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ogeneous-Refraction Condi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지표면의 반사특성을 고려한 환경소음 예측 (Prediction of Industrial Noise Propagation Subjected to Ground Effect)

  • 한상보
    • 소음진동
    • /
    • 제11권2호
    • /
    • pp.329-335
    • /
    • 2001
  • The analytical model of the ground wave can be used for the prediction of the noise level from a source above a plain and homogeneous ground surface with no obstacles nearby. Sound propaga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ground can be affected by the roughness of the ground surface and the direction of the wind. The effects of the ground surface and the wind can be formulated in terms of the ground coefficient and the noise source parameter. Upward and downward conditions can also be addressed by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The ground coefficient and the noise source parameter are estimated using the measured noise levels of two points under particular environmental condition, and the noise levels of arbitrary points under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 can be estimated. The proposed method can be utilized to estimate the noise level of specific noise environment and its validity was confirmed with the results of actual field measurement.

  • PDF

NMPB 2008의 기상학적 요소를 고려한 도로교통소음 예측 (Prediction of Road Traffic Noise By NMPB 2008 Considering Meteorological Effect)

  • 김필립;안소연;류훈재;박태호;장서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43-947
    • /
    • 2014
  • NMPB 2008을 포함한 일부 소음 예측식에서는 기상학적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 특히 NMPB 2008을 이용하여 소음을 예측할 경우에는 기상학적인 요소의 고려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실제 기상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요소를 적용하기 위해서 하향 굴절 발생 빈도를 적용하여 소음도를 비교하였다. 기상학적 요소의 하향 굴절 발생 빈도의 증가에 따라 소음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1kHz 이상의 주파수에서 거리에 따른 소음도의 차이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상학적 요소의 적용은 예측 소음도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WAN모델을 이용한 제주해역 장기 파랑분포 특성 연구 (Analysis of Long-Term Wave Distribution at Jeju Sea Based on SWAN Model Simulation)

  • 류황진;홍기용;신승호;송무석;김도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37-145
    • /
    • 2004
  • 제주해역의 상기 파랑분포 특성을 제3세대 파랑모델인 SWAN모델에 의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고찰하였다. 제주해역은 한국 연안에서 파랑에너지 밀토가 상대적으로 큰 해역으로 파력발전에 적합한 후보지이며, 파력발전 효율은 해역의 파랑특성 인자들에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파랑분포는 한국해양연구원의 광역 장기 파랑추산 자료의 월평균 파랑특성을 경계조건으로 1 km 격자의 SWAN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하였으며, 파랑분포 해석은 유의파고, 평균 파향, 평균 과주기의 계절적ㆍ공간적 변화특성 고찰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유의파고는 겨울과 여름이 우세하며, 지역적으로는 제주도의 서쪽이 동쪽에 비해 유의파고가 높다. 유의파고의 최고치는 겨울에 북서쪽 해역에서 발생하며, 여름철의 남동쪽 해역이 다음으로 우세하고, 봄가을은 전체적으로 파고가 낮으나 분포가 비교적 균일하다. 파향의 분포는 회절의 영향을 받는 배후지역을 제외하면, 여름에는 북서 방향이 지배적이고, 겨울에는 남동 방향이 지배적이다. 파주기는 여름과 겨울철에 길고, 동쪽에 비해 서쪽 해역에서 길게 나타난다. 파주기의 최대치는 겨울에 서쪽 해역에서 발생하고, 여름에는 남쪽 해역의 파주기가 다소 우세하나 비교적 균일한 분포를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