersheds (도시유역의 유출특성을 고려한 강우분포 모형의 개발)

  • Joo, Jin-Gul;Lee, Jung-Ho;Jo, Deok-Jun;Jun, Hwan-Don;Kim, Joong-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8
    • /
    • pp.655-663
    • /
    • 2007
  • This study suggests a new time distribution method of rainfall for small urban watersheds. IETD (Interevent Time definition) determination method considering basin characteristics and dimensionless accumulation rainfall curves involving rainfall events with shorter duration than 3-hours are suggested. A new definition of IETD is the time period from the end of a rainfall event to the end of a direct runoff. Using the method, we drive an area-IETD regression curve for the Joong-Rang basin. The rainfall event with 10 year-return periods, 2-hour duration is distributed and applied four urban watersheds. In the four watersheds, we calculate hydrographs for four watersheds using SWMM and compare them with ones of the Huff's distribution model. From the comparison, we find that peak flows resulted from the developed methodology are $11\sim15%$ larger than ones from the Huff's model. As conclusion, the Huff method should be adopted for the urban watersheds with careful verification.

Exploration of temporal distribution of design rainfall (설계강우량의 우량주상도 산정기법 개발)

  • Kim, Jin-Young;Kim, Jin-Guk;Yu, Jae-Un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5-245
    • /
    • 2020
  • 설계홍수량의 결정은 하천기본계획, 댐 설계 등 수리·수문학적으로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다.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해서는 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유출 모형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홍수량 산정 표준지침(2018)에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외 다양한 연구에서는 빈도별 확률홍수량의 경우 계측된 유량자료를 활용하여 직접 홍수빈도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라 알려져 있지만, 홍수빈도해석을 위한 자연유량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홍수수문곡선(hydrograph)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경우 주요지점을 제외하고는 계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수위-유량관계곡선(rating-curve)을 통해 산정된 유량자료를 활용하고 있어 자료의 신뢰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강우-유출 모형을 활용하여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하고 있으며, 확률강우량의 시간분포를 입력자료로 하여 홍수수문곡선을 취득하고 있다. 그러나 확률강우량의 우량주상도 변환시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Huff 4분위법을 활용하지만, 실제홍수사상과 비교했을 때 과소 및 과대 추정하는 경우가 많다. 더불어 분포된 우량주상도를 면밀히 살펴보면 빈도해석된 확률강우량과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낮은 강우 빈도를 가지고 있다. 즉, 우량주상도는 특정 지속시간의 확률강우량을 Huff 분포를 활용하여 얻어지지만, 관측소별로 산정된 확률강우량의 빈도개념이 무너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확률홍수량은 확률강우량과의 빈도개념의 상이하다고 할 수 있으며, 홍수빈도해석과의 비교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우량주상도의 개선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일관적으로 사용되어지는 Huff 3분위 50%를 지양하고, Huff의 다양한 분위(quartile)과 Blocking 방법 등을 비교·검토하여 보다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확률강우량의 우량주상도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Regression Coefficient Significance Test for Temporal Distribution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다중회귀분석 방법에 따른 시간분포 회귀식의 회귀계수 유의성 검정 비교)

  • Lee, Sung Ho;Lee, Jae Joon;Park, Jin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5-205
    • /
    • 2019
  • 우리나라에서 강우의 시간분포를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Huff 4분위법으로 강우의 시간적 분포특성을 나타내는 무차원 시간분포곡선을 제시한 것으로, 강우의 지속기간을 4분위로 구분하여 각 분위의 강우량 중 가장 큰 값이 속해 있는 구간을 선택하여 그 구간의 위치에 따라 분위를 정하는 방법이다. 현재 실무에서는 Huff의 분위별 곡선에 대한 회귀식은 지속기간 전반에 걸쳐 정확도가 높은 이유로 6차식을 적용하고 있으나, 통계 모델링에서 간결함의 원리에 따라 회귀식이 간결할 필요가 있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에 기초하여 회귀계수를 결정하여야 하므로 유의성 검정 방법을 통한 검정결과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회귀분석 방법에 따른 회귀계수 유의성 검정결과 비교를 위하여 구미지역의 무차원 누가우량 백분율을 이용한 시간분포 회귀식을 이용하여 유의성 검정 방법인 분산분석 방법(Analysis of Variance)과 변수선택 방법(Backward Selection)의 검정 결과를 도출 및 비교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인 프로그래밍 R을 이용하여 변수선택 방법 중 후방제거법 함수를 이용하여 최종 회귀식을 도출하고 또한 7차 회귀식을 분산분석을 이용한 후방제거법으로 회귀계수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최종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분산분석을 이용한 후방제거법의 유의성 검정결과는 프로그래밍 R을 이용한 후방제거법의 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Huff의 4분위 방법의 시간분포 회귀식은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설계강우량 시간분포 회귀식의 유의성 검정방법 제시 및 결과도출과정을 통해 시간분포 회귀식 산정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for Estimating of Design Flood Using the Univariate and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단변량 및 이변량 빈도해석을 이용한 설계홍수량 산정 결과의 비교분석)

  • Jun, Chang-Hyun;Park, Cheol-Soon;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6-1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독립 호우사상을 이용하여 이변량 빈도해석 및 유출해석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산정된 설계홍수량을 기존 단변량 빈도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추가로 빈도해석 결과를 유출모형에 적용하기 위한 강우의 시간분포 모형으로 교호블록 방법 및 Huff 방법을 이용하여 그 특성이 비교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빈도해석 결과로부터 산정된 설계홍수량을 비교하기 위해 Clark 모형을 유출모형으로 이용하였으며, 유효우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SCS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유역 크기가 다른 세 유역(중랑천, 청계천, 우이천)에 적용한 결과로부터 비교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에 대한 이변량 빈도해석 결과, 지속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단변량 빈도해석 결과와의 차이가 매우 크나 지속기간이 길어짊에 따라서 그 차이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속기간이 짧은 경우, 단변량 빈도해석 결과가 이변량 빈도해석 결과보다 더욱 크게 나타났으나 특정 지속기간 이상부터는 그 결과가 역전되어 나타났다. 둘째, 강우 시간분포 모형으로 교호블록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가 Huff 방법을 적용한 경우보다 더욱 큰 첨두유출량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호블록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강우 지속기간의 증가에 따라서 첨두 유출량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우 지속기간이 대략 24시간 정도 되었을 때 그 값이 거의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랑천 유역에 대해 Huff 방법을 적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한 결과에서는 이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가 단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보다 더욱 큰 홍수량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청계천 및 우이천 유역의 경우에는 이변량 설계 강우를 적용한 경우보다 단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의 홍수량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호블록 방법을 적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한 경우, 본 연구에서 고려한 모든 유역에 대해 이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가 단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보다 더 큰 홍수량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development for Representative Cumulative Rainfall Curves (유역의 대표누가우량곡선 작성방법에 관한 연구)

  • Jang, Su-Hyung;Park, Min-Seok;Yoon, Jae-Young;Ahn, Jae-Hyun;Yoon, Y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84-68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홍수량 산정시 강우-유출모형의 입력인자인 강우의 시간에 대한 작성방법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적용은 무한천 예당지지점에 대하여 적용하였으며, 대표누가우량 작성은 Huff(1967)와 건교부(2000)에서 사용된 방법과 동일하나 유역내$\cdot$외의 우량관측소 영향이 적절히 고려될 수 있도록 홍수량 산정지점의 동시간 강우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실무에서 적용하기 위한 유역의 대표누가우량곡선 작성방안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이 최선의 대안으로 검토되었다.

  • PDF

An Analysis of the Temporal Pattern according to Hydrologic Characteristics of Short-Duration Rainfall (단시간강우의 수문학적 특성에 따른 시간분포 분석)

  • Lee, Jung-Sik;Shin, Chang-Dong;Chang, Jin-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6 no.3 s.22
    • /
    • pp.57-68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mporal pattern characteristic of short-duration rainfall defined as a rainfall durations of 6 hours or less by the Huff's 4th quartile distribution. To analyze the temporal pattern characteristic of short-duration rainfall, the rainfall data are classified by rainfall duration and rainfall type(Changma, Typhoon, Severe rain storm, Frontal storm) and change of rainfall segment.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pared with result of research work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1989) and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200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hort-duration rainfall with duration of 6 hours or less is found to be most prevalent frist-quartile storms. (2) In the case of rainfall type, Changma and Severe rain storms and Frontal storm is found second-quartile storms, and Typhoon is found third-quartile storms. (3) In the result by change of sixth segment storms, the type of temporal pattern of rainfall is found to be most prevalent two sixth parts, (4)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s that shapes of the dimensionless cumulative curves and valu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existing researches.

Rainfall analysis considering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temporal-spatial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집중호우의 시·공간적 특성과 유역특성을 고려한 강우분석 연구)

  • Kim, Min-Seok;Choi, Ji-Hyeok;Moon, You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8
    • /
    • pp.739-745
    • /
    • 2018
  • Recently, the incidence of heavy rainfall is increasing. Therefore, a rainfall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considering increasing frequency. The current rainfall analysis for hydrologic design use the hourly rainfall data of ASOS with a density of 36 km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medium and small scale watershed included Thiessen network at the same rainfall point are analyzed with the same design rainfall and time distribution. This causes problem that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can not be consider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oral-spatial change of the heavy rainfall occurring in the range of 10~20 km can not be considered. In this study, Author estimated design rainfall considering heavy rainfall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of AWS, which are relatively dense than ASOS. Also, author analyzed the time distribution and runoff of each case to estimate the huff's method suitable for the watershed. The research result will contribute to the estimation of the design hydrologic data considering the heavy rainfall and watershed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