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경기$\cdot$인천지역 중학교 가정실 실내 환경과 활용 실태 (Interior Environment and Practical Usages of the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in Middle School of Gyeonggi and Incheon)

  • 조재순;소복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27-140
    • /
    • 2004
  • 이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 특별실인 가정실의 실내 환경. 교구와 설비, 활용 실태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자료는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의 가술 $\cdot$ 가정을 담당하고 있는 15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되었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중학교는 가정실을 갖추고 있었다. 가정실은 가정 수업 외 다른 용도로 사용되어 때때로 가정실에서의 수업에 어려움을 주고 있었다. 가정실의 활용 실태는 저조하며 대부분 조리와 재봉수업으로 제한되었는데 그 이유는 실내 환경에서 냉$\cdot$난방과 환기의 부적합. 작업대와 의자 같은 설비뿐만 아니라 교구 등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가정실에서 모든 단원의 가정수업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가정실의 실내 환경과 교구의 개선은 가정실에서의 다양한 수업을 수월하게 할 것이다.

  • PDF

중학교 가정과 실험.실습 내용의 적정성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Fitness of Content of Experiment and Practice of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 장정진;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7-86
    • /
    • 1992
  • This thesis has two objects: Firstly, the arrangement of basic data and formulating a system of experiment and practice in home economics and Secondly, the groping the way of improving the problems raised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spot. A questinaire is used as the research tools for the fitness of content, of experiment and practice in the home economics and SPSS/PC(sup)+ and Scheffe Test are used for investig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xperiment & practice more than the teacher. In the type of middle school teachers engaged in the girl’s middle schoo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xperiment & practice more than those of coeducation middle school. 2. The percent of the school which executes over the 50% of experiment & practice in the contents of text book is 70%. The most numerous in the sphere of guiding is ‘seperate practice of student’. The reason of not executing the experiment & practice are ‘the concentration of the theory education’and ‘the lack of equipment and tools’3. Practice room for cooking was mostly established, but practice room of sewing was established only 5.6%. The contents of textbook for clothing sphere can be executed by using the equipment & tools of school only 9.2%. 4. 40% of the students feel that the content level of experiment & practice is difficult. Most of the students feel that the content level of experiment & practice, especially in the sphere of clothing, in unproper on the level fitness of contents by grade. 5. Most of the students assent on the positive effect for the degree and the most important cause for its not contributing to the everday life is the lack of experiment & practice in school. 6. Most of the students feels positively on the interest degree of content and the students who though much of the experment & practice feels positively on the interest degree of content.

  • PDF

중등학교가정과 교육실습 실태 및 교육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Survey of Teaching Practive and the Factors of Satisfaction on Teaching practi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박은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9-143
    • /
    • 2000
  • The Survey of Teaching Practice and the Factors of Satisfaction on Teaching Practi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ing practice and factors on satisfaction of educational practi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to provide information for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 The subjects were 365 college students who had the educational practice in 1999. A questionnaire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venty on point eight percent of the subjects choose their teaching-practice school by themselves, however 25.2% of them was recommended by college. Twenty five point six percent of the subjects satisfied the orientation of the college, but 32.8% of them didn’t. Thirty four point four percent of the subjects indicated the form of practice documents was good, whereas 27.9% of them it needed more improvement. 2. Fifty four point eight percent of the subjects used their own research room. The orientation of teaching-practice school was good(36.4%) but 20.0% of the subjects dissatisfied. Eighty nine percent of the subjects managed the class as vice supervisory teachers, 46^ of them had example instruction, the number of subjects practised at middle school and public school were more than high school and private school respectively. 3. The score of educational expertise of teachers was 3.66 and the teacher educators’was 3.85 The score of educational expertise of the teacher educators who were in college of education(3.87) was higher than in general teacher course(3.77) at p$\leq$0.05 4. The score of education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all subjects was 3.67. The factors to e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practice were the kind of research room, the orientation plan of the practice school and the management of the class, The score of the educational practice satisfaction was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educational expertise of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and the agrresive attitude to the teaching practice of the teacher educators.

  • PDF

웹 기반 조리실습 교육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f an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Web-Based Culinary Practice Education Materials)

  • 강경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9호
    • /
    • pp.113-123
    • /
    • 2010
  • This study describes the beginning and further development of a collection web-based materials for an efficient approach to culinary practice education. A database was created using a five-step proces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operation and evaluation. The menu for the web-based culinary practice educational materials included cooking basics, the real status of cooking, cooking related knowledge, performance evaluation, a data room and a bulletin board. As at 30 July, 2010, the datadase of educational materials, contained a total of 571 items. These comprised 139 cooking pictures, 33 recipes, 22 cooking videos, 74 cooking animations, 57 collections of basic knowledge, 14 evaluation reports, 21 supplementary textbooks, and 211 sets of other related information. The webbased materials are adequate for culinary education purposes, and their use is expected to be very highly valued.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가정실의 실내환경 및 시설.설비 현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door Environment and Status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of Home Economics Practice Rooms of Middle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박민혜;김봉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1-76
    • /
    • 2007
  • 이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가정실의 실내환경 및 시설 설비 현황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현장조사와 설문조사를 채택하였다. 현장조사는 제주특별자치도내 중학교 41개교 중 10개교를 선정하여 2006년 8월 16일부러 9월 30일까지 온도, 습도, 조도, 교구실태를 조사하였고, 설문조사는 제주특별자치도 41개 중학교 기술 가정과 교사 95명을 대상으로 2005년 11월 1일부터 2005년 11월 23일까지 우편을 통해 조사하였다. 현장측정을 하면서 회수된 설문지들을 포함하여 총 95부중 64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한 설문지 중 유효한 6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가정실 크기에 대해 불만을 느끼고 있지만 가정실의 크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가정실 크기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설문조사와 현장조사 결과 가정실의 여름 겨울철 실내온도는 부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섯째, 현재 각각 설치되어 있는 형태의 작업대, 개수대, 가스대 형태는 비효율적이다. 넷째, 환기시설을 갖추고 있는 곳은 많지만 환기는 잘 이루어지지 않아 환기시설이 미흡하다. 다섯째, 소화기 외에 다른 안전시설이 미비하므로 안전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구보유율이 매우 낮으며 교구가 조리기초 영역에 편중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가정실의 실내환경은 온 습 조도 및 환기 설비가 전반적으로 미흡하고, 가정실의 구조가 비효율적 동선을 이루고 있으며, 시설 설비 현황은 오래된 건물과 낮은 교구보유율로 매우 낙후되어있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내환경과 시설 설비 관련 기준에 맞추어 시설 설비 개선 및 교구 확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가치관이 다양화되고 있는 만큼 의생활에 흥미와 관심과 의욕을 가질 수 있도록 충실한 의생활교육이 요구되는 시대에 맞게, 내용은 물론 수업체제를 발전시키는 것이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사회, 생활에 학교교육이 발맞춰 나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틀을 바꾸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교과서의 내용을 교육과정 개정주기보다 자주 정기적으로 개편하여 내용을 수정, 보완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1{\pm}10.8%$, 여자 $54.6{\pm}9.9%$로 조사되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평균필요량에 비해 전체 $74.9{\pm}31.9%$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 노인들은 모두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97%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매우 낮았다 반면에 단백질 섭취량에 있어서는 남자 노인의 경우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91%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대조적이었다. 비타민 A와 E는 각각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의 125%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비타민 $B_2$는 특히 남자 노인에서 평균필요량의 75%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엽산 섭취량에 있어서는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전체 96%로 나타나 심각한 부족상태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철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연의 섭취량은 남자 17%,여자 15%가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에너지와 엽산은 모든 노인들에서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단백질과 철분은 남녀 노인 모두에서 평균필요량 보다 적게 섭취한

  • PDF

가정과교사가 인식한 학교 평생교육을 위한 가정과 자원의 활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use of them and the moves to strengthen home economics resources for school lifelo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teachers' view)

  • 김성희;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7-141
    • /
    • 2006
  •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삶의 문제들을 지혜롭고 창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가정과교육의 인적 물적 자원이 학교 평생교육에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활성화시킬 방안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전국의 중 고등학교 가정과교사들을 체계적 무선표집하여 질문지를 발송한 후 최종 회수된 135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과교사들의 학교 평생교육 업무 참여 실태는 낮은 편이며 주로 컴퓨터 강좌를 맡고 있어 전문성 발휘가 안 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정과 교사들은 학습자를 가르치기를 원하지만 강사의 역할보다는 학교 평생교육 관련 제반 업무를 여러 가지 맡고 있어서 과중한 업무가 부담되고 있다. 학교 평생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중 1/5 정도에서 가정과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주로 자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ulcorner$취미 여가생활 프로그램$\lrcorner$인데 이는 가정과교사들이 미래사회에 가르쳐야 할 중요도가 가장 낮다고 여기는 프로그램 내용이다. 가정과교사들과 학부모 및 지역주민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개설을 희망하는 프로그램 내용은 $\ulcorner$자녀교육 프로그램$\lrcorner$으로서, 학습자의 요구도에 걸맞으면서 그들의 가족생활을 강화하거나 지지할 수 있는 직접적인 프로그램 강좌개설이 필요하다. 가정과 관련 실습실의 실태는 조리실습을 할 수 있는 정도의 형태여서 개방을 위해서는 실습실의 확충 및 시설 면에서의 보완이 필요하다. 가정과 관련 학교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가정과교사들은 교육 연수를 통해 전문성을 길러 양질의 프로그램으로 학교 평생교육의 강사로서 참여할 의향이 있으며 이를 뒷받침해 줄 정부의 지원과 노력한 만큼의 적절한 의상을 바라고 있다.

  • PDF

임신 및 출산 풍습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한국, 홍콩 및 미국의 어머니-할머니 세대를 중심으로 (Cross-Cultural Study on the Pregnant and Childbirth Practices in Mother-Grandmother Generations of Korea, Hong-Kong, and the United States)

  • 민하영;유안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57-168
    • /
    • 200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r similarities in pregnant and childbirth practices of Korea,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and of mother-grandmother generations in each culture. The subjects were young mothers(YM) have baby from 2 to 2.5 years and their mothers or mothers-in-law(GM) in Korea(YM=118, GM=118), Hong Kong(YM=126, GM=78) and the United States(YM=105, GM=105). The subject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on pregnant and childbirth practices were constructed by specialists of child study in Korea,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Statistical analyses were by Frequencies, Percentages, Crosstabs, One-wav ANOVA, Scheffe' test,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ther and grandmothers of Korea more tended to believe in supernatal being of pregnancy, to expect son, to eat a resortive and a food to help conceive, to inhibit attending a funeral at the time of childbearing, to practice fetal education than of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did. 2. Relating sexual intercourse at the time of ovulation, maternal health care during the pregnancy, childbirth in hospital, husband's being in the hospital waiting room when their wife gave birth were much more prevailant in mothers than grandmothers did in Korea and Hong Kong.

$\cdot$$\cdot$주별 열에너지 소비절약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 강혜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24
    • /
    • 1981
  •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determine 1) if energy consumption and conservation vary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with independent variables-size of household, homemaker's age, employment, and level of education, level of living, type of house, electricity use, and all energy use, and 2) if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Questionnaires wee given to the randomly selected homemakers in Seoul in July, 1980. Data from 620 responses were analyzed by F-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lothing (1) the scores of the conservation practices I clothing were generally high. /However, it was found that a) they did not practice in wearing heavy under clothes and behavior outer clothing to cope with cool room temperature in the winter, b) they did not use bleach for laundry, but they used boiling method, and c) they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on Permanent Press finish. (2)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cloth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evel of living and homemakrer's level of education. a) The higher the level of living, the higher scores in the knowledge were found. b) the higher the homeakcer's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scores in the knowledge and ironing were obtained. 2. Food (1) The scores of the conservation practices in food were generally high. However, it was found that scientific cooking methods were not performed such as a) to use measuring spoons, cups, and timers, b) to practice a simple method in using solor energy for warming water, c) to use thermos for the hot water tea or coffee, but they boiled water whenever necessary, and b) to use the pressure cooker whenever possible. (2)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foo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omemaker's employment and type of dwellings. a) The scores of full-time homemakers (not gainfully employed) were higher than gainfully employed homemakers. b) Families in traditional Korean dwellings reveale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apartment or western style dwellings. 3. Housing (1) The scores of the conservation practices in housing were generally high. However, it was found that a) they did not install fans in the kitchen, bathroom, and attic in the summer, b) they did not install a humidifier for tolerating a lower room temperature in the winer, c) they did not practice to make plans for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remained open for the shortest time, d) they did not install or use a local lighting with a general lighting for reading and cooking, and e) they usedaluminum foil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heat reaction of its shiny and dull sides. (2)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hous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omemaker's employment and level of education, economic status, types of dwelling, and all energy use, a) Full-time homeakers had higher scores than gainfully employed homeakers. b) the higher the homemaker's level of education and economics status, the higher scores were obtained. c) Homeakers with their own house scored higher points than those with rented houses. And families in apartment or row houses scored higher points than those in traditional korean or western style dwellings. d) The higher the consumption rate of electricity and all energy, the higher scores were revealed. 4. correl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 clothing, food, and housing.

  • PDF

초임기 가정과 교사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 분석 - 1급 정교사 가정 자격연수 대상자 중심으로 - (Needs analysis for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for newly appointed Home Economics teachers -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of first-grade teachers qualification training -)

  • 이현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8
    • /
    • 2018
  • 교사는 임용이 되었다고 완성된 것이 아니며, 오랜 시간 자기 계발과 연수를 통해서 점진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직무연수를 통해 가정교사의 책임감을 향상시키고, 프로그램의 목적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연수 대상자의 요구가 우선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 가정과 1정 정교사 자격연수 프로그램 참여교사들을 대상으로 1정 정교사 자격연수 이후에 이루어질 직무연수에 대한 요구 사항을 조사하여 가정과 교사의 직무연수의 발전적인 운영 방안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자의 절반 정도는 최근 3년 동안 가정과 직무연수를 1회 이하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급 정교사 자격연수의 추후 직무연수를 통해 수업 지도의 기술 향상을 가장 높게 요구하였으며, 직무연수를 통해 함양할 전문적 자질로는 교수방법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능력이 가장 높았다. 직무연수의 주제는 가정과 교수학습의 자료 개발을 가장 원하였고, 수업에 활용도가 높으며, 직접 참여하는 형태의 연수 수업 방법, 줄 세우기 식의 평가 지양, 현장감 있는 강사 선호, 지속적인 가정과 직무연수의 기회, 소통하는 연수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한 요구는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연수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직무연수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연수를 받을 수 있는 시간적 여유와 행정적인 지원 등 교육 환경이 개선되어야 하고, 교사의 세대 변화에 맞춰 집합연수, 원격연수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연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가정과 교사들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좋은 내용의 직무연수를 공유하며, 실습, 수업 사례 나눔, 교사 개개인의 맞춤형 연수가 제공되어야 한다.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창의공학설계' 단원 신설에 따른 기술교육과 교수의 인식 분석 (Study on Recognitions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Professors Introducing 'Creative Engineering Design' Unit of High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김성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28-14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에'창의공학설계' 단원이 신설됨에 따라 창의공학설계 관련 수업을 먼저 경험한 기술교육과 교수 (professor)의 인식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의 '창의공학설계' 수업 방향과 대학 과정의 예비 기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창의공학설계 수업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설문지는 34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16명의 기술교육과 교수에게 수집되었다. 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공학설계의 교육 목표에서 문제 해결 능력 응답 평균이 가장 높고 (M=4,44), 공학체험 기회, 창의력 향상 순으로 낮아졌다. 창의공학설계 교육 내 용에 대한 응답에서는 창의 사고기법 교육 평균(M)이 3.94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발표를 위한 자료 작성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창의공학설계 교육 범위 응답에서는 아이디어 구상에서 설계, 제작을 선호하고 있고, 교수 학습 방법에서는 설계중심학습법 평균이 가장 높고, 문제중 심법과 문제해결법도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운영에서는 실습 공간 및 실습 재료비 확보, 진행 상황 점검이 필요하며, 평가에서는 작품, 포트폴리오, 발표 등 다양하고 종합된 방법을 선호하였다. 넷째, 대학 과정의 예비 기술 교사 수업에서 작품 수준은 생활 속의 불편한 것을 개선하는 작품을 선호하였고, 작품 제작에서 어려운 점은 전공 지식의 부 족과 제품 구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