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ospital Mortality

검색결과 2,487건 처리시간 0.035초

흉부 손상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the Chest Trauma)

  • 이재덕;이계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79-85
    • /
    • 1996
  • 대전 을지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1년 3월 부터 1994년 11월까지 흉부손상으로 입원한 305명의 환자에 대하여 임상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령 분포는 4세 에서 85세까지 다양하였고 가장 흔한 연령층은 30대, 40대, 50대 였다. 남녀의 비율을 보면 남자 환자가 229명에 비해 여자 환자는 76명으로 남녀의 비는 남자에서 많은 빈도를 보였다. 흉부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은 비 관통성 손상에서는 교통사고, 관통성 손상에서는 자상이 제일 많았다. 혈흥, 기흥, 혈 기흥은 전체 환자중 159례 (52.1%)에서 관찰되었고 늑골골절은 236례 (77.4%)에서 관찰되었다 손상 부위별로는 우측이 102례, 좌측이 142례, 양측이 45례로 좌측에서 많았고 가장 흔한 늑골골절은 3번에서 8번까지의 늑골이었다. 수상후 내원시간은 6시간 이내가 155례 (50.8%) 였다. 흉부손상의 초기 합병증 치료의 원칙은 흥강천자술(5례)이나 폐쇄성 흥관 삽관술(142례)에 의한 폐의 신속한 확장이 었으나, 심한 출혈 (13례), 횡격막 파열6례, 이물질 3례 등으로 17례 에서 개흥술을 시행하였다. 부분의 치료방법인 보존적 요법은 140례 (45.9%)에서 시행하였다. 전체 사망률은 2.6% (8례)였고 사망원 括\ulcorner호릅부전과 쇽이었다.

  • PDF

간질성 폐질환의 확진을 위한 흉부외과의 역할 (Thoracic Surgeon's Role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Interstitial Lung Disease)

  • 김성환;양준호;김종우;최준영;이상호;장인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382-386
    • /
    • 2006
  • 배경: 다양한 형태의 간질성 폐질환의 확진을 위해서 조직학적인 진단을 필요로 한다. 흉부외과의 폐생검이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6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폐생검을 시행한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록지, 전화설문을 시행하여 후향적인 조사를 하였다. 결과: 평균 나이는 $49{\pm}22$세였다. 나이의 범위는 1세에서 70세였다. 주소는 대부분 호흡곤란이었으며, 간질성 폐질환의 확진을 위하여 소아과와 내과에서 의뢰된 환자들이었다. 폐생검 접근방법은 흉강경 6예, 개흉술 11예였다. 11예에서(65%) 확진이 가능하였고, 조직학적인 진단이 확인된 후 13예에서(76%) 치료방법을 변경하였다. 결론: 외과적인 폐생검술은 간질성 폐질환의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폐생검술은 수술 중 사망이 없을 정도로 안전한 방법이다. 진단이 되지 않은 간질성 폐질환의 감별진단을 위하여 폐생검이 권유하는 것은 치료방법의 결정에 중요하다.

다한증 환자에서의 Clipping에 의한 T2 Sympathetic Chain Block의 효과 (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 Block for Essential Hyperhidrosis)

  • 이두연;윤용한;백효채;신화균;이성수;강정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45-748
    • /
    • 1999
  • 배경: 원발성 다한증 환자에서 높은 만족도와 수술성공률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6개월이 지나면 과도한 보 상성 다한증의 결과로 만족도가 66%까지 떨어지게 된다. 보상성 다한증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시도 되었으 나 실제적으로 이와 같은 문제에서의 완전한 치료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훙부외과에서는 1998년 7월부터 1998년 11월까지 42례의 다한증 환자에서 42례 의 협자에 의한 흉부교감 신경절 차단술(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을 시행하였으며 2명을 제외한 40명 의 환자에서 추적 가능하였으며 평균 수술시간은 40분이었으며 평균입원기간은 1일이었다. 결과: 수술 후 보상성 다한증은 31례(77.5%)에서 나타났으며 생활에 불편한 정도의 보상성 다한증은 9례(22.5%)였다. 수술 의 만족도는 95.0%에서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2례(5.0%)에서 만족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결론: 협자을 의한 T2 흉부교감 신경차단술(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은 다한증의 치료를 위한 한 방법으로 생각되어지며 특히 여름철에 수술하는 경우와 안면부 다한증의 경우에 가역적인 수술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arly and Mid-term Changes of the Distal Aorta after Total Arch Replacement for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 Choi, Chang Hu;Park, Chul Hyun;Jeon, Yang Bin;Lee, So Young;Lee, Jae Ik;Park, Kook Ya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1호
    • /
    • pp.33-40
    • /
    • 2013
  • Background: Total arch replacement (TAR) is being more widely performed due to recent advances in operative techniques and cerebral protective strategies. In this study, the authors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R and early- and mid-term changes of the false lumen after TAR in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aged, $54.7{\pm}13.3$ years) who underwent TAR for acute type A dissection between June 2004 and February 2012 were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ntage change in the aortic diameter and the false lumen patency status was assessed by examining the early and late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imaging studies. Results: There were two in-hospital mortalities, one late death, and three follow-up loses. The mean follow-up duration for the final 21 patients studied was $54{\pm}19.0$ months (range, 20 to 82 months). The incidence of false lumen thrombosis within 2 weeks of surgery in the proximal, middle, and distal thoracic aorta, and the suprarenal and infrarenal abdominal aorta were 67%, 38%, 38%, 48%, and 33%, respectively, and 57%, 67%, 52%, 33%, and 33% for those examined at a mean of $49{\pm}18$ months after surgery, respectively. The false lumen regressed in 11 patients (42.3%). The aortic diameters were larger in the patients with a patent false lumen than those with a thrombosed false lumen at all levels of the descending aorta (p <0.05). Conclusion: TAR and a more complete primary tear-resection can be accomplished with a relatively low-risk of morbidity and mortality. Enlargement of the distal aorta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alse lumen patency status.

Comparison of the Outcomes between Surgical Aortic Valve Replacement and Transcatheter Aortic Valve Replacement in Patients Aged above 80

  • Lee, Jeong-Woo;Kim, Jihoon;Jung, Sung-Ho;Chung, Cheol Hyun;Lee, Jae W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4호
    • /
    • pp.255-262
    • /
    • 2017
  • Background: Transcatheter aortic valve replacement (TAVR) has been suggested as a less invasive treatment for high-risk patients with aortic valve disease. I n this study, we compared the outcomes of conventional surgical aortic valve replacement (AVR) and TAVR in elderly patients aged over 80. Methods: A total of 108 patients aged 80 years or older who underwent isolated AVR (n=35) or TAVR (n=73) from 2010 through 2015 at Asan Medical Center were identified. Early and late clinical outcomes, including echocardiographic findings, were evaluated in both group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766.4{\pm}528.7days$ in the AVR group and $755.2{\pm}546.6days$ in the TAVR group, and the average timing of the last follow-up echocardiography was at $492.6{\pm}512.5days$ in the AVR group and $515.7{\pm}526.8days$ in the TAVR group. Results: The overall early mortality was 2.8% (0 of 35, 0% in the AVR group vs. 3 of 73, 4.1% in the TAVR group). Permanent pacemaker insertion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he TAVR group (p=0.010). Renal failure requiring dialysis and new-onset atrial fibrillation was more frequent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was longer in the AVR group; however, this difference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TAVR group, 14 patients (19.2%) were rehospitalized due to cardiac problems, and 13 patients (17.8%) had developed significant paravalvular leakage by the time of the last follow-up echocardiography. Conclusion: TAVR could be a good alternative to conventional surgical AVR in elderly patients. However, TAVR has several shortcomings, such as frequent significant paravalvular leakage or readmission,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decision-making.

한국(韓國)에 만연(蔓延)하고 있는 만성간염(慢性肝炎)의 자연병력(自然病歷) (Natural History of Chronic Hepatitis in Korea)

  • 정환국
    • 보험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4-36
    • /
    • 1985
  • Korea is an endemic area of chronic hepatitis in the world. Liver cirrhosis and liver cell carcinoma, presumed to be related to such chronic hepatitis, are the major causes of death in this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sclosing the sources of chronic hepatitis in Korea establishing its histologic characteristics, disclosing the patterns of progression in chronic hepatitis, delineating its prognosis and finally speculating its etiology. The study group was composed of 183 patients with biopsy-proven acute icteric viral hepaticis, 32 patients with biopsy- proven anicteric hepatitis and 260 patients with biopsy- proven chronic hepatitis. These patients submitted to long-term follow-up by means of liver needle biopsy and/or clinicolaboratory evaluation. The period of follow-up ranged from two months to 18 years. The histological features of the initial biopsy specimens of chronic hepatitis permitted a division of the cases cases into the following five types: Type I. Persisting portal hepatitis : so called persisting hepatitis 43 Type II. Chronic inactive hepatitis with incomplete strand septal fibrosis. This type has thin fibrotic septation in addition to Type I with portal sclerosis 38 Type III. Chronic active periportal hepatitis(CAPH) : so called aggressive hepatitis, characterized by marked piecemeal necrosis. This type has been subdivided further into three groups: AB and C on the basis of histologic features. A CAPH without cirrhosis 15 B CAPH with cirrhosis 99 C CAPH with diffuse acinus type parenchymal nodules; characterized by rosette-forming micronodules 21 Type IV. Subacute hepatic necrosis; characterized by multilobular and/or bridging necrosis. 14 Type V. Persisting lobular hepatitis; characterized by spotty necrosis, which looks very similar to acute viral hepatitis. Such histologic changes should be persisted for more than six months 30 In Korea the main source of chronic hepatitis is the anicteric type. Of the chronic hepatitis observed in the hospital, Type IIIb was the most frequent in its incidence and occasionally exhibited develop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but the mortality was highest in Type IIIc during the period of follow-up.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these five types suggest a spectrum of chronic hepatitis in Korea from an early and mild stage to advanced and fatal cirrhosis, which is occasionally associated with primary hepatic cell carcinoma. It seems that Type IV can be followed by flare-up of various stages of acute and chronic hepatitis with HBsAg and that many cases of liver cirrhosis prevalent in Korea occur through such an active process of Type IV. The etiology is not established, but in Korea it is mainly related to HBsAg.

  • PDF

허혈성 심질환의 치료에서 관동맥우회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for Ischemic Heart Disease)

  • 정태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225-233
    • /
    • 1996
  • 허혈성 심질환의 치료로서 시행되는 관동맥우회술은 최근 국내에서도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데 1992년부터 1996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 시행한 63례의 관동맥우회술을 대상으로 수술성적 및 술전 위험인자들이 술후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환자의 성별 및 연령을 보면 총 63례의 환자 중 남자가 44례, 여자가 19례였으며 연령 분포는 36세에서 71세까지 평균 $58.3{\pm}8.6$세였으며 50대와 60대에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원위문합수는 환자당 평균 3.5개의 원위부 문합을 하였으며 수술사망은 6례였으며 술후 합병증으로 부정맥이 7례, 창상감염이 5례, 술후 출혈이 4례, 술중 및 술후 심근경색이 4례, 뇌졸증이 4례, 그리고 위장관 및 신장 합병증이 5례에서 발생하였다. 술후 합병증 발생의 요소를 분석해 본 결과 술전 관동맥질환 발생의 위험인자 중 흡연환자에서 합병증의 발생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술전 위험인자로 정맥으로 Nitroglycerin의 투여가 필요했던 경우와 대동맥 차단시간이 2시간 이상인 경우 합병증의 발생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의 경우 수술사망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흡연, 65세 이상의 고령, 술전 정맥으로 Nitroglycerin의 투여가 필요했던 경우 그리고 이식혈관의 수가 많아 대동맥 차단시간이 긴 경우 술중 및 술후 관리에 더욱 섬세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오진된 섬망 환자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isdiagnosed Delirium)

  • 오유진;백수현;김민혁;민성호;박기창;안정숙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2호
    • /
    • pp.87-92
    • /
    • 2014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섬망의 오진과 관련된 임상적 특징 및 임상의를 오진으로 유도할 수 있는 증상적 특징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일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정신과에 협의진료 의뢰된 환자 중,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섬망으로 진단된 25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협진요청서에 명시된 사유를 검토하여, 의뢰의사의 진단이 섬망인 경우 진단일치군으로 섬망이 아닌 경우 진단불일치군으로 구분하였다. 결 과 69명(27%)이 진단불일치군으로, 섬망이 아닌 다른 진단으로 협진이 의뢰되었다. 진단불일치군에서 항정신병약물의 사용, 기질성 정신질환의 과거력이 많았다.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DRS-R-98) 중 증상의 변동 항목의 점수가 진단일치군에서 더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질환의 낮은 심각도, 항정신병약물 사용력, 적은 증상의 변동이 임상의가 섬망 외에 다른 진단을 고려하는 예측인자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항정신병약물을 복용중인 경우, 섬망증상의 변동이 적은 경우 오진의 위험이 높았다. 지연된 섬망의 진단과 치료는 환자의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임상적 관심이 필요하다.

  • PDF

섬망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 처방 유형에 따른 임상 경과의 차이 (Clinical Course according to Antipsychotics Prescription Pattern in Delirium)

  • 박재섭;김재진;박성종;김성민;박진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20-128
    • /
    • 2017
  • 연구목적 섬망의 증상을 조절하기위해 일반적으로 항정신병약물이 사용되지만, 투약 기간 및 용법과 같은 처방 양상과 환자의 임상 경과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이 연구를 통해 섬망을 경험한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양상에 따라 임상 경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의 일 종합병원에서 섬망으로 자문조정이 의뢰된 입원 환자 중 2016년 7월부터 2017년 2월까지 퇴원한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입원 기간, 사망, 인구통계학적 자료 및 임상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CAM-ICU를 통해 섬망 지속 기간을 측정하였다.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유형에 따라 지속투약군, 최적투약군, 필요투약군으로 나누어 임상 경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항정신병약물을 섬망 회복 후에도 지속적으로 투약 받은 지속투약군은 섬망 증상이 있는 기간에만 투약 받은 최적투약에 비하여 입원 기간 및 섬망 이환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퇴원시 불필요한 항정신병약물 처방을 받은 비율이 높았다. 섬망 이환기간에 비해 짧은 기간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한 필요투약군은 다른 두 군에 비해 섬망 이환기간이 길고 사망률이 높았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는 섬망 이환기간에만 항정신병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적절함을 시사한다. 또한 섬망이 회복된 후에 불필요하게 항정신병약물이 처방되는 것을 최소화하기위한 정신건강의학과 자문의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겠다.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에 대한 비디오 흉강경 폐생검과 개흉 폐생검의 비교 (A Comparison of Thoracoscopic and Open Lung Biopsy for the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 이재익;김영태;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64-170
    • /
    • 1999
  • 배경: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확진을 위해 많은 환자들에게 폐생검이 시행되고 있다. 개흉 폐생검에서의 작은 절개로 얻을 수 있는 제한된 시야와는 달리, 흉강경을 통한 폐생검은거의 전 폐실질을 관찰한 후 생검할 수 있는 장점과 전통적인 개흉으로 생길 수 있는 유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 흉강경 폐생검(TLB)과 개흉 폐생검(OLB)을 효율성과 안전성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3월부터 1997년 8월까지 81명의 환자에게 폐생검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51명에게 기존의 개흉 폐생검을, 30명에게는 비디오 흉강경 폐생검을 시행하였다. 결과:수술 시간은 TLB에서 63분, OLB에서 79분이었고(p=0.04), 생검 조직 절편의 크기(TLB 7.8 cm3, OLB 6.9 cm3 : p=0.72)와 진단률(TLB 100%, OLB 96%)은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술후 재원 일수는 TLB에서 OLB보다 유의하게 짧았고(TLB 13일, OLB 22일 : p=0.01), 흉관 거치일, 진통제 투여 횟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진통제 투여 기간은 TLB에서 유의하게 짧았다(TLB 2.5일, OLB 5.2일, p=0.05). 합병증은 TLB에서 2례(6.67%), OLB에서 4례(7.84%)가 있었으며, 두 군 모두에서 수술로 인한 사망례는 없었다. 결론: 흉강경 폐생검이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기존의 개흉 폐생검의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