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ngchon riv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수달의 개체군변이분석을 통한 생태모니터링 연구 (Long-term population monitoring with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of river otter in Korea)

  • 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525-528
    • /
    • 2013
  • River otter(Lutra lutra) are listed as endangered species and Natural monument in Korea, and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extinct of river otter in Hongchon river using with the application of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PVA) technique. In Hongchon river areas population was estimated 9 individuals for the last 1999-2005 years and PVA analysis was done for the next 10 years using the average population of 9. Using the initial population the river otter was estimated 30% of extinct for the next 10 years. This estimation was quite low considering water pollution and construction of highways. Also PVA only used population size lacking in other life history information. Nonetheless river otter population can be in risk of extinction if the current construction of crossovers, cement bank are maintained. Long term information regarding life history needs essential.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식이물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ood Items of River Otter Residing in the Hongchon Stream)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91-596
    • /
    • 2012
  • 홍천강 유역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청정지역으로 수생태계의 대표적인 수달이 서식하는 지역이다. 이들 지역에서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분석을 위해 식이물 연구가 수행되었다. 총 478개의 흔적 및 배설물이 사용되었으며, 수달의 식이물 분석 결과 80.5%가 어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류 중 이 지역에서 가장 우점하는 갈겨니(Zacco temminckii)의 식이물이 확인되었으며, 양서류 및 조류가 섭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적으로는 여름철 식이물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먹이자원이 여름철에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 군업천과 내촌천의 식이물 구성 및 빈도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현재 이 지역은 홍천-양양간 고속도로 건설이 진행되는 지역으로 수달 식이물 분석을 통한 인공서식지, 관리방안 도출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Mori(잉어과, 어강)의 두 type (Two Morphotypes in Korean Striped Bitterlins, Acheilognathus yarnutsutae Mori (Cvprinidae, Pisces))

  • Chae, Byung-Soo;Yang, Hong-J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9-57
    • /
    • 1994
  • In the course of an investigation on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Korean striped bittering, Acheilognathus vamatsutae Mori, two kinds of morrholoflical types were fou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m and mult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Since the difference of the barbel length between them was very significant (p < 0.01,1-test), they should be designated as L-and 5-type Hshes: fishes with long barbels and those with should barbels, respectively. Lateral line scales, snout length and prepectoral length showed a tendency that the observation c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p < 0.05,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There were no individuals over 70 mm BL in S-type and so S-type fishes were somewhat dwarf than L-type fishes. The two types were also clearly distinguished by multivariate analyses using cluster and discriminant analyses.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n the four populations of the Naktong River, the blue-green stripe on the body side and the white band on the margin of anal fin in males of S-type fishes were well developed through the year but those of males of L-type fishes completely disappeared or became slender during nonbreedins season as that of females. Of the seven localities surveved, there were no places that the two types cohabit. S-type fishes are limited only in the Kumho and Wichon River of the Naktong River system but L-type fishes are distributed more widely In the Hongchon, Mangvons, Somjin, Mirang and Panbyon River.

  • PDF

강원도에 분포하는 Metagonimus속 장흡충과 제2중간숙주에 대하여 (Intestinal flukes of genus Metagonimus and their second intermediate hosts in Kangwon-do)

  • 안영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31-340
    • /
    • 1993
  • 강원도의 강 하천유역에 있어서 주민의 Metqgonimus속 흡충의 감염률, 어류의 피낭 유충 자연감염 및 동물감염 실험에서 얻은 성충의 형태 등을 관찰하였다 주민의 감염률은 평균 7.8%(1,067명 중 83명 양성)였다 성별로는 남자 11.4%. 여자 3.2%였다. 강별로는 영서지역에서 섬강유역 7.3%, 주천강유역 6.3%, 평창강유역 12.8% 동강유역 3.8% 홍천강유역 9.8%와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유역이 8.0% 등이었다. 조사한 어류의 Metoqonimus속 피낭유충 감염률은 평균 81.0%(318마리 중 256마리)였고 감염어종은 영서지역에서 피라미(Zacco platypus), 갈겨니 (Zacco temmincki) . 끄리 (Opsarrichthvs binens) . 몰개(Squalidis sp. ). 붕어 (Carossius corossius) 등이었다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에서는 은어(Pruoglossus altivelis), 황어(Ribolodnn hokonensis)였다. 퍼라미와 끄리에서 분리한 피낭유충을 흰쥐와 개에 실험감염시켜 얻은 성충체는 대부분이 MetogonimMlyata형이고 부분적으로 M. tukqhoshii가 혼재하여 있었다.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 은어에서는 M. Vokogawni만이 검출되었고 황어에서는 M. Vokogawci와 MetoEonim Miyata형이 혼재하여 있었다. 이상으로 강원도에 분포하는 Metagonimus속 흡충은 영서내륙지역에 서는 주로 피라미와 끄리를 감염원으로 하는 Metagonimus miyata형 흡충과 M. takahashii흡충이 분포하였다. 영동지역(삼척 오십천)에서는 주로 은어. 황어를 감염원으로 하는 M. yokogawai흡충 이 분포하며 일부 황어에서는 Metagonimus Miyata형도 혼재할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