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llow fiber membrane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29초

중공사 막을 따라 흐르는 순수한 물의 유량, 압력손실, 투과수에 대한 실험과 이론적 고찰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Flow Rate, Pressure Drop, and Permeate Flow in a Hollow Fiber Membrane)

  • 이정묵;이범석
    • 멤브레인
    • /
    • 제22권6호
    • /
    • pp.470-48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름이 일정한 하나의 직선 관형 막을 가정하여 그 단위구간의 투과속도에 대한 물질수지를 세웠으며 이것을 기초로 하여 파이프의 정상상태 식과 함께 비선형 연립 2차 미분방정식을 이루었다. 이러한 관형 막의 압력손실을 표현한 연립방정식은 비선형이므로 Gauss-Seidel method와 같은 반복법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해를 나타내기 위해 모사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또한 투과수는 운전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하므로 각 조건에서의 연립 방정식의 해를 수치적으로 적분하여 해결하였다. 모사의 결과를 검증, 해석하기 위해서 실제 중공사막과 유사한 관형 막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공사막을 유체가 흐를 때 발생하는 압력손실, 유량, 그리고 투과수의 관계를 분석적 방법을 이용해 제시하였고 이러한 이론적 기초를 바탕으로 실제 기공을 가진 막에 적용하여 그 정확성을 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Multi-bore PSf 중공사막의 내화학성 및 세척 효율 특성평가 (Evaluation of Chemical Resistance and Cleaning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Multi bore PSf Hollow Fiber Membrane)

  • 임광섭;김태한;장재영;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30권2호
    • /
    • pp.138-148
    • /
    • 2020
  • 본 연구는 (주)퓨어엔비텍에서 제조한 multi-bore 형태의 중공사 막을 이용하여 오염된 원수의 투과 후 오염된 막의 재사용을 위해 화학적 세정효율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제조된 중공사 막의 재료는 내화학성이 좋은 PSf(polysulfone) 소재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소혈청 알부민(BSA)을 이용한 내오염성 평가 및 염기성 용액인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산성 용액인 구연산(citric acid)을 이용해 장기 함침하여 내화학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간에 따른 수투과도와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와 성능의 감소에 대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후 소혈청 알부민으로 오염된 막의 화학적 용액에 따른 역세척 후 회복효율을 파악하였다. PSf 중공사 막은 뛰어난 내화학성을 가졌으며 화학적세척결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효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페놀수지/알루미나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을 이용한 응축성 기체 분리 (Condensable Gas Separation using Phenol! Alumina Composite Activated Carbon Hollow Fiber Membranes)

  • 신경용;박유인;김범석;구기갑
    • 멤브레인
    • /
    • 제20권4호
    • /
    • pp.312-319
    • /
    • 2010
  • 탄소막은 고분자막에 비해 높은 선택성과 투과성,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기체 분리,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분리막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활성탄소중공사막은 기공 표면(pore wall)에 형성된 흡착성 미세기공에 의해 선택적으로 응축성 성분이 흡착, 확산되는 흡착-확산 기구에 의해 흡착성-비흡착성 물질이 분리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알루미나 중공사막 지지체에 phenolic resin (novolac type)을 코팅한 후 산화, 탄화 및 활성화 등의 열분해 과정을 통해 막 표면과 기공 표변에 흡착성 미세기공이 형성된 활성탄소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또한 열분해 조건에 따른 phenol/alumina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의 물리적 특성과 기체 투과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제조된 phenol/alumina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이 휘발성 유기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분리 회수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특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phenol/alumina 복합 활성탄소중공 사막은 VOCs의 분리, 농축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노 크기의 Fumed Silica가 함유된 Polysulfone 한외여과 중공사막 제조 및 내오염성 분석 (Preparation of Polysulfone Composite Ultrafiltration Hollow Fiber Membranes Incorporating Nano-size Fumed Silica with Enhanced Antifouling Properties)

  • 강예솔;임주환;김인수
    • 멤브레인
    • /
    • 제28권6호
    • /
    • pp.379-38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외여과 polysulfone (PSf) 중공사막에 첨가제를 섞는 방법을 통해 친수성 증가에 따른 분리막 특성 및 성능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15 nm 크기의 fumed silica (FS)를 0.1, 0.3, 0.5 wt%로 방사 용액에 분산시켜 혼합 매트릭스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단면 및 표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SEM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FS가 함유될수록 중공사막의 평균 기공 반경이 4 nm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리막의 친수성 분석을 위해 접촉각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FS 함유로 분리막의 친수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수투과도의 경우 FS가 섞인 분리막은 91~96 LMH 수준을 보였으며 PSf 분리막보다 5~11%의 증가율을 보였다. 내오염성 평가에서도 친수도가 상승한 FS 혼합 중공사막 표면에 소수성을 띄는 BSA가 흡착되지 못하여 상대 유량 감소율이 PSf 단일막 보다 낮아졌음을 확인하였다.

초극세 중공사형 세라믹 정밀여과막 제조 (Preparation of a ultrathin hollow fiber ceramic microfiltration membrane)

  • Park, In-Hwan;Kim, In-Chul;Lee, Kew-Ho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44-146
    • /
    • 2004
  • Various polymeric hollow fiber membranes have been prepared and been used widely due to their high surface area per unit volume and high permselectivity. However, the organic materials are only limited to mild operating conditions because of their weak thermal stability and ease of fouling.(omitted)

  • PDF

Effects of Nucleating Agents on Preparation of Polypropylene Hollow Fiber Membranes by Melt Spinning Process

  • Kim, Bong-Tae;Kigook Song;Kim, Sung-S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127-134
    • /
    • 2002
  • Microporous polypropylene hollow fiber membrane was fabricated from isotactic polypropylene-soybean oil system by melt spinning process. Addition of nucleating agent accelerated the crystallization rate and elevated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Nucleating agent increased the number of nuclei and spherulites, which offered more inter-spherulitic amorphous sites for stretching. Benzoic acid, adipic acid, and dibenzylidene sorbitol were selected as nucleating ag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effects were investigated by thermal and optical analyses. Spherulite growth and micropore formation characteristics were correlated with the kind of nucleating agent. Benzoic acid and adipic acid showed the remarkable nucleating effect, while dibenzylidene sorbitol was less effective than those. Nucleating agents also helped the sample have uniform microporous structure. Increase of nucleating agent composition enhanced the nucleation effect to some extent. Nucleating agents played very important roles in enhancing the membrane porosity and water flux.

Microfiltration Helical Module들에서 Hollow Fiber의 Diameter과 Curvature 및 Turn수의 변화에 따른 성능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Variation of Hollow Fiber Diameter and Curvature and Turn Number on Performance for Microfiltration Helical Modules)

  • 이광현
    • 멤브레인
    • /
    • 제7권2호
    • /
    • pp.84-94
    • /
    • 1997
  • Hollow fiber의 diameter와 curvature 및 turn수 등의 변화에 따른 첫번째 모듈 set와 두번째 모듈 set 사이의 성능비교가 이루어졌다. 모든 실험들은 같은 transmembrane pressure와 막면적당 에너지 소모하에서 수행되었다. 첫번째 모듈 set에 대해서 Dean vortices에 의한 농도분극과 막오염현상의 감소시키는 효과가 매우 작음을 알 수 있었다. 두번째 모듈 set에 대해서 115%의 투과 flux 향상값 (투과 flux 증분 ${\times}100$/선형 모듈의 투과 flux)을 보였다. 이로부터 두번째 모듈 set가 yeast suspension에 의한 농도분극과 막오염현상의 감소에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공압시스템 제습용 중공사막 모듈의 하우징 형태에 따른 제습효율 특성 연구 (A Study on Dehumidification Characteristics of Housing with Shape for Pneumatic System)

  • 정은아;이기윤;윤소남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6권2호
    • /
    • pp.66-71
    • /
    • 2019
  • In this study, flow analysis and dehumidific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o confirm the dehumidification characteristics for its different configurations. The CFD for the three different models was conducted using $30^{\circ}C$ temperature and 30%RH inlet humidity for quantitative analysis. Each model has different shape parameters i.e. the number of baffles. Comparison between flow analysis results and dehumidification experiment results revealed a percentage error of about 5%. The difference in relative humidity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for each model was calculated using flow analysis data. It was established that the difference in relative humidity of the inlet and outlet for the refined model with three baffles was highest among the three modeled modules of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e. around 9%.

열유도 상분리로 제조한 플라워 형태 단면을 갖는 PVDF 분리막의 친수성 코팅 및 특성평가 (Hydrophilic Coating and Characterization of PVDF Membrane with Flower Type Cross-section made from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 임광섭;이정우;장재영;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9권6호
    • /
    • pp.362-37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열유도상분리법(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을 사용하여 제조한 플라워 형태의 단면을 갖는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중공사 분리막에 대한 친수화 코팅과 그에 따른 특성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중공사 분리막은 (주)퓨어엔비텍에서 제조한 PVDF 소재의 분리막이었으며, 친수화 코팅 실험은 PEBAX 1657, 2533, 3533의 공중합체 고분자를 사용하여 농도가 다른 용액을 제조 후 딥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친수화 코팅이 된 중공사 분리막은 친수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SEM 촬영 및 접촉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SEM 촬영 결과 코팅의 농도가 증가하고 코팅횟수가 증가할수록 코팅층의 두께가 두꺼워짐을 확인하였고, 접촉각 측정의 경우 코팅의 농도가 증가하고 코팅횟수가 증가할수록 접촉각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기체 투과 실험 결과 코팅농도가 증가하고 코팅횟수가 증가할수록 산소 기체투과량이 감소하였으며 친수성이 높은 PEBAX 1657로 코팅한 중공사의 기체투과량이 PEBAX 2533과 3533으로 코팅된 중공사보다 낮은 기체투과량을 가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