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ror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3초

플레잉 트라우마 -대만 호러게임 <반교>의 역사 재현 연구 (Playing Trauma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History in Taiwan Horror Game Detention)

  • 배주연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2호
    • /
    • pp.87-122
    • /
    • 2020
  • 본 연구는 대만의 레드캔들사(社)에서 개발한 2D 호러 게임 <반교>의 스토리텔링 분석을 통해 역사게임이 트라우마적 역사를 재현하는 방식에 관해 논한다. 기존의 대중미디어와는 달리 게임은 플레이어가 직접 서사에 참여할 수 있는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게임 속 역사 세계와 플레이어가 관계 맺는 방식도 달라진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미디어가 어떻게 이용자의 역사 인식과 기억의 방식을 다른 관계성 속에서 형성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017년 출시와 동시에 대만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큰 호응을 얻었던 <반교>는 1960년대 대만 계엄시기의 한 중학교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사상 검열과 국가폭력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특히, 일련의 게임 규칙들을 따라가는 과정에서 주인공은 잃어버린 기억과 마주하게 되고, 이로 인해 트라우마적 과거사에 대한 연루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후 <반교>는 영화로도 제작되어, 상업적으로나 비평적으로나 큰 성공을 거두었다. 본문에서는 게임 <반교>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영화의 재현 방식과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역사적 스토리가 미디어가 달라짐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서술되고, 기억술의 차이를 만들어내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게임의 상호작용성, 파편화된 서사, 퀘스트, 단편적으로 제시되는 단서, 호러게임이라는 장르적 특수성과 같은 것들이 어떻게 게임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넘어, 역사인식과 기억하기의 다양한 계기들을 만들어내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역사기술 매체로서 진지하게 다뤄지지 못했던 게임미디어가 역사를 '하는doing' 방식에 대해 성찰해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반교>는 역사 재현이 어떻게 영화적 기억술, 그리고 게임적 기억술과 닿아 있는가의 문제를 제기한다. 영화적 기억술이 비교적 많은 연구에서 다뤄진데 비해 게임적 기억술은 본격적으로 연구가 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게임 <반교>의 기억술을 분석함으로써, 게임과 역사재현, 그리고 기억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영화<장화, 홍련>의 상징, 가상, 실재 이미지와 의미 (The Movie 's Symbol, Imagination, Real Image and Meaning)

  • 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7-57
    • /
    • 2014
  • 2003년 개봉된 공포영화 <장화, 홍련>은 약 314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당시 일부에서는 영화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 영화는 2003년을 전후로 개봉된 공포영화 중 가장 큰 호평을 받았다. 영화 속 4명의 주인공은 한 가족이고, 아빠의 외도로 가족 간 갈등이 시작된다. 무현(아빠)의 외도는 아내의 자살로 이어지고, 아내이자 엄마의 자살은 수연(동생)의 죽음으로 또다시 이어지는데, 이때 수연의 죽음에 은주(새엄마)가 관련되어 있다. 수미(언니)는 수연이 죽은 후 은주가 수연의 죽음을 그대로 방치한 사실로 큰 상처를 받지만, 동시에 그런 은주의 행동에 자신도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동생을 죽게 한 죄의식도 느낀다. 은주 역시 수미의 독설로 상처를 받았지만 그에 대한 복수로 수연을 죽게 한 사실에 죄의식을 느낀다. 김지운 감독은 개봉당시 인터뷰에서 "이 영화는 가족 간 상처와 죄의식에 관한 영화"라 밝혔는데, 영화 속에서 가족이 주고받은 상처와 죄의식은 가상과 실재 이미지가 뒤섞인 공포 이미지로 그려진다. 상처는 가상 이미지로, 죄의식은 실재 이미지로 표현된다. 이 글에서는 가상과 실재 이미지를 설명해주는 영화 속 스틸사진을 제시하면서 상처와 죄의식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 주인공 간 갈등을 유발하는 매개체 3가지가 지닌 상징적 의미도 서술하였다.

장르 특성 패턴을 활용한 매칭시스템 기반의 자동영상편집 기술 (Automatic Video Editing Technology based on Matching System using Genre Characteristic Patterns)

  • 문혜준;임양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61-869
    • /
    • 2020
  • 본 논문은 영화 장르마다 나타나는 클라이맥스 패턴이 다름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디바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하나의 영상으로 자동생성해주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소개한다. 영화의 장르 특성 분류는 국내 영화 드라마, 액션, 공포와 국외 영화 드라마, 액션, 공포 장르를 분석하여 클라맥스 패턴 모델형을 만들었다. 클라이맥스 패턴은 영화의 특정 씬 부분에서 샷사이즈의 변화, 샷의 길이, 인서트샷 사용의 빈도를 특성 요소로 하였고,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장르별 시각화된 모델을 Firebase DB를 활용하는 템플릿으로 개발하였다.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장르별 템플릿으로 개발된 클라이맥스 패턴 모델과 매칭하였다. 짧은 영상이지만 장르의 특성이 반영되어 감성스토리 영상을 자동생성할 수 있는 것이 본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이다. 최근 유튜브, 네이버와 같은 플랫폼 사업자들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직접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영상을 생성해주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매년 업그래이드하고 있으나, 영화와 같이 장르 특성을 갖는다거나, 스토리가 보이는 영상생성 기술을 포함한 애플리케이션은 아직 미흡하다. 제안한 자동영상편집은 감성전달이 가능한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으로써의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한다.

SF와 좀비 서사의 감염 상상력 (Imagination of Infection in SF and Zombie Narratives)

  • 최성민
    • 대중서사연구
    • /
    • 제27권2호
    • /
    • pp.45-77
    • /
    • 2021
  •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여파가 계속되고 있다. 다양한 예방과 방역의 조치들 이면에는 '내가 감염될지 모른다'는 공포와 '누군가가 나를 감염시킬지도 모른다'는 공포, 두 가지 공포가 잠재되어 있다. 이러한 잠재의식은 감염 상상력 위에서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우리의 감염 상상력에 영향을 미친 SF 서사와 좀비 서사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SF 소설과 영화들이 '감염'을 어떻게 이해하고 표현하였는지, 그리고 좀비 서사들은 '감염'과 그 공포를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메리 셸리의 소설 『최후의 인간』은 감염병의 공포가 인류에게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 역설을 드러내주었다. 영화 <컨테이젼>과 <감기>는 감염병에 대한 공포와 혐오가 폭동과 충돌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좀비 서사는 감염이 주는 공포를 가장 극적으로 표현한 장르이다. <부산행>을 비롯한 연상호 감독의 좀비 3부작은 가까운 주변 사람이 가장 위협적인 감염원으로 돌변할 수 있음을 드러낸다. 우리는 SF와 좀비 서사를 통해, 감염병 앞에서 인류가 겸허한 연대의식과 윤리의식, 공감능력을 갖추어야 함을 깨달을 수 있다. 이러한 서사를 통해 우리는 감염 상상력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 감염 상상력은 감염 확산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그 과정과 향후 전망에 대한 이해의 기반이 되는 인식 체계가 된다.

이란-뱀파이어 영화 <밤을 걷는 뱀파이어 소녀> 스타일 연구 (A Style Study on the Iranian Vampire Film )

  • 장건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231-242
    • /
    • 2019
  • 영국 태생의 이란인 2세 애나 릴리 아미푸르 감독의 뱀파이어 영화 <밤을 걷는 뱀파이어 소녀 A Girl Walks Home Alone at Night>(2014)는 이란인들이 사는 유령마을(Iranian ghost-town) '배드 시티'를 배경으로 스트라이프 티셔츠를 입고 검은 차도르를 두른 채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여성 뱀파이어를 등장시켜 여러 문화의 재조합이 어떻게 문화·정치적으로 흥미로운 해석을 만들어내는지 시도하고 있다. 전통적인 호러 영화에서 흡혈귀 서사의 중심에는 주로 타자로서의 드라큘라-남성이 있었으나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영화들은 희생자 캐릭터에 머물러 있던 여성을 뱀파이어 주체로 자리를 옮기는 시도를 한다. 본 영화의 주인공 소녀는 보수적인 가부장 사회의 여성-무슬림-뱀파이어로 여성을 향해 폭력을 행사하는 남성을 처단한다. 흑백으로 촬영한 영상은 스토리보다는 이미지를 앞세우며 이란계 배우들이 등장해 페르시아어로 대화한다. 또한, 이란의 저항적인 록음악과 영국 스타일의 테크노 팝이 어우러져 이란의 정치학과 미국-유럽의 팝 컬처를 크로스 오버한다. 본 연구는 뱀파이어 영화의 전통적인 관습을 따르지 않으면서 장르 혼성과 여러 문화적 도상을 내세우며 뱀파이어의 소재의 이야기를 동시대의 문제의식으로 전환하고 이식해내는 데 성공한 <밤을 걷는 뱀파이어 소녀>에 특징적으로 나타난 스타일에 주목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현대 패션쇼에 나타나는 인형과 인형이미지의 내적 의미 (The Internal Meanings of Dolls and Dolls' Image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Show)

  • 유주연;권기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1호
    • /
    • pp.33-4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nal meanings of dolls and dolls' image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show. Dolls are used as sacred object, decoration object, playing object, personified object or cherished object. The expression types of doll image in modern fashion are as following; substitutes of multi-ego, object of sexual desire, objectified creature, and medium of transcending fantasy. First, dolls image as substitutes of multi-ego had been expressed in magical expression, disgusting mask, transparent mannequin, expressionless, horror, conflict, loss of identity, exaggeration or escapism. Second, as object of sexual desire, dolls image are expressed as naked baby, ambiguous expression, naked body, voluminous body, emphasized specific bodypart, heavy makeup or wax doll of sexy actresses. Third, as objectified creature, dolls are human body in passive form. Human bodies are disassembled and reassembled as dolls. Such dolls reflect serious reality. They wrap up human like product and objectify it. Fourth, dolls image expressed as medium of transcending fantasy recollects youth age or expresses imagination on ambiguous virtual reality. Like this, dolls have value as creatures in various fields of modern fashion. Dolls contribute a lot in creating important inspiration. Dolls also expose internal mentality and represent ego. Externally, dolls express human shape becoming more and more materialized and objectified by advancing scientific technology in digital capitalistic society.

재난 생존자 경험의 내러티브 분석 -재난 간호를 위한 제언- (Narrative Analysis on Survivor's Experience of Daegu Subway Fire Disaster - The Hypothetical Suggestions for Disaster Nursing Practice -)

  • 최남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07-418
    • /
    • 2005
  • Some fifty survivors participated in the narrative therapy sessions from March 2003 to December 2004, and thirty cases were analyzed using the transcripts. Each participant's surviving story was summarized, and then interpreted and reinterpreted by the survivors themselves in collaboration with the researcher. The two main principles in narrative analysis were hermeneutical distanciation and hermeneutical circulation. Result and Conclusion: First, nursing involvement should play active roles from the early stages of disaster incidents. Specifically, emergency nursing and flexible coping plans are to be available according to the specific properties of each cas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try to understand the extreme emotional experiences of disaster survival. The horror and pain people feel at an incident cannot simply be generalized, and it requires that each case be approached individually to help stop social alienation. Thirdly, more constant and long-term studies are required to set up nursing strategies for disaster survivors. Forming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survivors is basic, and formally registering as participants is necessary for continuous interventions. Fourthly, we should deeply appreciate the danger and complexity of modern society and understand the complex nature of disaster. Fifthly, interdisciplinary activities and studies are necessary in combination with various other fields to establish a framework of total nursing care for disaster incidents. Lastly,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ducate families and friends of the survivors and the society as a whole about life after a disaster.

현대 패션에 나타난 가면의 형태와 특성 (The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Masks a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 김선영
    • 복식
    • /
    • 제58권4호
    • /
    • pp.13-25
    • /
    • 2008
  • This study is on the various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mask, and was performed empirically by reviewing the related materials such as the literature, precedent studies, fashion works, and home and foreign fashion magazin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yle of mask in the modern fashion is roughly categorized by full-covered style, half-covered style, and over-half-covered style which is covered over 50% of a face. And, mask is utilized on a hat or a dress all over, or is produced by a elaborate makeup. Mask with lots of variation has three big characteristics, which are sense of disguise, sense of ornamentation, sense of grotesquery. First, sense of disguise means deviation or tool of affectation instead of cultural standard norm through transforming or masquerading as an imagery person or animal in ancient myths, famous artistes, etc. It could be developed to express a designer's identity. Second, mask decorated with various styles and materials has sense of ornamentation, which means natural human desire of expression for beauty, and at the same time human mind longing for experience a fantastic and ideal inner world being deviated from the present world even indirectly. Third, ignoring the original format of eyes, nose, and mouth, using extraordinarily various techniques such as distortion, extreme, exaggeration, concealment, or combining with animal images, mask has sense of grotesquery inducing humor and horror simultaneously.

애브젝트(Abjection)로 표현된 의상 (Costume Expressed by Abjection)

  • 차은진;박미령
    • 복식
    • /
    • 제52권2호
    • /
    • pp.19-30
    • /
    • 2002
  • This is the research of Abject Art which was originated aesthetically in Abjection Theory of Julia Kristeva, a french psycho-analyst who argued liberational discussions about feminine identity against patricentric ideology which had fastened existing beautiful and elegant oedipal-feminine image and femininity as the secondary sex or the other's sex. and which became known by the planning display at whitney Museum of American in 1993. In Julia Kristeva's Abjection Theory which was written in her book(Power of Horror : An Assay on Abjection, 1992), she named pre-oedipal stage in which there is no sexual difference and has the same significance to both sexes instead of the oedipal stage which is becoming male-supreme reality as the semiotic and reinterpreted that an infant disregards feminine body--mother's body (Julia Kristeva, named it as Chora) as the love and the pain which carries her baby in herself and creates the baby which belonged to herself--which belongs to the semiotic to enter the symbolic smoothly. So the Abjection art is partly consist of some works which express the concertion of the boundary rebated with infant Identity which is not yet the other perfectly nor the subject perfectly, and of some works called Excretory Arts which express the excretion and vomiting which is the original experience of the abject. I expect that this research can be the chance of breaking from the fastened identity which was granted on female and feminine costume in this masculine-view centric society and creating the new position of costume and dress in the field of art by analyzing the costumes especially among these works.

대만 치치 지진 메모리얼 - 접근과 설계과정 - (Chi-chi Earthquake Memorial Park, Taiwan - Approach and Design Process-)

  • 김정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29-138
    • /
    • 2004
  • Cherishing the dead is based in sadness. Designing a memorial space therefore has an inherent challenge to evoke the feeling that is so personal and varied by providing a physical space. The tendency of memorials, especially in the US after the mid 20th century, has been to emphasis each dead individual, as seen at the Vietnam Veterans Memorial in Washington, D. C., the Oklahoma City National Memorial in Oklahoma City, and so forth.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memorial of the Taiwanese Chi-chi earth-quake, Cheng Kim Park Robidoux tried to set up a series of spaces through which not only the relatives of the dead but also unrelated visitors could have their own spatial experiences, private rituals and public events, so that they can finally build up a collective memory. Sky-Well consists of a large bamboo forest enclosing a void. Without a particular entrance and guiding system, visitors stroll and get lost in the bamboo forest before they find the central void. The horror they experienced during the earthquake is melted down into the motion and phenomenology of the bamboo forest whereas the central void is reinterpreted as an empty mind, where people find solace from the sky. Details, such as the bamboo wall to place commemorative flowers and lotus blossom paving, are echoing the theme of rebi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