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se therapy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8초

재활승마가 지적장애 성인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rapeutic Horse Riding, Adaptive Behavior in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안정훈;박윤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661-66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가 있는 성인들에게 재활승마 프로그램이 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에 있다. 대상자는 지적 장애를 가진 16명의 성인이었다. 그들은 12주 동안 일주일에 2회, 60분으로 이루어진 재활승마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참가자의 적응 행동 수준은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 SMS) 도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12주 전과 후에 측정되었다. 데이터는 SPSS를 사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재활승마 프로그램의 12주 후에, 자조, 업무, 자기 규제 및 사회화에 상당한 개선이 있었다. 그러나 운동, 의사소통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종합하면 재활승마는 자조, 업무, 자기 조절 및 사회화에서 지적장애를 가진 성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적장애가 있는 성인에게 재활승마가 효과적인 방법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승마운동이 뇌졸중환자의 하지 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Horse-Riding Exercise for the Stroke Patients' Muscle Thickness of Lower Extremity)

  • 김선칠;조운수;조성현
    • 재활복지
    • /
    • 제21권3호
    • /
    • pp.147-16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승마기구운동이 뇌졸중환자의 하지 골격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 광역시에 위치한 A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두 그룹으로 승마기구운동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배치되었다. 승마기구운동군은 실험 기간 총 6주 동안 주 3회, 회당 20분 운동을 실시하였다. 넙다리곧은근, 앞정강근, 안쪽 장딴지근, 중간볼기근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초음파 영상촬영 장치를 사용하였다. 30명의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측정은 운동 전, 운동 6주 후에 수행되었다. 데이터의 분석은 통계적 유의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 독립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각 그룹 간 중재 전 후 차이값에 대한 근 두께의 비교에서는 네 근육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승마 운동군은 근육 두께에 대한 운동 전과 후의 비교에서 네 근육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대조군은 운동 전과 후의 비교에서 RF, GM, TA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승마기구운동은 무릎의 안정화와 하지 폄근의 활성으로 인해 하지 근두께의 향상이 나타났다.

승마기구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정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chanical Horseback Riding Exercise on Static Balance of Patient with Chronic Stroke)

  • 조운수;조성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981-198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승마기구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정적균형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 30명으로서 승마기구 운동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대조군은 운동치료를 하루에 1회씩 받았으며, 실험군은 하루 1회의 운동치료 외에 별도의 시간에 승마기구 운동을 받았다. 승마기구 운동은 6주 동안 주 3회, 회당 20분씩 실시하였다. 집단 간 비교를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고, 집단 내 기간별 비교를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 승마기구 운동군의 눈 감고 선 자세에서는 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승마기구 운동군과 대조군의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 승마기구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다양한 임상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말의 그물막구멍포착 교정을 위한 소장 절제 및 문합 1례 (Small Intestine Resection and Anastomosis for Epiploic Foramen Entrapment of a Horse)

  • 황혜신;박철규;황준석;천용우;;이인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4-379
    • /
    • 2015
  • A 10-year-old gelding Warmblood weighing 560 kg was referred to J&C Equine Hospital with the history of hyperpnea, depression, pawing, and rolling for 7 hou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linical and ultrasound examination, it was considered that intestines were distended with thickened wall. The horse had been treated with lactated Ringers' solution (14 L, IV), flunixin meglumine (1.1 mg/kg, IV), and mineral oil (1 L, PO), but he did not show any responses to those treatments. Exploratory laparotomy was performed and identified incarcerated small intestine through the epiploic foramen. The horse received resection and anastomosis of the entrapped small intestine. After surgery, the horse was treated with intensive postoperative care of fluid therapy (5 L with 20 mEq/L KCl, every 2 hours), flunixin meglumine (1.1 mg/kg, IV, sid), antibiotics (penicillin 22,000 IU/kg, IV, qid and gentamicin 6.6 mg/kg, IV, sid), lidocaine constant rate infusion (bolus 1.3 mg/kg over 15 minutes then 0.05 mg/kg/minute), common nutritional supplements, nasogastric intubation every 2 hours and trunk bandage. Postoperative feeding program had started with small amount of hay every 4 hours and gradually increased to normal amount till 5 days. At 77 days after surgery, he showed sudden outbreak of colic and was euthanized. The causes of colic were small intestinal strangulation by passing through the mesenteric rents and postoperative adhesion between small intestine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perioperative intensive care of horse with colic and to use several methods to prevent adhesions during abdominal surgery of horses.

승마 운동과 McKenzie 운동이 만성허리통증환자의 허리통증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rse riding exercise, McKenzie Exercise on back pain and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정남진;김기현;김현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02-509
    • /
    • 2020
  • 본 연구는 승마운동, 멕켄지운동과 짐볼운동이 만성허리통증환자의 허리기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판 허리기능장애지수 5점 이상이고 만성허리통증을 가지는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승마운동그룹 10명, 멕켄지운동그룹 10명, 짐볼운동그룹으로 분류되어 주 3회 6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후 통증을 평가하기 위하여 허리기능장애지수를 사용하였으며, 허리안정화근육의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면근전도 장비를 사용하였다. 또한 그룹 내 운동 전·후의 변화를 검증을 위하여 대응 t-검정을 실시하고, 세 그룹 간 운동 전·후 변화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허리기능장애지수와 근활성도 변화에서 그룹 내 운동 전·후의 변화와 그룹 간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p<.05). 승마운동과 멕켄지 운동이 모두 만성허리통증환자의 통증으로 인한 허리기능장애와 허리부의 안정화에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말에서 급성장염과 관련된 페장에서의 Aspergillus감염증 (Invasive Pulmonary Apergillosis in a Horse Associated with Enteritis)

  • 윤병일;허권;김대용;박응복;하태영;서일복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0-183
    • /
    • 1998
  • A 5 year-old male Throughbred horse housed in Korean Racing Association died after having enteritis and respiratory disorder for about 10 days. At necropsyi the left and right caudal lung lobes were reddenedi swolleni and contained numerous well-defined sublobular consolidated foci. The large intestine was diffusely reddened and covered with pseudomembranous exudates. Microscopicallyi multifocal areas of necrosis with mild to moderate infiltration of neutrophilsi macrophages and Iymphocytes as well as hemorrhage and edema were noted in the lung. The fungi having conidiophorei dome-shaped vesicles phialides and conidia which are characteristic of Apergillosis fumigatus was isolated from the lung. The colonic mucosa was transmurally necrotic and severe congestions edema and thrombi were observed in the submucosa. The embolic mycotic pneumonia present in this case Probably occured secondary to antibiotic therapy given for treatment of enteritis.

  • PDF

말에서의 자궁내막생검 (Application of Endometrial Biopsy in the Horse)

  • 용환율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2-294
    • /
    • 2007
  • 말에서 자궁내막생검기술은 저하된 번식력과 관련된 자궁내막의 변화상을 관찰하고 자궁치료의 효과를 체크하는데 있어 중요한 산과적 기술이라 할 수 있다. 13세령의 더러브레드종의 암말은 오랜 동안 임신에 실패하였으며 이로 인해 차후의 임신가능성 진단을 위하여 자궁내막생검 의뢰를 받았다. 조직 생검을 통해서 이 말이 앞으로 성공적인 임신과 출산을 할 확률은 10-50%로 진단되었다.

Maxillary Sinusitis by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in a Thoroughbred Gelding: Case Report

  • Lee, Sang Kyu;Lee, Inhyu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25-230
    • /
    • 2021
  • A 4-year-old gelding Thoroughbred racehorse, which had been undergoing antibiotic therapy at a local veterinary clinic, was referred to the KRA veterinary center with a 20-day history of continuous right nasal discharge. Patient's history, endoscopic examination,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primary maxillary sinusitis. Under sedation, surgical intervention was performed to collect samples and remove the accumulated mucopurulent exudate in the sinus. Swab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inus during surgery for cytology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Only one type of bacteria was cultured, and molecular analyses of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s identified it as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The isolate was resistant to multiple antibiotic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equine practice.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was chosen based on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trephination, and sinus lavage using saline were applied to treat bacterial sinusitis. The clinical signs improved after 1 month and the patient resumed training. This report describes S. aureus isolated from bacterial maxillary sinusitis in a horse and its antibiotic susceptibility.

치료적 승마가 뇌성마비의 체간 고유수용성, 안정성 및 자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ppotherapy over 8 Weeks on Trunk Proprioception, Stability and Posture in Cerebral Palsy Patients)

  • 정진화;유재호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5호
    • /
    • pp.63-70
    • /
    • 2010
  • Purpose: In this study,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treated for 8 weeks using horse riding trunk proprioception, stability and postu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ppotherapy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Methods: A total of 18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horseback riding and a control group. Both groups were evaluated pre- and post-treatment. Trunk proprioception was measured three times in the sitting position with their eyes and ears closed to reach the target position the angle error of the mean was calculated. Trunk stability was measured using a forceplate and the data were used to calculate the postural sway path & postural sway velocity. Posture was evaluated using the Posture Assessment Scale (PAS). Results: After hippotherap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runk proprioception, stability and posture (p<0.05), but the control group improved in posture only (p<0.05). Trunk proprioception, stability and post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Eight weeks of hippo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trunk proprioception, stability, and posture. Research using this therapy should be studied further as a possible new therapeutic approach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승마 시뮬레이터 운동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stural Balance by Chronic Stroke Patients in Horse Simulator Exercise)

  • 박정서;이상용;이대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뇌졸중 환자에게 승마 시뮬레이터 기계를 이용한 운동이 환자의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와 연구방법으로는 67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승마운동그룹(n=34)과 일반 매트운동그룹(n=33)으로 나누어 두 그룹 모두 병원에서 일반적인 운동치료를 실시한후 추가적으로 승마운동과, 매트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시간은 주당 5회 8주동안 35분간 실시하였다. 균형능력 평가는 무게중심의 동요 거리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는 두그룹 모두 눈을 뜬상태에서 균형능력이 증가하였으나($^*$p<0.05), 눈을 감은 상태에서는 지상운동군보다 수중운동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균형능력 증가가 나타났다($^*$p<0.05).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승마 시뮬레이터 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