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ospice patients

Search Result 55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How to Deal with the Past Memories of Patients in Palliative Care: A Suggested New Approach

  • Yu, Eun-Seung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2호
    • /
    • pp.69-73
    • /
    • 2021
  • Dealing with existential concerns experienced by patients is an important part of palliative care. Interventions that use the life review method to encourage patients to reminisce about their lives can help them find new positive meanings, promote ego integrity, and reduce emotional suffering. Not everyone has positive memories when they look back on the past, however. This poses a limi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life review method for healthcare providers working in palliative care contexts.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limits of life review and suggest imagery rescripting as a new modality constituting a psychotherapeutic approach to deal with negative memories safely and effectively.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on Palliative Sedation

  • In Cheol, Hwang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5권4호
    • /
    • pp.139-197
    • /
    • 2022
  •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experience very severe symptoms during the end of life, and palliative sedation (PS) may be considered if those symptoms are refractory to any other treatment. This brief report presents ethical considerations, practices, and recent concerns on PS. PS is quite different from euthanasia. There is a lack of consensus and standards on protocols, but its notable effects have been reported in hospice care settings. Most studies to date have reported no difference in survival between patients receiving PS and those not, and PS must be conducted proportionally with the lightest level of sedation.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PS is delirium, and midazolam is the main sedative used. It is recommended that information regarding PS should be provided to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repeatedly as early as possible. Existential suffering alone is not an indication for PS, and there is a lack of evidence on bispectral analysis. Additional research on PS is needed in Korea.

융복합시대에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경험 (The Experience of Hospice Nurse on Caring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Era of Convergence.)

  • 여형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307-31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경험의 의미 가 무엇인지 이해하여 본질을 추구하고 그 현상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기술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시에 위치한 일종합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9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심층 인터뷰로 2019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업무의 부담감' '성숙해짐', '밀착된 관계형성', '호스피스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경험에 대하여 그들의 입장에서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말기 암 환자 돌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 할 것이며, 그들의 경험에 근거하여 효과적인 지지체계 및 행정적 지원체계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호스피스 스마트 환자"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spice Smart Patient" Service Program)

  • 박재순;유양숙;최동원;박현정;김지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1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Hospice Smart Patient Program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It was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pre-post study.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or who needed palliative care,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ased on their preferences. The program was developed after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 among experts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rticipants who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either face-to-face or phone "Hospice Smart Patient" Service at least once a week for 5 month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nd communication skill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service was provided. In addition,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d decision making skills, mastery sense, and understanding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hich would be beneficial in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Conclusion: We have concluded that the "Hospice Smart Patient" Program is useful for cancer patients in decision making, improving self-control and choosing hospice care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말기 환자 가족 영적요구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Instrument Assessing Spiritual Needs of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 강경아;최영심;김예진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4호
    • /
    • pp.144-151
    • /
    • 2018
  • 목적: 말기암환자 가족의 영적요구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1) 예비문항의 작성 2) 내용타당도 검증 3)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4) 최종문항 선정 과정에 따른 방법론적 연구이다. 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신과의 관계/죽음 수용', '관계성 회복/희망과 평화', '삶의 의미와 목적'의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요인들은 총 변량의 61.088%를 설명하였으며, Cronbach's alpha 값은 0.944, Guttman 반분 신뢰도 계수는 0.826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닌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호스피스 완화의료 분야에서 말기암환자 가족의 영적요구도를 사정할 때 활용도가 높은 도구라고 본다.

수정된 한글 연명의료계획서(Modified Korean Physician Order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MK-POLST) 분석을 통한 호스피스 병동 환자의 의료 중재 항목별 선호도 및 충실도 조사 (Preference and Performance Fidelity of Modified Korean Physician Order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MK-POLST) Items in Hospice Patients with Cancer)

  • 한지희;천혜숙;김태희;김록범;김정훈;강정훈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4호
    • /
    • pp.198-206
    • /
    • 2019
  • 목적: 호스피스 및 완화치료 환자 또는 임종단계 환자를 위한 연명 치료 결정에 관한 법안은 2016년에 제정되어 2018년 2월부터 시행 되었다. 이 법안의 취지와 내용은 미국의 POLST에 근거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POLST를 변형하여 만든 MK-POLST를 호스피스 병동 환자들에게 적용을 한 뒤 각 항목에 대한 선호도 및 시행 일치율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2017년 2월 1일부터 2019년 4월 30일까지 경상대학교병원의 부속 호스피스 병동의 모든 입원 환자의 MK-POLST에 대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387명의 연구대상자 중 295명의 환자가 MK-POLST를 작성했다. MK-POLST는 환자 자신이 133건(44.1%), 배우자가 84건(28.5 %), 자녀가 75건(25.4%) 작성했다. MK-POLST가 작성된 295 명의 환자 중 단 13명(4.4%)이 주사 영양제를 거부하였으며, 5명(1.7%)은 완화적 진정을 거부하였지만, 대다수인 288명(97.6%)이 심폐소생술 및 인공호흡기 치료를 원하지 않았고, 226명(76.9%)이 승압제 사용을 원하지 않았다. 인공호흡기, 심폐소생술 및 완화적 진정을 제외한 모든 MK-POLST 항목의 시행 일치율에 대한 Kappa 값은 낮았다. 결론: 호스피스 환자들은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및 승압제 사용은 거부 했지만, 대조적으로 항생제, 주사 영양제 및 완화적 진정은 대다수 또는 절대적인 경우에 선호했다.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암환자에서 실시한 고식적 방사선치료 실태 (The Actual Conditions of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in the Hospice Ward)

  • 이경환;손덕승;심병용;김성환;김치홍;김수지;이옥경;신옥경;김은중;김훈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0권2호
    • /
    • pp.74-77
    • /
    • 2007
  • 목적: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암환자에서 얼마나 고식적 방사선치료가 이용되는지,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중 끝마치지 못하는 환자는 얼마나 되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11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2년간 성 빈센트 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404명중 고식적 방사선치료를 시작한 33명에 대해 환자의 일반 특징과 방사선치료를 끝마치지 못한 이유와 그 방사선조사량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404명 중 33명(8.2%)이 고식적 방사선치료를 시작하였다. 방사선치료의 주 적응증은 뇌전이, 동통성 골전이, 동통성 종양과 폐쇄성 호흡곤란 순이었다. 방사선 치료를 시작한 환자 중 45%는 방사선치료를 끝마치지 못했고 20%는 계획한 방사선 조사량의 1/3 이하만을 투여받았다. 치료를 마치지 못한 이유는 불량한 전신 상태가 대부분이었다. 결론: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에서 고식적 방사선치료가 진행성 암 환자에게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마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적절한 환자의 선별기준과 방사선 치료기간의 단축을 통해 더 많은 환자가 방사선 치료로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말기 환자에서 사망 전 의료비 지출 현황과 환자관리 대책

  • 김기경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5권1호
    • /
    • pp.26-32
    • /
    • 2005
  • Purpose: To know for what the medical expenditure had been used and to seek the way how it can be efficiently redistributed, I investigated total medical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to death in the expired patients for recent 2 years. Methods: 21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otal medical expenditure including benefit charge and non-benefit charge charged to patients in in-patient department(IPD) and out-patient department(OPD) was counted according to the period for one year by death. Results: 94.7% of the total medical expenditure had been payed for admission-related expenditure and 89% during period 3 and 4 for 6months before death, which may be due to the more days of admission during those periods. 70.1% of the total expenditure had been charged on the admission-fee, room charge, diet, and administration of the fluid, medicines, and blood etc. Conclusion: Majority of medical expenditure has been used in the affairs being unable to improve the survival or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during the periods closer to death. Here, it would be needed heartily to look for the best ways in detail how the idea of hospice can come true through nation-wide and social consensus.

  • PDF

말기 암 환자의 완화 의료 연계 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roblems of the Current Referral System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in Korea)

  • 윤초희;이주영;김미라;허대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5권2호
    • /
    • pp.94-100
    • /
    • 2002
  • 목적 : 말기 암 환자가 삶의 마지막 시간 동안 정서적, 사회적으로 안정을 취할 수 있는 곳은 대형화된 3차 의료기관이 아니라, 거주지에서 가까운 1, 2차 의료기관이나 호스피스 기관, 혹은 가정일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 나라는 말기 암 환자들을 3차 의료기관에서 1, 2차 의료기관, 호스피스 시설 등으로 연계(referral)하여 주는 시스템이 매우 미약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현재 연계 상황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방법 : 2001년 4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으로부터 각 기관으로 연계된 말기 암 환자 76명의 보호자와 이 환자들을 연계 받은 35개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보호자에게는 직접 전화를 하여 조사하였고,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우편으로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결과 : 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47부의 설문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의료진의 권유가 44%로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32%가 환자의 편의, 24%가 가족의 편의를 주로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연계 결정 과정에서는 가족의 생활권, 연계 기관의 인지도, 환자가 마지막으로 지내고 싶어하는 곳, 가족의 경제 상황, 장례 장소가 순서대로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 과정에서는 47명 중 38명이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으며, 이들은 원하지 않는 퇴원의 종용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이 외에도 연계 기관에 대한 정보 부족, 환자의 고통에 대한 염려, 환자 및 가족의 거부 등으로 인해서도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연계 과정에서는 어려움을 표현하였지만, 실제로 연계된 기관에서는 47명 중 35명이 완화 의료에 대해 대체로 만족스러웠다고 응답하였다. 그 이유로 환자가 안정과 평안함을 찾았고, 가족들도 편안하였으며 경제적 부담이 감소하였다는 점을 꼽았다. 그러나 15명은 연계 전후에 별 차이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연계된 기관을 대상으로 한 24부의 설문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4명의 응답자 중 1명을 제외한 23명이 완화 의료 연계 시스템에 대해 찬성하였고, 좀더 활발한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절실히 표현하였다. 의뢰된 환자를 돌보는 데 있어서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가장 큰 것으로 환자에 대한 정보 부족을 꼽았고, 그 외에도 환자의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완화 의료 연계 기관에 대한 이해 부족, 통증 조절의 어려움 등을 호소하였다. 대부분(96%)의 기관 종사자들은 환자들이 연계된 이후의 보살핌에 만족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3차 기관으로부터 1, 2차 의료기관 및 호스피스로 말기 암 환자들이 연계되는 과정에서 환자, 보호자 뿐만 아니라 연계 기관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향후 완화 의료의 연계 시스템 개발과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히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usic Therapy Education Program

  • Kim, Eun Jung;Lee, Eun Jeong;Lee, Chung-Woo;Choi, Youn Seo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1호
    • /
    • pp.17-2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ospice music therapist training program and to evaluate its effects. Methods: The educational program consisted of training on the theory of hospice 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hospice music therapy. The course lasted for 4 weeks, with 8 hours of training per week, and 33 music therapists completed the course.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participants' knowledge and confidence regarding hospice music therapy and readiness for hospice music therapy before and after education were measure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version 18.0 and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The traine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knowledge (P<0.001) and confidence (P<0.001) in all areas of this course, as well as in readiness for hospice music therapy (P<0.001).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s was assess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The average score for all lecture areas exceeded 4 (yes),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mostly high. Student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lectures on music therapy theory, followed in order by those on music therapy practice and hospice theory. Conclusion: This hospice music therapist training program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because of its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and the high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with the lectures.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music therapy services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is training course should be regularly offered to cultivate competent music therapists, an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should be standardized and applied in various clinical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