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deum vulgare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1초

기온과 지온의 차이가 강보리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Soil- and Air-temperatures on Agronomic Characters of a Barley Cultivar Kangbori(Hordeum vulgare L. Emend. Lamark))

  • 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8-363
    • /
    • 1989
  • 맥류 생육기간중 기온과 지온의 차이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맥류 세대단축에 이용코자 온도조절이 가능한 야외생육상안에 토양온도 조절기구를 장치하여 기온 20, 25, 3$0^{\circ}C$에 지온 10, 15, 20, $25^{\circ}C$구를 설정하고, 공시품종은 춘파성 정도가 I인 강보리를 공시하여 시험하였던 바 그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기온이 동일할때는 지온이 높을수록 빨랐다. 2. 경수는 기온 $25^{\circ}C$에 지온 1$0^{\circ}C$구에서 가장 많았으나 이삭수는 기온 2$0^{\circ}C$구에 지온 10~15$^{\circ}C$구에서 가장 많았다. 3. 망장, 수장, 추수도 및 간장은 기온 2$0^{\circ}C$에 지온 1$0^{\circ}C$구와 15$^{\circ}C$로 유지한 구가 가장 길었고, 간장이 길수록 제일절간 비율이 높았다. 4. 단중과 근중은 기온 $25^{\circ}C$에 지온 1$0^{\circ}C$와 15$^{\circ}C$로 한 생육적온에 가까운 온도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나 T/R율은 기온 3$0^{\circ}C$에 지온 10~15$^{\circ}C$로 한 구가 가장 높았다. 5. 수량은 기온 2$0^{\circ}C$에 지온 10~15$^{\circ}C$로한 구가 가장 많았고 기온이 동일한 때에는 지온이 낮은 쪽이 높았다. 6. 기온이 2$0^{\circ}C$로 맥류생육에 알맞더라도 지온이 높으면 맥류생육에는 불리하여 맥류세대촉진을 위한 하계재배시에는 기온도 중요하지만 지온사절이 더 중요하였다.

  • PDF

Effect of Location, Year and Variety on Winter Cereal Forage Yield and Quality in the Southern Plateau of the Spain

  • Otal, J.;Quiles, A.;Quiles, A.;Perez-Sempere, J.I.;Ramirez, A.;Fuentes, F.;Hevia, M.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0호
    • /
    • pp.1416-1424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production and quality of forage at three different times of the year (April, June and July) of six winter cereals in the southern plateau of the Iberian Peninsula. The cereals studied were Triticale (xTriticosecale wittm) cv. "Tritano", Oat (Avena sativa L.) cv. "Prevision" and cv. "Saia; Rye (Secale cereale L.) cv. "Giganton", Barley (Hordeum vulgare L.) cv. "Cameo" and cv. "Albacete".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ree different locations and over three successive years of harvesting. The three variables considered were location, year and cereal. The % dry matter (DM), % crude protein (CP), % acid detergent fiber (ADF), %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 ash content were determined for the three sampling periods and the quality was calculated in milk forage units (MFU/kg DM), the production in kg DM/ha, MFU/ha and kg CP/ha. In all three sampling periods the quality of the cereal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by the year and by species. However, for production of dry matter (kg DM/ha), milk forage units (MFU/ha) and gross protein (kg CP/ha) all three variables were of significant influence as were their interactions. In the April sampling, the species which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roduction ($p{\leq}0.05$) was rye (1,693 kg DM/ha), which, along with its forage quality (16.56% CP, 0.886 MFU/kg DM) meant that the same occurred in MFU/ha and kg CP/h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were also found for the June sampling. The most productive cereal was again rye with 2,656 kg DM/ha, although its sharp fall in forage quality meant that barley cv Albacete (2,513 kg DM/ha) returned the highest production in forage units (1,934 vs. 1,951 MFU/ha) and barley cv. Cameo (2,413 kg DM/ha) in gross protein production (242 vs. 264 kg CP/ha). The significantly highest cereal production for July was barley cv. Albacete (4,923 kg DM/ha, 9.11% CP 0.722 MFU/kg DM). As a consequence of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from the viewpoint of nutritional quality and production, rye is the most suitable for use in early spring in whatever year and location. However, barley cv. "Albacete" is the most appropriate for utilisation in later spring or early summer.

작물의 내염성 기작 연구 II. 염분농도에 따른 보리, 호밀,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유묘반응 (Mechanisms of Salt Tolerance in Crop Plants II. Physiological Responses of Barley, Rye, and Italian Ryegrass Seedling to NaCl Concentration)

  • 김충수;조진웅;이석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91-397
    • /
    • 1993
  • 보리, 호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를 실험재료로 하여 염분농도가 다른 배양액에서 수경재배하면서 염분농도에 따른 유상기의 생육반응을 조사하었다. 1. 파종후 15일패의 초장과 엽면적은 세 작물 모두 염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엽면적의 감소는 엽폭의 감소보다는 엽장의 감소가 그 원인이었으며 염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근장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염분농도의 증가에 따른 생장량 감소의 정도는 보리 > 이탈리안 라이그래스 > 호밀의 순이었다. 3. 엽록소함량은 호밀과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는 염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보리는 변화의 경향이 없었다. 4. 생체중 1g에 대한 건물중은 호밀과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는 염분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여 고염조건에서 생육할 경우 생체내 수분의 함량이 높아졌으며 보리는 변화의 양상이 없었다. 5. 엽녹소함량은 염분농도가 0.6%로 높은 경우에는 세 작물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전기전도도는 염분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6. 뿌리와 잎에 함유된 Na+은 염분의 농도가 높아 질수록 증가하였는데 호밀의 경우는 잎과 뿌리의 함유량은 비슷한 반면 보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에서는 뿌리보다 및에서 Na+의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염분을 잘 이동시키지 않는 기구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7. 근활력은 호밀이 염분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력이 감소하는 반면 보리에서는 염분농도의 증가에도 활력이 오히려 높아졌다.

  • PDF

Cellular and Molecular Pathology of Fungi on Plants Studied by Modern Electron Microscopy

  • Sanwald, Sigrun-Hippe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1995년도 Proceedings of special lectures on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es to Plant Disease National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Suwon, Korea
    • /
    • pp.27-53
    • /
    • 1995
  • In plant pathology there is an increasing necessity for improved cytological techniques as basis for the localization of cellular substances within the dynamic fine structure of the host-(plant)-pathogen-interaction. Low temperature (LT) preparation techniques (shock freezing, freeze substitution, LT embedding) are now successfully applied in plant pathology. They are regarded as important tools to stabilize the dynamic plant-pathogen-interaction as it exists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 The main advantage of LT techniques versus conventional chemical fixation is seen in the maintenance of the hydration shell of molecules and macromolecular structures. This results in an improved fine structural preservation and in a superior retention of the antigenicity of proteins. - A well defined ultrastructure of small, fungal organisms and large biological samples such as plant material and as well as the plant-pathogen (fungus) infection sites are presented. The mesophyll tissue of Arabidopsis thaliana is characterized by homogeneously structured cytoplasm closely attached to the cell wall. From analyses of the compatible interaction between Erysiphe graminis f. sp. hordei on barley (Hordeum vulgare), various steps in the infection sequence can be identified. Infection sites of powdery mildew on primary leaves of barley are analysed with regard to the fine structural preservation of the haustoria. The presentation s focussed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extrahaustorial matrix and the extrahaustorial membrane. - The integration of improved cellular preservation with a molecular analysis of the infected host cell is achieved by the application of secondary probing techniques, i.e. immunocytochemistry. Recent data on the characterization of freeze substituted powdery mildew and urst infected plant tissue by immunogold methodology are describe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localization of THRGP-like (threonine-hydrxyproline-rich glycoprotein) epitopes. Infection sites of powdery mildew on barley, stem rust as well as leaf rust (Puccinia recondita) on primary leaves of wheat were probed with a polyclonal antiserum to maize THRGP. Cross-reactivity with the anti-THRGP antiserum was observed over the extrahaustorial matrix of the both compatible and incompatible plant-pathogen interactions. The highly localized accumulation of THRGP-like epitopes at the extrahaustorial host-pathogen interface suggests the involvement of structural, interfacial proteins during the infection of monocotyledonous plants by obligate, biotrophic fungi.

  • PDF

윤작이 감자 수량, 토양 화학성 및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op Rotations on Potato Yield, Soi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Organic Farming System)

  • 김유경;강호준;양상호;오한준;이신찬;강성근;김형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87-702
    • /
    • 2012
  • 본 시험은 윤작처리가 감자의 상품수량과 토양 화학성 및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알맞은 작부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작부체계내 콩과 보리를 도입하여 2년 2기작으로 감자를 윤작하였을 경우 총수량과 상품수량은 대조구인 연작구 대비 각각 31% 및 53% 정도 증가하였으며, 콩과 유채를 도입하여 2년 2기작으로 감자를 윤작하였을 경우 총수량과 상품수량은 각각 57% 및 75% 정도 증가하였다. 그리고 감자의 상품수량에 미치는 요인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품수량은 토양미생물 활성, 특히 Biomass C 및 세균 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토양 pH, 유효인산, 치환성 칼슘함량이 높을수록 세균 밀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윤작을 통해서 토양 화학성을 개량하고 미생물 밀도 및 활성을 증가시키면, 토양병 발생을 억제하고 감자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Rice Straw Amendment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Rice Growth and Soil Properties in Reclaimed Tidal Paddy Field

  • Lee, Sanghun;Bae, Hui-Su;Lee, Soo-Hwan;Lee, Kyeong-Bo;Noh, Tae-Hwan;Lee, Geon-Hw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5-212
    • /
    • 2015
  • Farmers with forage barley (Hordeum vulgare L.)-rice (Oryza sativa L.) cropping system at reclaimed tidal lands burn crop residues to facilitate seedbed preparation or remove them for feed stoc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ce straw amendment and N fertilization on soil properties and N uptake of rice under forage barely-rice cropping system at reclaimed tidal paddy field. Rice straw was applied at the rates of 0, 2.5 and $5.0ton\;ha^{-1}$ and N was fertilized at 0, 100, 200 and $400kg\;ha^{-1}$.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fresh and dry weight of forage bare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rice straw. The amount of N uptake of rice at harvesting stage was $65.8-69.2kg\;ha^{-1}$ by the amount of rice straw amend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ice straw amendment levels. After harvesting the rice, the soil salinity decreased with rice straw amendment compared to the control. After forage barely and rice cultivation,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increased to $2.6-2.8g\;kg^{-1}$ and $3.2-3.5g\;kg^{-1}$, respectively. The amount of N uptake of rice at harvesting stage increased up to $82kg\;ha^{-1}$ in $400kg\;ha^{-1}$ N applied plots which were $37.8kg\;ha^{-1}$ higher than the control. Nitrogen fertilization decreased N recovery efficiency. The highest yield of rice was observed at $244kg\;ha^{-1}$ N fertilization level, but the optimum N level was estimated at $168kg\;ha^{-1}$ in order to keep the protein content of rice under 6.5%. Further researches on N uptake and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according to soil salinity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N use efficiency at reclaimed tidal paddy field.

농산 및 임산폐자원의 xylan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 생산(I) - Xylan의 단리 및 정제 - (Manufactures of Functional Materials by Using Xylan from Agricultural & Forest Residues(I) -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Xylan -)

  • 변지혜;임부국;양재경;장준복;이종윤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25-33
    • /
    • 2000
  • 본 연구는 농산 및 임산폐자원을 폭쇄처리한 후 xylan을 단리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과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농산 및 임산폐자원으로는 볏짚, 보릿짚 및 신갈나무를 시료로 하였다. 농산 및 임산폐자원의 화학 조성을 살펴보면, 볏짚 및 보릿짚에서의 추출물 함량과 무기물 함량은 신갈나무보다 약 10~20% 정도 높게 나타났다. 폭쇄전처리는 20kgf/$cm^2$의 압력에서 3, 6분처리 하였다. 폭쇄처리된 시료의 리그닌 함량은 폭쇄처리 전보다 약 3~22% 정도 높게 났다. 열수 및 0.5% 수산화칼륨 용액 추출에 의한 xylan 단리를 시도하였다. 열수 및 0.5% 수산화칼륨 용액 추출에 의해서 단리된 xylan의 형태를 살펴보면, 열수추출로 단리된 xylan은 소당류 형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차적으로 열수 및 0.5% 수산화칼륨 용액으로 단리된 xylan을 5% 수산화바륨 용액과 에탄올 적하법으로 정제를 시도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제된 xylan의 xylose 함량은 약 85% 이상이었지만, 기타의 당류들이 존재하였다.

  • PDF

내염성 식물의 탐색 및 생물학적 염해 모니터링 기술의 개발 II.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작물의 출현과 초기 생장 반응 (Screening of saline tolerant plants and development of biological monitoring technique for saline stress. II. Responses of emergence and early growth of several crop species to saline stress.)

  • 심상인;이상각;강병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2-126
    • /
    • 1998
  • 작물들의 염분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200mM의 NaCl이 들어있는 영양액을 공급하는 사경재배를 통하여 작물들의 내염성을 비교하였고,간척지 토양에 파종하여 작물들의 출현율과 초기생육을 관찰하였다. 작물종 중 내염성이 강한 종은 목화, 보리, 밀, 옥수수 등으로 이들은 200mM의 NaCl이 함유된 영양액에서 고사하지 않고 생육이 가능하다. 그러나 녹두, 완두, 팥, 콩과 갚은 콩과작물이 염분에 특히 약하였다. 작물을 간척지 토양에 파종했을때 건물중의 피해가 가장 심하였고, 출현율, 초장 순으로 염분에 대한 반응 정도가 작았다. 또한 염분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물체의 엽수도 감소하였다. 공시 작물들의 초장이 50% 저해 되는 염분 농도를 추정해 볼 때 화본과의 벼, 보리, 옥수수는 각각 22.6, 56.9, 40.4ds/m의 EC에서 초장 50% 저해되었고, 콩과 작물인 녹두와 콩은 각각 22.6과 21.7ds/md의 EC에서 초장이 50% 감소됨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쌀보리의 전분지방질에 관한 연구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tarch-Lipid in Naked Barley)

  • 김혜경;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5-520
    • /
    • 1989
  • 쌀보리 전분에서 유리 및 결합지방질을 추출하여 이들을 중성 당 인지방질 등으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들의 구성지방질들을 분별 정량한 다음 각 지방질들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유리지방질에서는 중성 당 인지방질의 함량이 각각 69.9%, 27.3%, 2.8%였고, 결합지방질에서는 $34.9{\sim}54.6%,\;30.0{\sim}45.5%,\;15.4{\sim}19.6%$였다. 중성지방질 성분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트리글리세리드$(70.4{\sim}82.4%)$이었고 이외 유리지방산$(8.4{\sim}26.2%)$ 그리고 소량의 esterified sterol과 free sterol로 구성되어 있었다. 당지방질에서는 $87{\sim}91%$의 monogalactosyl-diglycerides가 주요 성분이었으며 그외 소량의 digalactosyl-diglycerides $(0.8{\sim}4.2%)$, corebrosides$(1.8{\sim}4.4%)$, steryl glycosides$(3.1{\sim}5.9%)$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인지방질 성분에서는 유리, 결합지방질 모두 lysophosphatidyl choline $(26.8{\sim}30.8%)$과 diphosphatidyl glycerols $(33.6{\sim}40.4%)$의 함량이 많았으며, 그외 $12.1{\sim}21.2%$의 phosphatidyl choline & phosphatidyl serine, $7.1{\sim}9.9%$의 phosphatidyl glycerol로 구성되어 있었다. 중성지방질의 주요 지방산은 팔미트산$(15.2{\sim}47.3%)$, 리놀레산$(23.0{\sim}68.3%)$였으며 당지방질에서도 대부분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팔미트산$(22.7{\sim}39.8%)$과 리놀레산$(30.2{\sim}63.1%)$이었다. 특히 당지방질의 유리지방질에서는 결합지방질에 비해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인지방질의 지방산 조성도 함량면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대부분 팔미트산과 리놀레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쌀보리 결합지질의 추출과 그 조성에 관한 연구 (Extraction and Composition of Bound Lipids in Naked Barley)

  • 김혜경;김복남;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9-114
    • /
    • 1989
  • 쌀보리가루에서 결합지질을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하고 이들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등으로 분획하였으며 다시 이 분획된 성분들의 구성 지질들을 분별 정량한 다음 각 지질들의 지방산 조석을 분석하였다. Water saturated butanol ($25^{\circ}C$, WSB-LT) 추출 결합지질에서는 중성, 당, 인지질의 함량이 각각 35.5%, 32.4%, 32.1% 그리고 WSB($95^{\circ}C$, WSB-HT)추출 결합지질에서는 인지질의 함량이 50.6%로 가장 많았다. 중성지질 성분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triglyceride$(66{\sim}82.9%)$이고 그외 free fatty acid, free sterol, diglycericte, esterified sterol 등이 분별정량되었으며, 당지질 성분중에서는 digalactosyl diglycerides, cerebrosides, steryl glycosides, monogalactosyl diglycerides등이 주요 구성성분이였고 이중 digalactosyl diglyceride$(40.2{\sim}44.8%)$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인지질의 경우에는 lysophosphatidyl choline $(20.3{\sim}34.4%)$, phosphatidyl choline & phsphatidyl serine$(18.6{\sim}22.5%)$, phosphatidyl ethanolamine$(18.4{\sim}28.2%)$, dtphosphatidyl glycerols $(10.5{\sim}16.9%)$등으로 그 성분이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체로 구성성분은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인지질외에는 그 차이가 심하지 않았다. 또한 쌀보리에서 추출한 결합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로서 추출방법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큰 차이점은 없었으며, 특히 중성지질에서는 palmitic acid 함량이 $34.3{\sim}38.2%$, linoleic acid 함량이 $44.2{\sim}48.8%$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