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iocytoma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3초

악성 섬유조직구종 형태를 가진 원발성 폐육종 1예 (A Case of Primary Pulmonary Sarcoma with Morphologic Features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 이연정;허원행;노대근;김승준;이숙영;김영균;문화식;송정섭;박성학;박경신;이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2호
    • /
    • pp.186-191
    • /
    • 2002
  • 저자들은 53세 남자환자에서 조직학적, 면역학적으로 악성 섬유조직구종의 형태를 가진 원발성 폐육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폐로의 전이성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예 보고- (Metastatic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in Lung -One Case Report-)

  • 이석열;이만복;이길노;고은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7호
    • /
    • pp.671-674
    • /
    • 1999
  • 42세 여자환자가 외래 추적검사에서 1998년 12월에 흉부 방사선 사진상 우측폐 하엽에 고립성 폐결절이 관찰되었다. 경피적 경흉부 세침흡인 세포검사 실패후 진단과 치료를 위해 우측폐 하엽 상기저폐구역의 쐐 기절제를 하였다. 환자는 3년전에 좌측 둔부에 종괴가 있어서 제거후 병리조직검사에서 악성 섬유성 조직구 종으로 진단받고 35일간 4500 rad의 방사선치료를 받았었다. 병리조직 講瀯\ulcorner폐로 전이된 악성 섬유성 조직 구종으로 진단되었다.

  • PDF

방사선 치료후 흉골에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흉골 전절제 및 흉벽 재건술 1례 보고-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in Sternum after Radiation Therapy -Total Sternectomy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A Case Report-)

  • 조유원;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115-119
    • /
    • 1996
  •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은 아주 드물며 일반적으로 예후가 나쁘다. 52세 남자환자가 6개월 전부터 발견된 흉골부위에 발생한 동통성의 종괴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환자는 5년전 식도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었다. 종괴는 절개생검상 흥골육종으로 진단되어 항암약물요법을 5회 시행하였으나, 종괴가 점점 커져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흥골을 덮고있는 피부와 늑연골을 포함하여 흥골 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이로 인한 결손부위는 자가늑골 이식, 양측 대흥근 근육판과 피부이식으로 흥벽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조직소견은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에 일치하였다. 수술후 경과는 순조로왔으며 36일째에 퇴원하였다.

  • PDF

흉벽에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례 보고 (Mal ignant Fibrous H istiocytoma of the Chest Wall -A Case Report-)

  • 김애중;구자홍;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72-476
    • /
    • 1996
  •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은 연부조직에 발생한 아주 드문 육종이며, 다각적 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조기에 국소적 재발 및 원발성 전이를 일으키는 매우 악성도가 높은 질 환으로특히 흉부외과 영역에서의 보고는 매우 드물다. 최근 전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좌측 흉벽에서 기 원하여 폐까지 침범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을 가진 37세 남자환자를 치험 하였다 심하게 유착된 종괴와 제 1,제2, 제3 늑골과 종양이 침범된 좌상엽을 한덩 어 리로 적출하고 결손된 흉벽 에는 marlex mesh를 이용하여 흉벽재건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술후 방사선 및 항암요법에도 불구하고 술후 12개월내에 국소적 재발 및 원발성 전이를 보였다.

  • PDF

상악에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의 동주화학요법 (INTRAARTERIAL CHEMOTHERAPY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MFH) IN THE MAXILLA : A CLINICAL CASE)

  • 김용각;이태희;김철;김성진;김혁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2호
    • /
    • pp.136-142
    • /
    • 2004
  •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MFH) is the malignant part of mesenchymal cell-originated tumor, which is supposed that the tumor is presented various histologic features consisted of fibrosarcomatic and histiocytic portions. When the tumor is arisen in the head and neck region, the most affected sites are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and secondly the maxillary alveolar bone is occasionally influenced. Therefore, MFH can readily involve the adjacent alveolar bone. The treatment of MFH in the head and neck is various, that is, the involved sites and the differentiation of tumor must be considered when the tumor is treated. The treatment protocols are subjected to general ones of soft tissue sarcoma, and simple or combination therapy is used in the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So, we report a clinical case of chemotherapy involving intraarterial chemotherapy, and surgery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MFH) in the maxilla,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Angiomatoid Fibrous Histiocytoma : A Case Report

  • Choi, Joon-Hyuk;Sung, Woo-Jung;Lee, Nam-Hyu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315-321
    • /
    • 2007
  • 혈관종성섬유조직구종은 드문 연조직 종양으로 소아와 청소년기에 주로 발생한다. 호발부위는 팔다리, 몸통, 머리와 목 등이다. 저자들은 등에 발생한 혈관종성섬유조직구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11세 남자가 등의 덩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등의 피하조직에 경계가 좋은 덩이가 관찰되었다. 덩이에 대한 절제가 시행되었다. 절제된 덩이는 $4.0{\times}3.6{\times}3.0cm$ 크기의 회백색을 띠었고, 장액과 혈액덩이로 차있는 낭성공간이 보였다. 조직학적으로 종괴는 섬유성 거짓피막으로 둘러 싸여 있었고 여기에 만성염증세포 침윤이 동반되어 있었다. 종양세포는 방추형 혹은 난원형이고 결절성 증식을 하고 있었고, 혈액으로 차여진 혈관성 공간이 관찰되었다.

  • PDF

상악골에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례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of the Maxilla: A Case Report)

  • 송승용;김용욱;박병윤;탁관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3호
    • /
    • pp.388-391
    • /
    • 2007
  • Purpose: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MFH) is mainly a soft tissue sarcoma containing fibroblast-like cells and histiocytic cells. MFH in bone accounts for 5% of all malignant bone tumors. MFH of the maxilla is extremely rare and difficult to diagnose due to its scarcity. Treatment mainstay is a complete surgical excision. Radiation therapy is also available when surgery alone is incomplete. Prognosis is not clear but can be devastating. Authors report one case of MFH developed in the maxilla. Methods: A 24-year-old man firstly diagnosed as fibrous dysplasia based on CT findings. Considering facial contour, partial excision was done. But pathology report confirmed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and secondary wide excision was done including zygoma and grossly all affected area. After surgery, radiation therapy was continued. Results: There are no evidence of tumor recurrence after clinical and radiological treatment. Conclusion: MFH of maxilla is very rare and this can leads to misdiagnosis in many clinicians. Surgeon should differentiate this disease from fibrous dysplasia and pathology and MRI are accurate methods for diagnosis of MFH.

후두에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A Case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of the Larynx)

  • 구용철;황치상;김기정;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9-161
    • /
    • 2011
  •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is one of the rare types of larynx tumor. The most common sites of the tumor are limbs, trunk, and retroperitoneal space, but tumor localization within head and neck are very rare. It is built of histiocytes, fibroblasts and multinuclear giant cells. A diagnosis of the tumor includes microscopic and immunohistologic examination with identification of specific tissue markers and intermediate filaments of proteins. This disease has been treated by several methods combining radical surgery,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but the prognosis is poor. We present 74-year-old Asian man with dysphonia for 2 years. The tumor of the larynx was examined on laryngoscopy. The radical surgery rendered the final pathological diagnosis, confirmed histologically and immunohistochemically as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This tumor was treated with laser cordectomy followed by radiotherapy. 3.5 year's observation of the patient didn't either show any signs of recurrence or dysphonia.

  • PDF

슬개하 지방체에 발생한 조직구종 (Histiocytoma of the Infarapatellar Fat Pad)

  • 최중근;김숙;김병흠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3-47
    • /
    • 2002
  • 슬관절에서의 양성 섬유성 조직구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가장 호발하는 부위는 수지 및 완관절과 족지 및 족관절의 건초나 활액막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조직학적으로 병변의 위치에 관계없이 유사한 소견을 보이고 대부분은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관절운동 제한, 동통 등의 동반증상이 발생하며 치료는 절제술만으로도 충분하다. 저자들은 슬개하 지방체와 활액막 사이에 발생한 양성 섬유성 조직구종의 1례를 치료 경험하게되어 진단적 관절경 검사 시행 후 변연부 절제수술을 시행하여 병변을 치유하였다. 수술 후 24개월의 추적 관찰상 재발은 없었으며 또한 슬관절 기능도 만족할만 하였다.

  • PDF

측두하와에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성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in the Infratemporal Fossa)

  • 이경희;허민석;이삼선;최순철
    • 치과방사선
    • /
    • 제29권2호
    • /
    • pp.533-547
    • /
    • 1999
  •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soft tissue sarcomas in late adult life. but its incidence in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is extremely rare. We report a case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which occurred in the infratemporal fossa. Conventional radiograph of this case showed an ill-defined radiolucent lesion in the alveolar bone of the right maxillary first molar area. the lateral wall of the maxillary sinus. and the ascending ramus of mandible. MRI demonstrated a well defined mass of intermediate signal intensitiy in Tl weighted images but T2 weighted images showed two distinctive region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Upper portion of the lesion was of hyperintense signal but (at) lower portion, the signal intensity decreased clearly, which might mean that this lesion(mass) is composed of two different subtypes though it couldn't be confirmed b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Biopsy was taken the lesion as only in the soft tissue of the maxillary posterior alveolar region and confirmed the storiform-pleomorphic type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Histopathological subtype was well consistent with the relatively aggressive imaging findings of that region. We expect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nature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with improvement of the imaging modality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agnostic imaging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