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loleion maximowiczii roo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건조방법에 따른 께묵뿌리 추출물의 색도변화 (Changes in Color Intensity of Extract from Hololeion Maximowiczii Root by Drying Methods)

  • 최동연;도재호;이광승;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17-420
    • /
    • 1993
  • 건조방법을 달리한 께묵(Hololeion maximowiczii) 뿌리의 색도변화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Hunter value에서 분말의 경우에는 HADB가 더 진한 편이었으나 용액의 경우에는 HADB가 제일 연한 색깔을 띄었다. 수용액 색소의 420nm에서의 흡광도는 FD group이, 자외부에서 흡광도는 HADB group이 가장 강하였다. 께묵의 색소는 분말상태에서보다 용액상태에서 더 불안정하였으며, 색소분해에 대한 활성화에너지는$(90{\sim}100^{\circ}C)$ 약 20.9kcal/mole이었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께묵뿌리 추출물의 수소공여능 조사 (Changes in Hydrogen Donat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from Hololeion maximowiczii Root by Drying Methods)

  • 최동연;도재호;이광승;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7-151
    • /
    • 1994
  • 께묵(Hololeion maximowicizii)뿌리를 냉동건조, 열풍건조 및 증숙후 열풍건조의 3가지 방법으로 건조한 후 용매추출하여 DPPH 방법에 의한 수소공여능이 변화를 조사하였다. 증숙한 후 열풍건조구가 가장 큰 수소공여능을 나타냈으며, 여러가지 용매 추출물중에서 물추출물의 색도가 가장 높았으나 수소공여능은 50%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냉동건조한 께묵뿌리를 $100^{\circ}C$에서 120분까지 열처리 한 위에 흡광도를 조사한 결과는 가열 20분까지는 감소하다가 증가하였으나 수소공여능은 계속 증가하였다. 50% ethanol 추출물(6.05mg/ml)은 $2{\times}10^{-4}M$${\alpha}-tocopherol$과 비슷한 수소공여능을 보였으며, 투석외액과 내액의 수공여능을 비교한 결과 외액이 내액보다 강하였다.

  • PDF

께묵뿌리의 화학성분과 건조방법에 따른 변화 (Chemical Components of Hololeion maximowiczii Root and Change by Drying Methods)

  • 최동연;김영희;박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21-425
    • /
    • 1993
  • 께묵뿌리를 사용하여 건조처리별로 일반성분 당, 지방산, 아미노산 및 무기성분의 함량변화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성분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라서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2. 유리당함량은 sucrose가 $27.7{\sim}29.3mg/g$로 가장 많았고 fructose는 $0.8{\sim}3.04mg$으로 적게 함유되었으며 glucose와 xylose은 흔적정도로 나타났다. 건조처리별로는 sucrose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고 fructose는 증숙건조에서 감소되었다. 3. 지방산조성을 보면 9종이 동정되었으며 그중 linoleic acid가 $54.9{\sim}58.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palmitic, linolenic acid의 순이었으며 이들 3종류의 지방산함량이 총지방산의 $88{\sim}90%$를 차지하였다. 건조처리별로는 냉동건조구보다 열풍 및 증숙건조구에서 저비점지방산들이 약간 감소되었다. 4. 총아미노산의 조성을 보면 arginine이 $33.6{\sim}41.5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그 다음 Lys>Glu>Gly>Asp>Val>His의 순이었고 유리아미노산조성은 Arg>His>Lys>Asp>Ser>Glu>Ile의 순으로 함유되었다. 건조처리별로는 총아미노산중 glycine과 glutamic이 증숙건조에서 약간 감소할 뿐 전체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5. 무기성분에서는 Ca 함량이 $1927{\sim}2379ppm$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K $1159{\sim}1259ppm\;Mg\;760{\sim}777ppm$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건조처리별로는 별다른 함량변화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