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tM

검색결과 579건 처리시간 0.028초

추출용매와 부위에 따른 고추 추출물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Extracts from Korean Pepper (Capsicum annuum L.) by Extraction Solvents and Plant Parts)

  • 최소라;김명준;안민실;송은주;서상영;최민경;김영선;최동근;송영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69-377
    • /
    • 2014
  • In order to find out anticancer activity of Korean pepper (Capsicum annuum L.), the cytotoxicity against 8 cell lines including 293 (normal kidney cells) and A-431 (epidermoid carcinoma cells) of extracts by extraction solvents and plant parts were investigated using MTT assay.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content of capsaicin known as anticancer ingredient and cytotoxicity of extracts from pepper were analyzed. The distilled water extracts from seed and germinated seed showed very high cytotoxicity against 6 cancer cell lines including A549 (lung carcinoma cells), AGS (stomach adenocarcinoma cells), HeLa (cervix adenocarcinoma cells), HepG2 (hepatoblastoma cells), HT-29 (colon adenocarcinoma cells), and MCF-7 (breast adenocarcinoma cells). But 80%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showed cytotoxicity against 293 and AGS. The $RC_{50}$, that was, the concentration of sample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cell viability, of seed and germinated seed extracts against AGS were $33.4{\sim}389.1{\mu}g/m{\ell}$ and $63.9{\sim}1,316.7{\mu}g/m{\ell}$, respectively, so anticancer activity was higher in seed than in germinated seed. In capsaicin contents, seed with high cytotoxicity and pericarp with a little cytotoxicity contained $47.4{\sim}1,260.0{\mu}g/g$ and $58.3{\sim}1,498.0{\mu}g/g$, respectively. As these results, the correlation was not between cytotoxicity and capsaicin content.

Evaluation of Effective MMP Inhibitors from Eight Different Brown Algae in Human Fibrosarcoma HT1080 Cells

  • Bae, Min Joo;Karadeniz, Fatih;Ahn, Byul-Nim;Kong, Chang-Su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3호
    • /
    • pp.153-161
    • /
    • 2015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re crucial extracellular matrices degrading enzymes that have important roles in metastasis of cancer progression as well as other significant conditions such as oxidative stress and hepatic fibrosis. Marine plants are on the rise for their potential to provide natural products that exhibit remarkable health benefits. In this context, brown algae species have been of much interest in the pharmaceutical field with reported instances of isolation of bioactive compounds against tumor growth and MMP activity. In this study, eight different brown algae species were harvested, and their extracts were compared in regard to their anti-MMP effects. According to gelatin zymography results, Ecklonia cava, Ecklonia bicyclis, and Ishige okamurae showed higher inhibitory effects than the other samples on MMP-2 and -9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s of 10, 50, and $100{\mu}g/mL$. However, only I. okamurae was able to regulate the MMP activity through the expression of MMP and tissue inhibitor of MMP observed by mRNA levels. Overall, brown algae species showed to be good sources for anti-MMP agents, while I. okamurae needs to be further studied for its potential to yield pharmaceutical molecules that can regulate MMP-activity through cellular pathways as well as enzymatic inhibition.

인체 및 토끼 위선세포에서 인삼사포닌의 위산분비 매개 신호전달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osides on Acid Secretion in Gastric Cells Isolated from Human and Rabbit Gastric Mucosa)

  • 김혜영;김신일;김경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22-31
    • /
    • 1998
  • Antiulcer effects of ginseng saponin, acidic polysaccharide and methanol extract of Panax ginseng in the patients and experimental animals were reported. Postulated action mechanisms of ginseng were histamine-Ht receptor blocking and increasing gastric blood flow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ginsenosides, the biologically active glycosides of ginseng, on gastric acid secretion was examined using gastric cells isolated from human and rabbit gastric mucosa. Ginseng saponin, ginsenoside $Rb_1$, $Rb_2$, $Rg_1$ and $Rh_2$ were tested in unstimulated as well as stimulated gastric cells. Histamine ($10^4$M) and 3-isobutyl-1-methylxanthine ($10^4$M) were used as secretagogue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ginsenosides on acid secretion, the levels of cAMP and cGMP were monitored in gastric cells. As a result, high concerltration(1mg/ml) of ginseng saponin showed 73-75% of stimulated acid secretion in control gastric cells. However, ginseng saponin had no effect on unstimulated acid secretion and the levels of cGMP and cAMP in gastric cells. Ginsenoside $Rb_1$, $Rb_2$ and $Rh_2$ significantly inhibited stimulated acid secretion. Gastric cGMP levels were increased by all ginsenosides tested while cAMP levels were increased by all ginsenosides in unstimulated state of gastric cells, but increased by ginsenosides ginsenoside $Rg_1$ and $Rh_2$in stimulated state of gastric cells. Th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on of ginseng saponin on gastric acid secretion represents a complex effect of individual ginsenosides, which produce a range of effect on acid secretion. The inhibition site of ginseng saponin on stimulated acid secretion is postulated as post cAMP levels in acid secretary pathway such as protein phosphorylation or proton pump. Nitric oxide may not be involved in the inhibitory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stimulated acid secretion.

  • PDF

염생식물 도깨비고비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Halophyte Cyrtomium falcatum)

  • 김현모;김호준;공창숙;이봉호;심현보;서영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3호
    • /
    • pp.113-126
    • /
    • 2021
  • In the present study, the halophyte C. falcatum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n-hexane, 85% aqueous methanol, n-butanol, and water) were evaluated fo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tioxidative ability was measured by DPPH radical,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DNA oxidation inhibition,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For DPPH radical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DNA oxidation inhibition, and FRAP, 85% aq.MeOH and n-BuOH fractions showed significant scavenging activity. For production of intracellular ROS in HT-1080 cells, 85% aq.MeOH fraction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In addition,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also assessed by measuring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NO, IL-1β, IL-6 and COX-2)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For NO production, crude extract exhibited a strong inhibitory effect at a concentration of 100 ㎍/ml. For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β, IL-6, and COX-2), n-BuOH greatly suppressed expression levels of IL-1β and IL-6 at 100 ㎍/ml concentration while 85% aq. MeOH fraction significantly inhibited that of COX-2 even at 100 ㎍/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 falcatum may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a natural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agent.

하절기 가두리양식 참돔의 절식에 따른 성장과 혈액성상의 변화 (Change of Growth and Blood Characteristics on Starvation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Cultured in Marine Net Cage in Summer)

  • 김원진;원경미;신윤경;이정용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5-175
    • /
    • 2017
  • 본 연구는 하절기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고수온, 적조와 같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상가두리 ($6m{\times}6m{\times}6m$) 절식 사육을 통해 참돔의 생존율, 성장, 성장 회복 그리고 생리반응을 조사하였다. 6주간의 절식 후 4주간의 먹이 공급을 통한 연구결과 생존율은 섭식구 94.4%, 절식구 98.1%로 나타났다. 체중 성장률은 절식구에서 $-12.4{\pm}3.2%$ 성장을 보여 체중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지만, 먹이 공급 후 $36.7{\pm}6.8%$의 빠른 성장 회복을 나타냈다. 혈액분석을 통한 절식구의 영양상태 또한 섭식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먹이 공급 후 개시 시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지표를 분석한 결과 절식기간 섭식구의 Hb, Ht의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섭식구의 급격한 혈액성상의 변화는 하절기 해상가두리 환경에서 절식구보다 섭식구가 스트레스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생존율, 성장 회복, 혈액성상을 통한 결과를 토대로, 고수온과 적조에 노출되는 하절기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두리 양식어류 관리 방안으로 일정기간 절식이 활용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털부처꽃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탐색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Leaf Extract of Lythrum salicaria L.)

  • 김희연;임상현;박민희;박유화;함헌주;이기연;박동식;김경희;김성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09-415
    • /
    • 2010
  • In this study, the bioactivities of ethanol (EELS) and water extract (WELS) from the leaf of Lythrum salicaria L. were investigated. In the anti-cancer activity, the growths of both human prostate cancer (DU145) and human colonic carcinoma cell (HT29) were inhibited up 60% by adding 10 mg/$m{\ell}$ of EELS.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ELS and WELS have been evaluated on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release of nitric oxide (NO) by the macrophage RAW 264.7 cells. EELS and WELS inhibited inflammatory by 57.3 and 46.9% in 10 mg/$m{\ell}$, respectively. In the anti-oxidative activity, $IC_{50}$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respectively 60.71 and $92.90\;{\mu}g/m{\ell}$ by EELS and WELS. In the anti-diabetic activity, $IC_{50}$ of ${\alpha}$-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EELS and WELS were respectively 5,250 and $5,020\;{\mu}g/m{\ell}$. $IC_{50}$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7.96 and $68.41\;{\mu}g/m{\ell}$ by EELS and WELS. In the anti-obesity, $IC_{50}$ of lipase inhibitory activity was 880 and $9,840\;{\mu}g/m{\ell}$ by EELS and WELS. Finally, EELS and WELS exhibited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ctivity and anti-obesity. It suggests that Lythrum salicaria L.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resource of bioactive material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증강 및 항암효과 (Immuno-stimulating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Grifola frondosa)

  • 김정화;차윤정;심미자;이민웅;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8-77
    • /
    • 2011
  • 잎새버섯의 자실체로부터 메탄올, 중성염용액 및 열수를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고 ICR mous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잎새버섯 조다당류의 Sarcoma 180 및 RAW 264.7에 대해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10~2000 ${\mu}g/ml$의 조다당류 농도에서 각각의 세포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HT-29 및 NIH3T3 세포의 경우에는 중성염용액으로 추출한 조다당류 10~1000 ${\mu}g/ml$의 농도에서는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2000 ${\mu}g/ml$의 농도에서는 약한 독성을 나타내었다. Sarcoma 180으로 접종된 ICR mouse에 잎새버섯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각각의 조다당류를 투여한 실험군은 조다당류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평균수명이 각각 25.0~52.9% 연장되었다. 열수로 추출한 조다당류를 200 ${\mu}g/ml$의 농도를 처리한 비장세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1.3배 증가하였으며, 200 ${\mu}g/ml$의 농도로 중성염추출 조다당류를 투여한 실험군 생쥐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약 1.5배 증가하였다. 대식세포 RAW 264.7에 의해 발생된 nitric oxide(NO)의 농도는 대조군이 4.3 ${\mu}M$인 것에 비해 중성염 추출 조다당류를 50~500 ${\mu}g/ml$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의 대식세포는 10~14 ${\mu}M$의 nitric oxide를 발생시켰다. 메탄올, 중성염용액 및 열수로 추출한 조다당류로 처리한 비장세포는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TNF-${\alpha}$, IL-$1{\beta}$, IL-2, IL-6 등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이 1.4배 이상 높았다. 메탄올 추출 조다당류를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의 총 복강세포의 수와 백혈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0배, 2.0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잎새버섯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는 생쥐의 면역을 증강시키고 Sarcoma 180에 대한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ancreatic Polypeptide Family의 심혈관계 근육 수축성에 대한 약리학적 작용: I. 개의 뇌혈관에서 cyclic nucleotide활성제와 칼륨통로개방제와의 상호작용 (Effect of Pancreatic Polypeptide Family on Cardiovascular Muscle Contractility: 1. Interactions with cyclic nucleotide activators and $K^+$ channel openers in canine cerebral arteries)

  • 김원준;이광윤;하정희;권오철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7-162
    • /
    • 1992
  • Pancreatic polypeptide family펩타이드들의 뇌혈관 평활근 수축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고, cyclic nucleotide 활성제 및 칼륨통로개방제와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체중 $20{\sim}30\;g$의 개를 사혈 희생시켜 두개골을 절개한 후 뇌저동맥과 중뇌동맥을 적출하였다. 적출된 동맥편은 $4^{\circ}C$의 생리적식염수 내에서 나선형 절편으로 만들어 0.3%의 CHAPS 용액에 침잠시킴으로써 내피세포층을 제거한 후 95% $O_2$와 5% $CO_2$의 혼합기체로 포화된 $37^{\circ}C$의 Krebs-Henseleit 용액을 포함한 적출근편실험조에서 등척성 장력을 측정하였다. 1. PP, PYY 및 NPY는 뇌동맥 나선형절편을 농도의존적으로 수축시켰으며, 그 효력과 효능은 PYY가 가장 강하였고, 그 다음이 NPY, 그리고 PP의 순이었다. 이들의 효력은 노르아드레날린보다 20내지 200배 강하였으며, 그 중 PYY는 5-HT 보다도 강한 효력을 보였다. 2. Cyclic AMP 활성제인 forskolin과 cyclic GMP 활성제인 sodium nitroprusside는 뇌동맥절편의 기본장력을 감소시켰으며, PP, PYY 및 NPY 유발수축 역시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 때 forskolin의 기본장력억제작용이 sodium nitroprusside보다 강한 효력을 나타내었다. 3. 칼륨통로 개방제인 RP 49356, P 1060 및 BRL 38227은 기본장력에 대해서는 공히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PP, PYY 및 NPY 유발수축에 대해서는 P 1060만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RP 49356 및 BRL 38227은 약간 억제하는 경향만을 보였는데, 특기할 것은 저농도의$(0.1\;{\mu}M)$ BRL 38227이 이들 펩타이드 유발수축을 오히려 증가 시켰다는 것이다. 4. 기본장력에 대해서, 칼륨통로개방제들은 forskolin의 이완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그중 P 1060과 BRL 38227은 sodium nitroprusside의 이완작용을 상승적으로 강화하였다. PYY$(0.1\;{\mu}M)$유발 수축작용에 대해서, 칼륨통로 개방제들은 forskolin의 수축억제작용에 대해서는 약간 길항하는 경향만을 보였고, sodium nitroprusside의 수축억제작용은 유의하게 길항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개의 뇌혈관에서는 NPY 뿐만 아니라 PYY도 혈관수축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으며, 그 수축작용의 기전에는 세포내 cAMP 및 cGMP 활성도의 변화가 포함된다고 사료된다. 또 칼륨통로개방제들은 pancreatic polypeptide family의 뇌혈관수축작용에 대하여 제제 및 농도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향후의 더욱 세밀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한국산 도꼬마리 추출물로부터 항균.항암물질의 탐색 (Screening of the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y of Xanthium strumarium L.Extract)

  • 김현수;유대식;이인선;김용원;여수환
    • KSBB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55-61
    • /
    • 2003
  • 항균 및 항암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도꼬마리 열수 추출액을 ether 및 ethylacetate를 이용하여 중성, 산성, 염기성조건에서 추출한 후, 각각의 추출물을 세균 16균주 및 곰팡이와 효모 2균주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Ether 중성 추출물(XE-N)은 항균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특히 그람 양성세균(7균주), 그람 음성세균(7균주)을 비롯하여 진균중 Cryptococcus neoformans에도 뚜렷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XE-N 및 XEA-N을 대상으로 FDA method에 의한 항균효과를 검토한 결과, p. aeruginosa를 제외한 3균주에 대해 30 ng/mL에서도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XE-N으로부터 XE-N-S1, XE-N-S3을, Ether 산성 추출물(XE-A)로부터 XE-N-S3 을, ethylacetate 중성 추출물(XEA-N)로부터 XEA-N-S2를 항균, 항암성 물질로 정제하였으나, XE-N-S1을 제외한 다른 물질들은 빠른 시간 내에 모두 분해되었다 도꼬마리 추출물 및 정제된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항암효과를 검토한 결과, HeLa 자궁암 세포에 대해서는 XE-N-S1이 가장 우수하였다. HepG2간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는 XE-N-S, XE-N-S3가 우수하였고, HT29 대장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는 XE-N, XE-N-S1이 우수하였다. Saos2 골육종 암세포, NCI H522 폐선 암세포, NCI H1703 폐 편평세포 암세포와 Clone M3 흑색종 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는 XE-N-S1이 가장 우수하였다. LN CAP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는 XE-N-S3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SF 인간 정상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각종 추출물 및 정제물의 세포독성을 기존의 항암제인 etoposide와 cisplatin과 비교·검토한 결과, XE-A, XEA-A 및 XEA-B가 가장 독성이 낮았으며, XE-B도 etoposide에 비해 독성이 낮았다. 한편 XE-N-S1, XE-N-S3은 etoposide보다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XE-A-S3은 etoposide보다는 독성이 높았으나, cisplatin보다는 낮았다.

벼 드문모심기 재식밀도에 따른 품종별 생육 및 수량 변이 (Changes in Growth and Yield of Different Rice Varieties under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in Low-Density Transplanting Cultivation)

  • 양서영;황운하;정재혁;이현석;이충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279-288
    • /
    • 2021
  • 벼 드문모심기는 노동력과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재배기술로 본 연구에서는 드문모심기의 적정 재식밀도 설정을 위해 분얼특성이 다른 품종별 생육 및 수량을 분석하였다. 37주~80주/3.3 m2 재식밀도에서 소얼형, 중간형, 다얼형 품종을 가지고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식밀도는 낮아질수록 주당 분얼수(이삭수)는 많아지지만 면적당 분얼수(이삭수)는 적어졌는데 소얼형 품종일수록 적었다. 분얼 발생기간이 길어졌고 소얼형 품종에서 가장 길어졌다. 2. 재식밀도 감소에 따라 출수기 직전의 엽색은 진해지고 군락피복도는 감소하였다. 분얼이 많은 호평과 예찬보다는 소얼형인 신동진에서 변화폭이 컸다. 3. 출수기는 재식밀도가 낮아질수록 0~2일 늦춰지는 경향을 보였고 수전기간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4. 재식밀도 감소에 따라 천립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재식밀도가 줄어들면서 면적당 영화수와 등숙률의 저하로 수량이 감소되었다. 5. 안정적인 드문모심기 재배를 위한 재식밀도는 50주/3.3 m2 이상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얼형인 신동진이 재식밀도 감소에 따른 생육 및 수량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나 분얼이 적은 품종보다는 많은 품종을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