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pice patient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1초

말기 암 환자의 완화 의료 연계 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roblems of the Current Referral System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in Korea)

  • 윤초희;이주영;김미라;허대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5권2호
    • /
    • pp.94-100
    • /
    • 2002
  • 목적 : 말기 암 환자가 삶의 마지막 시간 동안 정서적, 사회적으로 안정을 취할 수 있는 곳은 대형화된 3차 의료기관이 아니라, 거주지에서 가까운 1, 2차 의료기관이나 호스피스 기관, 혹은 가정일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 나라는 말기 암 환자들을 3차 의료기관에서 1, 2차 의료기관, 호스피스 시설 등으로 연계(referral)하여 주는 시스템이 매우 미약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현재 연계 상황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방법 : 2001년 4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으로부터 각 기관으로 연계된 말기 암 환자 76명의 보호자와 이 환자들을 연계 받은 35개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보호자에게는 직접 전화를 하여 조사하였고,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우편으로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결과 : 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47부의 설문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의료진의 권유가 44%로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32%가 환자의 편의, 24%가 가족의 편의를 주로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연계 결정 과정에서는 가족의 생활권, 연계 기관의 인지도, 환자가 마지막으로 지내고 싶어하는 곳, 가족의 경제 상황, 장례 장소가 순서대로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 과정에서는 47명 중 38명이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으며, 이들은 원하지 않는 퇴원의 종용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이 외에도 연계 기관에 대한 정보 부족, 환자의 고통에 대한 염려, 환자 및 가족의 거부 등으로 인해서도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연계 과정에서는 어려움을 표현하였지만, 실제로 연계된 기관에서는 47명 중 35명이 완화 의료에 대해 대체로 만족스러웠다고 응답하였다. 그 이유로 환자가 안정과 평안함을 찾았고, 가족들도 편안하였으며 경제적 부담이 감소하였다는 점을 꼽았다. 그러나 15명은 연계 전후에 별 차이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연계된 기관을 대상으로 한 24부의 설문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4명의 응답자 중 1명을 제외한 23명이 완화 의료 연계 시스템에 대해 찬성하였고, 좀더 활발한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절실히 표현하였다. 의뢰된 환자를 돌보는 데 있어서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가장 큰 것으로 환자에 대한 정보 부족을 꼽았고, 그 외에도 환자의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완화 의료 연계 기관에 대한 이해 부족, 통증 조절의 어려움 등을 호소하였다. 대부분(96%)의 기관 종사자들은 환자들이 연계된 이후의 보살핌에 만족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3차 기관으로부터 1, 2차 의료기관 및 호스피스로 말기 암 환자들이 연계되는 과정에서 환자, 보호자 뿐만 아니라 연계 기관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향후 완화 의료의 연계 시스템 개발과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히 필요하다.

  • PDF

암환자의 심리사회영적 간호

  • 최화숙;김수지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6권1호
    • /
    • pp.24-31
    • /
    • 2006
  • Psycho-social-spiritual care should be included with comprehensive nursing care of cancer patient. Because of human being have four dimensions a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dimension and they do interactional relationship with themselves, others and God. So caregivers of cancer patient have to recognize what they have psycho-social-spiritual needs and have to consider how caregivers can combine thes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Cancer patient will be experienced shock, feeling of crisis and fear of death and will be showed denial, anger, bargaining, depression, accept or give-up, hope, spiritual distress and spiritual needs to which help them to do some rituals or interactions according their religion. Loving attitude is essential of cancer patient care especially of psycho-social-spiritual care. Dr. Kim and her some colleques investigated about this and find out 10 concepts(Caring Behaviors) by Graunded Theory Methodology. They are Noticing, Participating, Sharing, Active Listening, Complimenting, Companioning, Comforting, Hoping, Forgiving, Accepting.

  • PDF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입원한 호스피스환자의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ain and Anxiety for In-pati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 최성은;강은실;최화숙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8권1호
    • /
    • pp.55-67
    • /
    • 2008
  • 목적: 말기환자와 그 가족들은 신체적인 고통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영적 측면에서 전인적인 고통을 겪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통을 완화시켜주기 위해서는 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등의 다학제(multi- discipline) 전문가들과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호스피스 팀에 의해 제공되는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설계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수집은 P시 소재 S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18세 이상의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제공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전인적, 다학제적, 개별 및 집단적인 중재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호협동적인 다학제 전문가팀(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무용치료사, 미술치료사, 자원봉사자)이 호스피스 대상자 병실이나 병동에서 매회 120분씩, 총 10회(총1,200분)에 걸쳐 실시한 프로그램이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통증 척도는 윤영호(1998) 등이 한국형 간이통증 조사지(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로 개발한 도구 중 일부를 윤매옥(2000)이 사용한 도구, 상태불안 척도로는 Spielberger (1975)의 상태불안 측정도구(State-Anxiety Inventory)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최대값, 최소값,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입원 호스피스 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통증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통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10.585, P= .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8.234, P= .000).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 및 상태불안을 완화시키고 향상시켜 신체 및 정서적 차원에서 그 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호스피스 임상 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로 인해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을 조절하고 불안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높일 수 있는 데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PDF

임종태도와 HOSPIC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 toward dying and hospice)

  • 김영욱;이중훈;이종범;박병탁;정성덕;김명세;김후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2호
    • /
    • pp.55-66
    • /
    • 1990
  • 1. 임종통고에 대한 반대는 노인군과 환자가족군이 40.2%, 40.9%로 환자군과 의료인군의 23.%, 13.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2. 임종환자에 대한 의료인의 회피적 태도에서는 의료인군의 44%가 반대하여 전체평균 28.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3. 불치병 환자의 생명 연장에 대한 태도에서는 환자군과 보호자군의 반대율이 33.3%, 22.5%로 노인군과 의료인군의 54.5%, 56.0%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4. 임종환자를 위한 특수시설 및 교육문제에 있어서는 의료인군의 찬성율이 81.3%로 가장 높았고 환자군이 56.8%로 가장 낮았다. 5. 임종환자에 대한 가족의 회피적 태도에 대해서는 노인군의 찬성율이 81.3%로 가장 높았고 가족군이 34%로 가장 낮았다. 6. 임종에 대한 지각문제에 있어서는 의료인군의 찬성율이 77.3%로 전체평균 58.8%보다 높았다.

  • PDF

Advances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Taiwan

  • Cheng, Shao-Yi;Chen, Ching-Yu;Chiu, Tai-Yu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4호
    • /
    • pp.292-295
    • /
    • 2016
  • 목적: 대만의 호스피스와 완화 의료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Economist Intelligence Unit에서 평가한 2015년 죽음의 질 지수 등급에서 대만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 1위, 세계에서 6위를 기록했다. 이 리뷰 기사에서 우리는 성공에 기여한 것으로 보이는 세 영역, 즉 법률 및 규정, 영적 치료, 연구 네트워크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대만 사람에게 적용을 위한 미래의 도전과 전망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다. 방법: PubMed에서 "대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검색어를 이용해 체계적인 검토를 수행하였다. 결과: 2000년에 "자연사법"의 통과로 아시아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획기적인 본보기가 만들어지고 확립되었다. 이는 의료진에게 연명치료중지(DNR, do not resuscitate)를 요청할 수 있고 삶의 마지막에 기타 무의미한 의료 행위를 거부할 수 있는 환자의 권리를 보장하며 더불어 정책적 관점에서 완화의료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2015년에 대만은 "환자의 자기결정권 특별법"이라는 선구적인 법률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환자가 그/그녀의 자기의지에 따라 의료 행위를 거부할 수 있다는 것을 규정한다. 대만 고유의 영적 치료는 2000년에 도입되었는데, 불교 수행을 죽음에 직면한 환자에 적용하기 이전의 임상실습뿐 아니라 강의들로 구성된 훈련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수하기 위해서는 불교 사제가 필요하다. 일본-한국-대만 연구 네트워크는 죽음의 과정을 자세히 설명(EASED, Elucidate the Dying process)하기 위한 동아시아 공동의 비교 문화 집단 연구를 위해 설립되었다. 결론: 대만에서의 호스피스와 완화의료는 정부와 사회의 우선적 합의에 따라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의 간호요구 조사 (Study on Nursing Needs for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이전마;김정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87-30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ing needs for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order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appropriate Korean hospice ca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 interviewed 50 patients who were going to die within 3 or 6 months and 42 family members of these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ospice Program. The interview was done in the patient's room using semi-dialog style questionnair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rch 1, 1999 to September 30. 1999.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Nursing needs that patients and their families have experienced were classified into six nursing domains; physical, emotional, economic, educational, spiritual and postmortal care. 2. Nursing needs of hospice patients are; pain control(80%), physical comfort(72%), consideration from medical personnel(68%), provision of information(64%), best treatment(60%), help of volunteers(36%), and continuous hospital treatment(32%). 3. Nursing needs of the families are; pain-control in Patients(97.6%), best treatment(97.6%), physical comfort of patients(95.2%), continuous hospital treatment(92.8%), provision of information(80.9%), consideration from medical personnel(76.1%), expectation of recovery(66.6%), emotional support of family(61.9%), and physical comfort of family(40.4%). It is concluded that there is a real difference between the nursing needs of patients and the nursing needs of their families. Therefore we must examine and intervene for the demand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using a holistic approach in order to meet their hospice needs.

  • PDF

가정 호스피스 간호 수가 개발 (A Study on Estimating the Nursing Cost of Home Hospice Care)

  • 이태화;성영희;최화숙;황나미;박희옥;황문숙;장옥주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2-195
    • /
    • 2008
  • Purpose: Hospice care represents all meaningful aspects of physical, mental and economical status of the end stag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cost of home-based hospice care. Method: Fifteen nurses participated in counting an hour for requirement and home visit data of 50 end stage patients were analyzed. The method of to estimate the cost of home-based hospice care was three ways. Result: In case, including traffic expense, Singles fixed fee per visit via direct inquiry was 112,970 won but in case, excluding traffic expenses, was 86,036 won and traffic expenses per visit was 26,934 won. Final cost of home-based hospice care integrated the fixed fee per the needed time for visit and fee-for services. The fixed fee per 30 minutes was 35,251 won and 60 minutes was 46,595 won and 90 minutes was 57,939 won. We included pain management and the management of emergency and bereavement care among fee-for services. Conclusion: The cost of hospice care should be establish for not only patient but the living spouse, families, and children of the dying and for anyone else affected by any patient's death.

  • PDF

병원직원들의 죽음 및 호스피스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spital Staff's Perception of Death and Hospice)

  • 김미정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7권2호
    • /
    • pp.15-2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hospital staff's perception of hospice and death and thereby, suggest the ways to help them have a mature attitude towards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death through an effective education on hosp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some data useful for the hospital staff not experienced in facing the dying patients to handle the desperate situation skillfully and engage themselves more effectively in their hospice servic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staff of 'C' hospital in Seoul about their hospice philosophy, attitudes towards hospice and perception of death for the period from February, 2006 to March, 2006. A total of 751 subjects responded effectively to the surve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F55 11.0 for ANOVA and T-test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subjects' perception of death,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heir health condition, their hospice philosophy formed from their experiences of patients' death and hospice services and their attitudes towards hospice. Besides, the correlations among their hospice philosophy, perception of death and attitudes towards hospice were t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the relationships among subjects' experiences of health consulting. their experiences of patients' death and hospice and their hospice philosophy, it was confirmed that their experiences of health and death consulting and their experiences of having been educated were relevant. Second, it was found that such variables as health condition, death, experience of hospice and attitude towards hospic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ird, as a consequence of testing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condition, death, experience of hospice and perception of death, it was disclosed that only the physical health condition was significa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ubjects' hospice philosophy, perception of death and attitudes towards hospice were at the usual level on average. Fifth, hospice philosophy, perception of death and attitudes towards hospice were found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each other. Sixth, as a result of the stepwise variable adjustment for such variables as hospice philosophy, perception of death, attitudes towards hospice, it was found that the adjusted r-square value was 0.347 when departments, experience of having been requested by dying patient for consulting, experience of having been educated on hospice, religion and marital statu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estimated value of each variable was found significant. Seventh, as a consequence of conduct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religion' as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estimated value of physical health condition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is, as a result of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for 'religion' only, its explanatory power was found .197, while its adjusted r-square value was 0.20. Eight, it was found that subjects' attitude towards hospi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ch variables of experience of patient's or relative's death, experience of having been requested for consulting about death, gender, marital status and departments.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ubsequent stepwise adjustment for this variable, it was found that only 'experience of having been requested for consulting' had some explanatory power: its adjusted r-square value was 0.089. As discussed above, this study tested the correlations among various variables including hospital staff's attitude towards hospice and perception of death and thereby, provided for the data useful for their education on hospice.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that it would be essential to educate hospital staff on hospice for more effective care of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at hospital.

  • PDF

End-of-Life Care Practice in Dying Patients after Enforcement of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 at the End of Life : A Single Center Experience

  • Jin, Sol;Kim, Jehun;Lee, Jin Young;Ko, Taek Yong;Oh, Gyu M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2호
    • /
    • pp.93-102
    • /
    • 2020
  • Purpose: The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came into force in February 2018 in Korea. This study reviews the practices of end-of-life care for patients who withdrew or withheld life-sustaining treatment at a tertiary care hospital,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the law, and discusses necessary steps to promote patient-centered self-determina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died after agreeing to withhold life-sustaining treatment in 2018 at our university hospital. The cause of death, the intensity of end-of-life care, and other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Of a total of 334 patients, 231 (69%) died from cancer. The decision to stop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made by family members for 178 patients overall (53.3%) and for 101 (43.7%) cancer patients, regardless of the patient's wishes. When the patient decided to stop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time from the authorization to withhold life-sustaining treatment to death was longer than when the decision was made by family members (28.7±41.3 vs 10.5±23.2 days, P<0.001). Conclusion: In many cases, the decision to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made by the family, not by the patient. In order to protect human dignity based on the patients' self-determination, it is necessary for patients to understand their disease based on careful explanations from physicians. Ongoing survey-based research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호스피스 병동에서 시행되는 말기 암 환자의 DNR (Do-Not-Resuscitate) 동의 (DNR (Do-Not-Resuscitate) Order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at Hospice Ward)

  • 심병용;홍석인;박진민;조홍주;옥종선;김선영;한선애;이옥경;김훈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2호
    • /
    • pp.232-237
    • /
    • 2004
  • 배경: 보편적으로 호스피스 병동에서 말기 암 환자에 있어서, DNR 동의가 흔하게 취득되고 있다. 그러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현황과 실태 분석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드문 현실이다. 최근 저자 등은 보호자가 DNR 동의를 거부하여 심폐소생술 후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행하여 2개월 간 중환자실에서 치료 후 사망한 환자를 경험하면서 지금 까지 진행된 DNR 동의의 현 실태와 앞으로 시행될 DNR 동의의 보완점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 동안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과 DNR 동의서를 조사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나이, 성별,진단명, DNR 동의 시간, 사망까지의 시간, DNR 동의에 참여한 보호자, DNR 결정 당시 환자 상태, 사망장소, DNR 결정 당시의 치료와 DNR 결정 전후 치료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치료 단계는 3단계로 분류하였다. 결과: 중앙 연령은 66세($31{\sim}93$세) 였고 남자가 31명, 여자가 29명이었다. 폐암 12명, 위암 12명, 담낭암 및 담도암 7명, 대장암 6명, 췌장암 4명, 기타 19명이었다. DNR 동의서에 서명한 사람은 아들이 22명, 배우자가 19명, 딸이 16명, 기타가 3명이었다. 이 중 환자가 DNR 동의서에 동의한 경우는 한 명도 없었다. 60명 중 30명이 입원 시에, 30명은 입원 기간 중에 DNR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입원 기간 중에는 증상의 악화 19명, 활력 증후 변화 4명, 다기관 기능부전 3명, 기타 상태 4명 등으로 DNR이 결정 되었다. DNR 동의 후 사망까지의 시간은 13명이 5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사망 장소는 60명 중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본원이었다. DNR이 시행되었을 당시 치료 단계는 2명을 제외하고 1단계였고 2단계와 3단계가 각각 1명씩이었다. 결론: 환자의 존엄성과 권리라는 측면에서 DNR 동의의 환자 참여가 국내에서도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하겠다. 또 이를 위해 DNR 동의의 의미, 경과, 동의 철회 등의 사항이 포함된 문서화된 동의서에 의해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되어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