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ticulture Sector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7초

상향식 접근법에 의한 국내 시설재배 에너지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 잠재량 분석 (Greenhouse Gas Emission and Abatement Potential Analysis for the Korean Horticulture Energy Sector Using Bottom-Up Approach)

  • 백천현;정용주
    • 에너지공학
    • /
    • 제24권4호
    • /
    • pp.146-158
    • /
    • 2015
  • 상향식 접근법을 통한 국내 농업 시설재배부분의 온실가스 배출잠재량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감축잠재량 및 감축한계비용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시설재배부분의 활동량을 정의하였고 국내의 각종 문헌 및 통계자료를 이용해 시설재배부분의 에너지원별 사용량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에너지사용량을 통해 에너지원별 원단위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해 2030년까지의 온실가스 발생 잠재량을 산정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에서 고려하고 있는 감축수단별 감축효과 분석을 통해 감축수단별 감축잠재량 및 감축한계비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원예부문 연구 및 지도 사업의 투자효과 분석 (Returns to Investment on Research and Extension in Korean Horticulture)

  • 강경하;이민수;최영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7권2호
    • /
    • pp.257-277
    • /
    • 200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of the horticultural sector and hort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and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returns to investment on research and extension in Korean horticulture. Data for horticultural production values, producer price indices and research and extension budgets for horticultural sector from 1965 to 1998 a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Multi-variate time series analysis technique with vector auto-regression model and Akino-Hayami Formula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finds (1) horticultural production responds about seven years later to the horticultural research investment shock. the magnitude of the impacts increases to a peak in seventeen years from the initial expenditures and then declines slowly thereafter until twenty years. and this peak gives a tip that horticultural research impact lasts much longer than grain's or agriculture's: (2) the social surplus from research investment benefits more to the consumer rather than to the horticultural producer: (3) B/C ratios in horticultural research are quite high with the range of 9 to 55 from 1965 to 1998. but these have been decreased since the early 1990s: (4) the socioeconomic returns to horticultural research is quite high with 56 percents of internal rate of return. It remains to be analyzed returns to investment on extension in horticulture because of no statistic significance in this study.

  • PDF

시설원예 환경제어 표준화 추진방향 (The standardization directions for Environment Control in controlled horticulture field)

  • 민재홍;구한승;박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5-638
    • /
    • 2014
  • 최근 시설원예분야 ICT융 복합 확산사업이 본격화함에 따라 관련 기술개발 및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시설원예 복합 환경 제어장치에 대한 국내외 다양한 제품이 생산 판매되고 있지만, 제품 상호간의 호환성이 없으며 성능에서도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시설원예분야 ICT 융 복합 확산사업을 촉진하고 소비자에게 호환성 제품에 의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국내 제품과 시스템에 대한 규격 및 설치기준에 대한 표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시설원예 복합환경제어 장치의 도입 현황, 기술 및 표준화 동향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가 선도할 표준화 대상과제를 도출하고 향후 표준화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신.재생에너지 융합을 통한 첨단 유리온실의 경제성 분석 -지열과 태양광 융합을 중심으로- (Economic Analysis of High-tech Glass Greenhouse through the Convergence of New Renewable Energy -Focusing on the Convergence of Geothermal and Solar Power-)

  • 정종화;윤성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3-610
    • /
    • 2014
  • The whole world concentrates on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to effectively cope with policy toward global climate change. To effectively react to climate change, even the agricultural sector requires construction of new farming systems that utilizes new and renewable energy because of rising oil prices and regulations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For this reason, we need to fuse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with the horticulture sector of which the light and heat energy cost accounts for great part, moreover, efforts and researches should me done which can increase income of farmers through reducing carbon dioxide and energy cost in agricultural production expens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economic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fusing geothermal heat pump and solar power facilities with high-tech glass greenhouse.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re surely are an applic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if we apply new development system that can be an alternative for problems of securing premises of existing geothermal heat pump and the RPS system as a power generation company in case of solar power. Therefore, using this analysis data, if new empirical studies fusing and implementing agriculture sector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fields proliferate and be applied to actual rural and agricultural field, it will increase actual income and will become a new advanced agricultural system that effectively deals with world-wide environmental problems.

시설원예농업의 지역적 전문화 연구: 경상북도 성주군 참외 주산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ional Specialization of Protected Horticulture in Seongju-gun, Gyeongsangbuk-do, the Center of the Main Oriental Melon Production Area)

  • 장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7-23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설원예 부문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는 과채류 가운데 참외 농업을 중심으로 농업의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전문화를 규명하고자 했다. 참외는 장기간에 걸쳐 시설 재배가 진전된 작목으로서 생산의 집약화와 공간적 집중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전문화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는 국내 최대의 참외 주산지로 성장한 경상북도 성주군 일대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국내 참외 농업의 집약화와 공간적 집중화를 개관하고 둘째, 성주군 참외 농업의 전문화를 토지이용, 재배 시설 및 관련 기술, 노동의 분업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통계자료를 구득하고 사례 지역의 주요 행위자들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농업분야 신재생에너지 보급현황 및 파급효과 분석 (The Effects of Renewable Energy in Agricultural Sector)

  • 박지연;김연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24-235
    • /
    • 2019
  • 농기계와 시설원예 보급 확대 등으로 인하여 농업부문 에너지 이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방비 등 투입비용의 증가 및 온실가스 배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설원예 농업부문 에너지 이용실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면세유, 농사용 전기의 변화 형태를 살펴보았으며, 농업용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현황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면적을 조사하고,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절감시설의 에너지 절감비율을 적용하여,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 보급에 따른 난방비 절감효과, 생산성 증대효과, 정부재정지출절감효과, 온실가스 절감효과, 그리고 석유류 대체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파프리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면적당 재정지출 절감효과는 열회수환기장치가 300,863원/10a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유가가 상승할수록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 보급에 따른 재정지출 절감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경제적 총 편익을 계산한 결과 다겹보온커튼이 608.1억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은 경유 등 에너지 투입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경영비 절감효과를 가져오는데 열회수환기장치는 3,593천 원/10a의 난방비 등 경영비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은 투입비용 절감효과뿐만 아니라 생산성 증대효과도 있다. 지열히트펌프의 경우 9,539kg/10a의 파프리타 생산량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은 경유 등 석유류 투입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으며 열회수환기장치는 1,806리터/10a의 석유류 대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mercializ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namental Plants

  • Chandler Stephen F.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69-77
    • /
    • 2003
  • The ornamental industry encompasses cut flower, pot plant, turfgrass and nursery stock production and is an important part of the agricultural sector. As internationally traded commodities, cut flowers and plants are an integral part of the economy of a number of developing countries in South America, the Caribbean and Africa. Genetic modification (GM) is a tool with great potential to the ornamental horticulture industry. The rapid progress in our knowledge of plant molecular biology can accelerate the breeding ornamental plants using recombinant DNA technology techniques. Not only is ther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novel products the driver of the industry but also the potential to develop varieties requiring less chemical and energy inputs. As an important non-food agricultural sector the use of genetically modified (GM) ornamental crops may also be ideal for the intensive farming necessary to generate pharmaceuticals and other useful products in GM plants. To date, there are only a few ornamental GM products in development and only one, a carnation genetically modified for flower colour, in the marketplace. International Flower Developments, a joint venture between Florigene Ltd. in Australia and Suntory Ltd. of Japan, developed the GM carnations. These flowers are currently on sale in USA, Japan and Australia. The research,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these products are summarized. The long term prospects for ornamental GM products, like food crops, will be determined by the regulatory environment, and the acceptance of GM products in the marketplace. These critical factors will be analysed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legislative environment, and likely public and industry opinion towards ornamental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Commercializ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namental Plants

  • Chandler, Stephen F.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년도 식물바이오벤처 페스티발
    • /
    • pp.39-48
    • /
    • 2003
  • The ornamental industry encompasses cut flower, pot plant, turfgrass and nursery stock production and is an important part of the agricultural sector. As internationally traded commodities, cut flowers and plants are an integral part of the economy of a number of developing countries in South America, the Caribbean and Africa. Genetic modification (GM) is a tool with great potential to the ornamental horticulture industry. The rapid progress in our knowledge of plant molecular biology can accelerate the breeding ornamental plants using recombinant DNA technology techniques. Not only is ther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novel products the driver of the industry but also the potential to develop varieties requiring less chemical and energy inputs. As an important non-food agricultural sector the use of genetically modified (GM) ornamental crops may also be ideal for the intensive farming necessary to generate pharmaceuticals and other useful products in GM plants. To date, there are only a few ornamental GM products in development and only one, a carnation genetically modified for flower colour, in the marketplace. International Flower Developments, a joint venture between Florigene Ltd. in Australia and Suntory Ltd.of Japan, developed the GM carnations. These flowers are currently on sale in USA, Japan and Australia. The research, development and commercialisation of these products are summarised. The long term prospects for ornamental GM products, like food crops, will be determined by the regulatory environment, and the acceptance of GM products in the marketplace. These critical factors will be analysed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legislative environment, and likely public and industry opinion towards ornamental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 PDF

농업부문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연료전환이 시설원예에 미치는 영향 분석 -목재펠릿을 중심으로- (Fuel Conversion to Renewable Energy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 Horticulture in the Agricultural Sector -Mainly Wood Pellets-)

  • 윤성이;김태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31-547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Greenhouse of wood pellet fuel conversing from Diesel. Analyzed through a life cycle assessme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of carbon dioxide for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In evaluation of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analyzed through the life cycle assessment of carbon dioxide emissions of the greenhouse gas and, In the case of economic evaluation, we analyzed the investment payback period to the total revenue generated by each of the calculated incentive based on the RHI and institutions reduction projects a reduction of cost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of fuel costs.

농업의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설원예농업의 집약화와 공간적 집중화: 참외농업 시설재배를 중심으로 (Intensification and Spatial Concentration of Protected Horticulture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Focused on Cultivation under Structure of Oriental Melons)

  • 장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3-288
    • /
    • 2018
  • 본 연구는 농업의 산업화가 가장 진전된 것으로 평가받는 시설원예 부문에 주목하고, 국내에서 오랜 재배역사를 통해 시설재배가 발전한 참외농업을 대상으로 농업의 구조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집약화와 집중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1970년대 이후 참외농업에서는 투입재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고 노동 투입이 감소하면서 자본에 의한 노동의 대체가 진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지면서 집약화가 진전되었다. 이와 같은 집약화 과정에서 시설재배가 타 지역에 비해 일찍 성장한 경상북도 성주군 일대를 중심으로 생산성 우위가 발생하면서 공간적 집중화와 함께 농가 수준의 집중화가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참외농업의 재구조화 과정에서는 기존 농업지리의 역동적 전환이 수반되면서 농업발전의 공간적 불균등이 심화되는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