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rly Average Conges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A Study on Estimate Model for Peak Time Congestion

  • Kim, Deug-Bong;Yoo, Sang-Lok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5-291
    • /
    • 2014
  • This study applied regression analysis to evaluate the impact of hourly average congestion calculated by bumper model in the congested area of each passage of each port on the peak time congestion, to suggest the model formula that can predict the peak time congestion.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of hourly average congestion and peak time congestion based on the AIS survey study of 20 ports in Korea.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ourly average conges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ak time congestion and the prediction model formula was derived. This formula($C_p=4.457C_a+29.202$)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peak time congestion based on the predicted hourly average congestion.

주요항만의 실측조사 기반 해상교통혼잡도 평가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Marine Traffic Congestion based on Survey Research in Major Port)

  • 유상록;정초영;김철승;박성현;정재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83-490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 무역항 중 입항 선박이 많은 주요 4개 항만을 선정하여 10일간의 AIS 실측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측 조사로 산출한 주요항만의 피크시간 혼잡도는 시간당 평균혼잡도 보다 약 3.8~5.7배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Port-MIS 통계자료로 울산항 본항의 해상교통혼잡도를 평가한 선행연구 사례에서 피크시간 혼잡도가 시간당 평균혼잡도 보다 약 1.7배 높은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어 현 항로의 교통특성을 왜곡하는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해상교통혼잡도를 평가할 때에는 Port-MIS 통계자료보다 실측조사를 기반으로 해상교통혼잡도를 산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주요 항만 및 연안항로의 계절별 해상교통혼잡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sonal Variation in Marine Traffic Congestion on Major Port and Coastal Routes)

  • 강원식;송태한;김영두;박영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계절별 혼잡도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1년 동안의 주요 연안 통항로 및 항만 입출항로를 대상으로 계절별 기상특보가 발효되지 않은 1주일간의 GICOMS Data를 바탕으로 혼잡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간당 평균 혼잡도의 계절별 차이는 최대 약 11 %, 평균 약 3.5 %, 피크시간 혼잡도의 계절별 차이는 최대 약 82 %, 평균 약 30 %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혼잡도 평가시에 이러한 계절별 혼잡도 변화를 감안하여야 하며, 특히 해상교통안전진단에서의 평가 시에는 이러한 계절별 차이가 존재하므로 혼잡여부에 대한 해상교통 안전대책 마련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항공기 지연시간을 고려한 제주국제공항 활주로 연간용량 산정 (Estimation of Annual Runway Capacity for Jeju International Airport Considering Aircraft Delays)

  • 박지숙;윤석재;이영종;백호종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14-222
    • /
    • 2015
  • 계속되는 항공수요 증가와 국지적인 기상요인으로 제주국제공항은 우리나라 공항가운데 가장 높은 항공기 지연율을 보이고 있다. 현재의 항공수요 증가추세를 감안할 때 이러한 제주국제공항의 항공기 지연현상은 앞으로 더욱 악화되어 공항의 처리능력 한계에 다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공항의 처리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활주로의 연간용량 산정은 장래 공항계획 수립을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다. 하지만 현재 실무에서는 FAA에서 제시한 산정식을 적용하여 연간용량을 산정하고 있으나, 변수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사용자의 해석에 따라 상이한 결과값이 도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항공기의 지연이 고려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무적 제약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실무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미시적 항공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여 활주로를 이용하는 항공기의 평균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제주국제공항 활주로의 일일용량을 분석, 최종적으로 연간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형구축 및 검증을 위한 자료수집, 분석과정과 검증결과를 설명하였다. 제주국제공항의 일일용량 및 연간용량 분석 결과, 각각 약 460회, 약 169,000회로 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