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pice Use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7초

The Use of Antibiotic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 Shekhar, Aditya C.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5권1호
    • /
    • pp.50-54
    • /
    • 2022
  • Antibiotics are commonly prescribed medications in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 as well as in many other healthcare settings. The overuse or negligent use of antibiotics is associated with the harmful consequence of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 Thus, there is an urgent need to critically examine and audit antibiotic use in all aspects of healthcare. In the status quo, there is a lack of consistent standards and guidelines surrounding the use of antibiotic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leading to significant variations in how antibiotics are prescribed and administered in end-of-life care. It is apparent that greater thought needs to go into antibiotic decisions for patients receiving hospice or palliative care, especially considering the harmful consequences of the overprescription of antibiotics.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many clinicians prescribe antibiotics inappropriately for patients who would not benefit from their use or prescribe them without adequate documentation. Clinicians should be deliberate about when they prescribe antibiotics and adhere to the appropriate documenta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within their institution or community. Future research should seek to generate generalizable knowledge about which patients will benefit most from antibiotic therapy during end-of-life care.

Decision Tree Model for Predicting Hospice Palliative Care Us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 Lee, Hee-Ja;Na, Im-Il;Kang, Kyung-Ah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3호
    • /
    • pp.184-19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clinical guidelines to help patients us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PC) at an appropriate time after writing 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POLST)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HPC use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PC use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394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t a cancer-specialized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and wrote POLST from January 1, 2019 to March 31, 2021. Results: The predictive model for the characteristics of HPC use showed three main nodes (living together, pain control, and period to death after writing POLST). The decision tree analysis of HPC use by terminal cancer patients showed that the most likely group to use HPC use was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had a cohabitant, received pain control, and died 2 months or more after writing a POLST. The probability of HPC usage rate in this group was 87.5%. The next most likely group to use HPC had a cohabitant and received pain control; 64.8% of this group used HPC. Finally, 55.1% of participants who had a cohabitant used HPC, which was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than that of participants who did not have a cohabitant (1.7%).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clinical evidence to help make decisions on HPC use more easily at an appropriate time.

가상 호스피스 센터의 개념설계 (Conceptual Design for Virtual Hospice Center)

  • 조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8-87
    • /
    • 2000
  • This study aims at the operation of the hospice in the virtual space by the use of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e hospice can be an efficient alternative for the elderly and terminal patients. It can achieve both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the conservations of medical resources. The virtualization creates new norms and valu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environments. The concepts and limitations which are crucial to the projection of the existing hospice into the virtual space are discussed. The items ranging from the hospice need to the design criteria of the modules are investigated. The most important point in constructing the virtual hospice center is the human factor, which characterizes the hospice. In addition, the real-world circumstances of the hospi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alization of the VHC.

  • PDF

호스피스 요양병원에 입원한 중증질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인식도에 따른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경기도 O시 중심으로- (Study of Death Attitud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ath Perceptions of the Severely Diseased Persons in Hospice Facilities -Focus in O City, Gyeonggi-do)

  • 김문돌;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148-7159
    • /
    • 2014
  • 본 연구 목적은 호스피스 요양병원에 입원한 중증질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의 인식 및 태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bigcirc}$시에 소재하는 호스피스 요양병원 및 요양원에 입원한 중증질환자 149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10일부터 7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중증질환자의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6.218, p<.001). 둘째, 중증질환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에 따른 죽음의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6.634, p<.001). 셋째, 중증질환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호스피스 이용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r=.496, p<.001). 결론적으로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가진 중증질환자가 호스피스 이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으며, 이는 추후 중증질환자의 호스피스이용 확대 등 복지정책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적 간호중재가 호스피스 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윤매옥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2권2호
    • /
    • pp.17-27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o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This study was devised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0 to September 25 in 2000 at the general hospital in cheonju city. The subjects were thirty-seven patients who referred the hospice service. Method: The tools were used Spielberger's State Anxiety Scale and Zung's Depression Inventory.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carried out through Hymn, Scripture, Prayer, the therapeutic use of self over a period of three week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Results: 1.After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state anxiety of hospice patients was reduced(t=6.237, p=0.000). 2.After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depression of hospice patients was reduced(t=18.58, p=0.000). Conclusion: The hospice patients who were offered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had lower anxiety & depression than those who were not offered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hat relieved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 PDF

한국의 호스피스 음악치료 (Hospice Music Therapy in Korea)

  • 김은정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4호
    • /
    • pp.109-114
    • /
    • 2018
  • 본 종설의 목적은 호스피스 음악치료의 필요성과 한국 호스피스 기관 내 적용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올바르게 정착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호스피스 음악치료는 환자와 가족이 겪는 총체적 고통의 완화를 위해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는 임상적 근거 기반 음악 중재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호스피스 음악치료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호스피스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관련 제도 역시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 호스피스 활성화를 위한 여러 정책 및 법률 시행 중이며, 이에 따라 호스피스 음악치료의 수요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호스피스 음악치료가 환자와 가족에게 유용한 전문 요법으로 올바르게 인식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주요 기관 및 학회를 중심으로 호스피스 음악치료의 의미와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고 다음과 같이 제도적, 학술적인 노력을 함께 기울여야 한다. 첫째, 환자와 가족에게 검증된 음악치료 중재가 될 수 있도록 호스피스 전문 음악치료사의 자격기준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체계적인 이론, 임상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 음악치료사를 양성하고 필요한 기관에 고용될 수 있도록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연구 활성화를 위해 연구 로드맵을 수립하고 표준 프로토콜을 개발 및 보급하여 임상과 연구가 원활히 연계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이 영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

  • 민순;정경인;주리애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3권2호
    • /
    • pp.12-1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popularization of hospice services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influences of hospice training on participants. We compared differences of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by use of questionnaire. This study involved 59 volunteers participating in the hospice training held by one hospice center located in K-cit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1 items, 21 items of general information and 20 items of information about spiritual welling-being. We applied Choi's translated version(1990), originally distributed by Paloutzion and Ellison(1982), in the assessment of participants' changed spiritual welling-being score.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hospice train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nts' spiritual welling-being score. Compared with pretraining(3.51), more spiritual well-being score were improved in post-training(3.69)(t=-2.45,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ospice training improve spiritual well-being score to the participants. In conclusion, hospice training should be popularized in the near future.

  • PDF

호스피스와 비호스피스 병실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의 진료비용 분석 (Comparisons of Medical Costs between Hospice and Non-hospice Care)

  • 김남초;용진선;유소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0권1호
    • /
    • pp.29-34
    • /
    • 2007
  • 목적: 본 연구는 위암과 폐암 말기로 진단받고 동일 병원에 입원하여 호스피스 대상자와 비대상자로 치료를 받다가 사망한 환자 114명을 대상으로 사망시점부터 14일 전까지의 진료비를 분석하여 양 대상을 비교하는데 있다. 방법: 진료비 분석에 대한 후향적 조사연구 설계로서 진료비 분석에 대한 도구는 C 대학 K 병원의 진료비 계산서 영수증을 기초로 하여 작성된 11개 항목에 대한 각각의 진료비 및 총액이었다. 결과: 호스피스 대상자의 진료비가 비 호스피스 대상자에 비해 낮았는데 특히 고단위 영양제, 마약성 진통제, 간호처치료, 방사선 검사, 혈액검사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호스피스 대상자 중에서는 호스피스 전담의의 유무에 따라 진료비의 총액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기타 진통제 항목에서 전담의가 있었던 시기가 전담의가 없었던 시기에 비해 진료비용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 동일기간 내 호스피스 대상자의 진료비용이 비 대상자에 비해 약 53%에 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어 범국가적인 차원의 호스피스 제도화 도입이 시급하다고 본다.

  • PDF

호스피스 프로그램 운영 현황 조사 (Analysis of Actual State for Hospice Programs in Korea)

  • 장현숙;박실비아;유선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1호
    • /
    • pp.4-17
    • /
    • 2000
  • 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호스피스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시하고, 궁극적으로 말기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보건의료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 전국의 59개 호스피스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기관 일반현황과 활동 인력 현황, 환자 현황, 케어 현황, 재정 현황, 시설 현황 등을 우편설문 조사하였다. 조사에 응답한 기관은 38개(64.4%)기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조사에 응답한 기관은 3차진료기관이 11개소, 3차 진료기관을 제외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이 11개소, 의원이 3개소, 가정방문팀이 12개소, 독립시설이 1개소였다. 38개 기관을 중심으로 운영현황을 조사한 결과, 호스피스 기관마다 활동 내용 및 구조에서 큰 차이가 있었고, 일부 기관은 호스피스 기관임을 지향함에도 불구하고 엄밀한 의미에서의 호스피스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38개 기관중 호스피스 활동의 기본 인력을 모두 갖춘 곳은 9개소에 그쳤고, 호스피스 교육을 받지 않은 자원봉사자가 활동하는 기관도 있었다. 절반 이상의 기관이 '의식이 분명하고 의사소통이 되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호스피스 케어의 일반 원칙을 준수하지 않고 있었고, 환자의 의무기록을 보관하지 않는 기관도 16%나 되었다. 3차 진료기관을 비롯한 병원의 호스피스에서는 상대적으로 강도 높은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호스피스 프로그램이 기관마다 큰 편차를 보이고, 일반적인 호스피스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기관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본 조사의 응답기관 중 11개 기관에서 대기중인 호스피스 환자가 있다고 답하여 호스피스에 대한 수요는 제공기관의 공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말기환자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말기환자에 의한 의료자원 소모가 점차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한 고비용의 서비스보다 증상조절을 중심으로 한 호스피스 케어가 말기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유용하다는 보고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장차 우리나라에서도 말기환자를 위한 호스피스의 제도화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호스피스의 제도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호스피스 프로그램의 표준화와 함께 호스피스 프로그램 신임(Accreditation)제도 도입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질적 수준을 높혀 나아가야 할 것이다.

  • PDF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이 죽음에 대한 성향에 미치는 효과

  • 주리애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5권2호
    • /
    • pp.1-1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popularization of hospice services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influences of hospice training on participants. We compared differences of attitudes toward death between those of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by use of questionnaire. This study involved 137 volunteers participating in the hospice training held by one hospice center located in K-cit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6 items, 21 items of general information and 25 items of information about attitudes toward death. We applied Park's translated version(1992), originally distributed by Thorson and Powell(1988), in the assessment of participants' changed attitudes toward death.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hospice training. The data were analged by frequency. ANOVA t-test,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Pre-training items holding a high rank were 'The subject about the future life after death is distressing'(F=5.20), 'No worry about any occurrences around the body after a funeral'(F=4.75), 'Having little interest in being laid in a coffin after death'(F=4.56); items holding a low rank were 'Having little interest in any occurrences around the body after death'(F=2.22), 'Willing to deal with the aftermath of the death in detail'(F=1.94), 'No fear to have an idea to be cancerous'(F=1.72). 2.Post-training items holding a high rank were 'No fear to be dead as a result of sufferings from long-lasting illness'(F=3.18), 'No fear to have an idea to be cancerous'(F=3.16)', Having little interest in the future life after death'(F=3.09); items holding a low rank were 'Unpleasant to be not able to move after death(F=1.74), 'Distressing not to know about the future life after death'(F=1.61), 'The subject about the future life after death is distressing'(F=1.60). 3.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death. Compared with pretraining(F=3.97), more positive were developed in post training(F=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ospice training renders positive regards toward death to the participants. Therefore every human being, who is able to speculate about the meaning of death, has to be exposed to the hospice training. In conclusion, hospice training should be popularized in the near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