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compatibility test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2초

A Successful Bilateral Lung Transplantation in a Patient with High Panel Reactive Antibody and Positive Cross Matching

  • Bok, Jin San;Jun, Jae Hyun;Lee, Hyun Joo;Park, In Kyu;Kang, Chang Hyun;Yang, Jaeseok;Kim, Young T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4호
    • /
    • pp.420-422
    • /
    • 2014
  • A 44-year-old pregnant female patient gave stillbirth while being treated for pneumonia. She developed acute respiratory failure, which resulted in mechanical ventilator support. Diagnostic lung biopsy revealed a cryptogenic organizing pneumonia. The patient's condition deteriorated and a venous-venou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was placed. She was listed for lung transplantation. Because of her worsening condition lung transplantation was performed despite positive cross matching result. She was treated with rituximab, intravenous immunoglobulin, and plasmapheresis and recovered without event. There is no sign of rejection at the time of last follow-up.

개의 신장 동종 이식에서 초급성 거부반응의 예방을 위한 보체의존성 세포독성 DLA 플래스 I 교차 반응 (Complement-dependent Cytotoxic Crossmatch for Prevention of Hyperacute Rejection in Canine Renal Allografts)

  • 길혜명;우흥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2-327
    • /
    • 2005
  • 보체의존성 세포독성반응(CDC)을 이용한 DLA class I교차 반응의 실험방법을 정립함으로써 개의 동종 신장이식 후 초기에 발생되는 초급성 거부반응을 억제하는데 응용하고자 븐 실험을 실시하였다. 체중(약 5kg)과 연령(약 1년령)이 유사한 잡종견을 대상으로 적혈구 교차 반응을 실시하여 상호 음성인 7마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혈액형이 동일한 개체를 대상으로 CDC검사를 실시하였으며, Anti-dog serum,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HBSS), 그리고 자가 혈청을 각각 양성 음성 그리고 자가 대조 혈청으로 이용하였다. Class I보체와 반응시킨 후 에오신으로 염색하여 고정한 다음 위상차 현미경 100배율에서 조사하였다. 국제 Cytotoxicity scoring system에 의하려 죽은 세포가 $20\%$ 이상이면 양성으로 평가하였다. CDC 결과 동일 혈액형 군에서 상호 음성이 나온 경우를 대상으로 상호 동종이식을 실시하여 초급성 거부반응의 발생 정도를 평가하였다. 혈액형이 1.2 B인 4두 중 1두는 자가항체를 가지고 있었다. CDC 결과 동일 혈액형 군에서 각각 1쌍이 상호 음성을 나타내었고, 혈액형이 다른 1쌍에서도 상호 음성이 관찰되었다. 혈액형이 동일하고 CDC음성인 2쌍 4두를 대상으로 상호 신장 이식을 한 결과 4마리 모두 초급성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확립한 DLA교차 방법은 동종 이식에서 초급성 거부반응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며, 향후 개의 동종 장기 이식에서 조직적합성 평가를 위해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