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lly soil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한 연구 -III. 신개간지(新開墾地) 토양에서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 및 개량제시용이 질소고정(窒素固定)과 대두수량에 미치는 효과 (Studies on Symbiotic Nitrogen Fixation in Soybeans -III. Effects of Soil Improvement on N2 Fixation and Yield of Soybean Inoculated with Rhizobium japonicum in Newly Reclaimed Upland Soil)

  • 류진창;이상규;이혁호;홍종운;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8-194
    • /
    • 1983
  • 토양비옥도가 극(極)히 낮은 신개간지(新開墾地)에 있어서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 및 비료(肥料)와 개량제 시용(施用)이 질소고정(窒素固定)과 대두수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자 pot시험(試驗)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두(大豆) 근류(根瘤)에 의(依)한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과 비료(肥料) 및 개량제 시용(施用)으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2.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질소흡수량 및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을 높여 콩수량을 4~10% 증대시켰다. 3. 콩 다수확재배기술체계 확립(確立)을 위하여 토양비옥도가 극(極)히 낮은 신개간지(新開墾地)에서는 개량제의 시용(施用)과 근류균(根瘤菌)과 접종(接種)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oil Erosion Assessment Using RS/GIS for Watershed Management in Dukchun River Basin, a Tributary of Namgang and Jinyang Lake

  • Cho Byung Jin;Yu Chan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7호
    • /
    • pp.3-12
    • /
    • 2004
  • The need to predict the rate of soil erosion, both under existing conditions and those expected to occur following soil conservation practice, has been l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models. In this study Morgan model especially developed for field-sized areas on hill slopes was applied to assess the rate of soil erosion using RS/GIS environment in the Dukchun river basin, one of two tributaries flowing into Jinyang lake. In order to run the model, land cover mapping was made by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with Landsat TM satellite image data, the digital soil map was generated from scanning and screen digitizing from the hard copy of soil maps, digital elevation map (DEM) in order to generate the slope map was made by the digital map (DM) produc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Almost all model parameters were generated to the multiple raster data layers, and the map calculation was made by the raster based GIS software, IL WIS which was developed by ITC, the Netherlands. Model results show that the annual soil loss rates are 5.2, 18.4, 30.3, 58.2 and 60.2 ton/ha/year in forest, paddy fields, built-up area, bare soil, and upland fields respectively. The estimated rates seemed to be high under the normal climatic conditions because of exaggerated land slopes due to DEM generation using 100 m contour interval. However, the results were worthwhile to estimate soil loss in hilly areas and the more precise result could be expected when the more accurate slope data is available.

토양(土壤)의 생산력증진을 위(爲)한 용성인비(鎔成燐肥)의 효과적인 시용법에(施用法) 관(關)하여 (A Study on the Efficient Use of Fused Phosphate for the Improvement of Upland Soil Productivity)

  • 오왕근;한동욱;이중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3-57
    • /
    • 1972
  • 우리나라 야산(野山)에 널리 발달(發達)된 척박(瘠薄)한 적황색(赤黃色) 토양(土壤)의 인산비옥도(燐酸肥沃度)를 증진(增進)시키는데 미치는 용성인비(熔成燐肥)의 효과를 밝히고저 일개(一個)의 야산(野山) 토양(土壤)을 비옥(肥沃)한 숙전토양(熟田土壤)과 比較(비교) 시험(試驗)(분재배시험(盆栽培試驗))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파종(播種)에 앞서서 시비(施肥)하는 표준량(標準量)의 인산외(燐酸外)에 다량(多量)의 용성인비(熔成燐肥)를 토양전체(土壤全體)에 혼합(混合)하는 일은 산성(酸性)의 척박(瘠薄)한 토양(土壤)을 비옥(肥沃)하게 (유효인산면에서)하여 배추의 수량(收量)을 크게 증가(增加)시켰으며 척박(瘠薄)한 야산토양(野山土壤)의 숙전화(熟田化)도 빨리 되게 할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용성인비(熔成燐肥)의 이런 효과는 장기간(長期間)에 걸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통(通)하여 경제적(經濟的)으로도 검토(檢討)되어 할것으로 여겨진다. 2.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묽은 산(酸)에 녹는 인산량(燐酸量)과 배추의 생육양간(生育量間)에는 비교적(比較的) 밀접(密接)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다.

  • PDF

신개간지(新開墾地) 사질토(砂質土)에서의 콩, 보리에 대한 인산(燐酸) 전면살포(全面撒布)와 파조시용(播條施用)의 효과 (Differences in Soybean and Barley Yields by Broadcast and Band Application of Phosphorus on a Newly Reclaimed Hilly Land)

  • 박양호;류인수;김영우;허범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2-177
    • /
    • 1982
  • 신개간지(新開墾地)인 삼각사양토(三角砂壤土)에서 인산(燐酸)의 전면살포(全面撒布)와 파조시용(播條施用)의 콩 보리에 대한 효과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76년부터 1979년까지 6작(作)에 걸쳐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산시용방법(燐酸施用方法)은 콩 보리 공히 전면살포(全面撒布)가 파조시용(播條施用)보다 수량(收量)이 높은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2.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콩의 수량(收量)과의 관계식(關係式)에서 전면살포(全面撒布)는 220ppm, 파조시용(播條施用)은 200ppm에서 최고(最高)의 수량(收量)을 보였는데 이때의 수량(收量)은 각각 322kg/10a, 259kg/10a로서 인산(燐酸) 전면살포(全面撒布)의 수량(收量)이 높았다. 또 제1작에 용성인비(熔成燐肥)로 인산(燐酸) 38kg/10a, 그 후부터는 매작 6kg/10a을 전면살포(全面撒布)한 처리구에서 높은 수량(收量)을 얻었다. 3. 인산(燐酸)의 전면살포(全面撒布)는 뿌리의 수평분포(水平分布)를 많게 하였고 뿌리의 무게도 파조시용(播條施用)에 비하여 높았다.

  • PDF

산지개발(山地開發)의 경제성 (Economic Feasibility of Hill Land Development)

  • 김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83-295
    • /
    • 1979
  • 농업(農業)의 기대성장(期待成長)과 현실성장을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1953-77. 기간(期間)을 3단계(段階)로 구분하여 역사적접근법(歷史的接近法)을 시도(試圖)하였으며 농경지(農耕地)의 타목적전환과 전작물(田作物)의 수요(需要)를 전망(展望)하였다. 야산개발의 필요성(必要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는 농경지(農耕地)의 외연적확대가 가능(可能)한 가를 살펴보았으며 개간지(開墾地)의 작부유형(作付類型)을 분류(分類)하였다. 야산개발의 지역농업(地域農業)에 미친 효과로는 개간농가(開墾農家)의 경영규모확대와 경지규모별호수분포가 대농화경향(大農化傾向)을 보이는 것 같고 개간지(開墾地)의 지가가 기경지(旣耕地)보다 빠른 상승율(上昇率)을 보였다. 야산개발지의 생산성(生産性)은 6년차(年次)만 되면 기경지수준에 가깝게 되고 따라서 소득지수도 이와 유사(類似)한 경향(傾向)을 보이고 있다. 야산개발사업의 수익성은 다른 토지개발사업보다 높고 작목별(作目別)로 보면 식량작물(食糧作物)보다는 경제작물이 높고 단작(單作)보다는 이모작(二毛作)의 경우가 유리(有利)하게 나타났다.

  • PDF

신개간 및 기경작 초지토양간 목초의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 비교 III. 인산 사용에 따른 토양특성, 목초의 초기 생육, 수량 및 무기양분 함량 변화 (Comparisons of the Forage Productivity and Mineral Contents between the Newly Reclaimed and Arable Hilly Soils III. Changes in the soil properties, seedling vigour, yield, and mineral contents of forage by phosphorus application)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22
    • /
    • 2003
  • 동일한 토양종류(토양명: 송정통)에서 서로 인접한 신개간 및 기변작 초지토괴간 비파저 특성의 차이와 시비처리별 orchardgrass 목초의 초기생육상, 수양과 부기양분 함량의 차이를 비교 . 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금지토양의 비담도 개량과 크게 연관된 자비(I보), 석회(II보) 및 인산(III보)의 시용 효과를 단계별로 검토하였다. 본 III보에서는 질소, 가리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인산 무비구($P_{0}$; control), 2) 인산 보비구($P_1$; 1.25g), 3) 인산 배비구($P_2$; 2,50g), 4) 인산 다비구($P_3$; 3.75g $P_2$$O_{5}$ pot)를 처리 내용으로 한 두 토양간 인산의 비효를 비교.검토하였다. 1. 시험전 신개간 및 기경작 초지토양간 토양의 화학성(비담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초지토양 비담도 등금기준(불량-보통-양호)에 기준 한 각 화학성을 대비하여 보면 일반적으로 신개간 토양은 불량~보통, 기경작 초지토괴은 보통~양호 수준을 보였다. 2. 기경작 토양보다는 신개간 토양에서 인산시비량 증가에 따른 뮤효인산의 함량 증가가 뚜렷하였고, 이 특성은 기비와 병행 시비를 한경우 더 긍정적이였고, 석회와 병행 시비를 한경우는 오히려 부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기경작 토양에서논 신개간 토양에 비해서 인산 시비량 증가에 따른 유효인산 함량 증가폭이 경미하였고, 석광의 부정적 효과는 더 경감되었다. 3. 신개간 토양에서 연초의 초기생육상과 수양성은 기경작 토양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불량하였고, 특히 인산 무비구($P_{0}$ )에서는 목차의 정착과 수양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이는 인산 시비로 개선되었으나 시비된 수준간 차이는 경미하였다. 신개간 토양에서 철비와 병행 시비를 한 경우 이들 특성이 더 양호하였으며, 인산 무비구(P$_{0}$)의 불량한 초기생육상과 수양성은 크게 개선되었다. 반면에 기경작 토양에서는 인산 무비구($P_{0}$ /)에서도 이들 특성들이 양호하였으며 인산 시비수준간 차이는 경미하였다. 4. 기경작 토양은 신개간 토양보다 목초 중 무기양분 Ca, Mg 및 P 함량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그러나 K 함량은 두 토양간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획비와 병행 시용 한 경우 신개간 토양에서만 목초 중 Mg과 P 함량이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다.

Seasonal Dynamic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n Forest Trees of Chittagong University Campus in Bangladesh

  • Nandi, Rajasree;Mridha, M.A.U.;Bhuiyan, Md. Kalimuddi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3호
    • /
    • pp.277-284
    • /
    • 2014
  • Status of Arbuscular Mycorrhizal (AM) colonization in seven tree species (Albizia saman, Acacia auriculiformis A. Cunn. ex Benth., Albizia lebbeck, Chickrassia tabularis A. Juss., Eucalyptus camaldulensis Dehnn., Gmelina arborea (Roxb) DC, Swietenia macrophylla King.) collected from the hilly areas of Chittagong University (CU) was investigated. Roots and rhizospher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in different seasons (pre-monsoon, monsoon and post monsoon). Percentage of AM colonization in root and number of spores/100 gm dry soil were assessed.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reveals that the intensity and percentage of AM colonization varied in different forest tree species in different seasons. In this study, maximum AM colonization and spore population were found in pre-monsoon and minimum were in monsoon season. The intensity of colonization was maximum in C. tabularis (74.43%) in pre-monsoon, A. lebbeck (69.45%) in monsoon and S. macrophylla (67.8%) in post monsoon seasons and minimum in A. auriculiformis (53.75%) during pre-monsoon, A. saman (24.4%) in monsoon and A. saman (19.36%) in post monsoon. The number of spores found per 100 g dry soil ranged between 164-376 during pre-monsoon, 27-310 during monsoon and 194-299 in post monsoon season. Out of six recognized genera of AM fungi, Glomus, Sclerocystis, Entrophospora, Scutellospora, Acaulospora and other unidentified spores were observed.

Spatial Modeling of Erosion Prone Areas Using GIS -Focused on the Moyar Sub-Watershed of Western Ghats, India-

  • Malini, Ponnusamy;Park, Ki-Youn;Yoo, Hwan-Hee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9-64
    • /
    • 2008
  • 토양침식은 산악지역에서 산림조성에 중요한 문제를 일으키며 비옥한 토양을 침식시켜 식생의 성장을 저해시키며 인도에서 수집한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인도의 서부산맥 모야유역의 토양침식을 분석하였다. 주제도의 레이어로 산림, 지형경사, 배수 등에 대한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토양침식 지도분석에서 48%의 지역이 중간정도의 침식을 보였다. 또한 35%지역은 높은 침식을 보였으며 가장 높은 침식은 식생지역의 7%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토양침식 분석도는 유역에서의 토양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데 주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겉뿌림 산지초지에서 석회 및 3요소 시용수준이 10년후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III. 토심별 염기간 상호비율 및 가시적 토양보존의 특성변화 (Effects of Lime and NPK Application Rates on the Soil Charateristics after a 10-year Experiment in Oversown Hilly Pasture of Mixed Grass-Clover Sward III. Change in the mutural ratios of exchaegeable cations by the soil depth, and the visible characteristics of soil conservation)

  • 정연규;이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3-232
    • /
    • 1998
  • 곁뿌림 산지초지의 조성, 수량, 식생 및 목초품질 등에 미치는 3요소($N-P_2O_5-K_20$:0-0-0; 0-10-10; 6-15-15; 12-20-20; 24-25-20 kg/l0a/year)와 소석회 (0, 250kg/10a; 조성시만 시용)의 시용효과를 구명하는 10년간 시험후, 별도로 사심별 토괴의 화학성 등을 조사하였으며, 본보에서는 치환성 체기간 다양한 상호비율 및 사괴 보존성의 가시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1. 사괴비옥도 특성 및 grass tetany 임계수준과 연관하여, 치환성 고기관화비 Ca:Mg:K(% of CEC)와 Ca:Mg:K(K=I), $K/\sqrt{Ca+Mg}$, Mg/K, K/Mg 및 Ca/Mg 당량비를 처리별 및 사심별로 검토하였다. 시험전, 후 이들 비율은 대체로 불균형 및 부적합 하였으며, Mg 시용이 없는 석회 및 3요소 시비는 이틀 고기비를 더욱 부적합하게 하였다. 대체로 Mg>Ca>K 순으로 불량한 요인을 보였다. 2. 석회 시용은 Ca 관화비, Ca/Mg 및 Ca:K 당량비를 상승시켰고, $K/\sqrt{Ca+Mg}$ 당량비는 하락시 켰으나 적정비 수준에는 크게 미흡하였다. 3요소 수준에서 무비구 및 다비구(질소다비)는 소비구와 보비구에 비해 K 관화비 및 $K/\sqrt{Ca+Mg}$가 더 낮았다. 3. 사괴 보존성은 시비관리에 따른 수량성/식생율 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3요소 무시용구는 수량/ 식생의 불량으로 심한 침식(3등급), 심사의 노출, 척 갈색 사색, 석진의 노출(피복율 18.8%)을 보였다. 시복량의 중가에 따라 토양 보존성이 향상되었고, 3요소 보비구 및 다비구에서는 침식이 거의 없고(1등급), 지표면에 유기질/잔해물의 퇴척충이 형성되었으며, 표사는 암갈색을 띄었고, 석력의 지표 피복율은 모두 0.1% 이하로 거의 노출되지 않했다. 석회 시비로 인한 두과목초의 수량/식생의 양호는 토양 보존성을 증대시켰다.

  • PDF

우리나라 대표토양(代表土壤)의 반응(反應)(pH) 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Survey on the pH of Soils in Korea)

  • 황경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3-158
    • /
    • 1973
  • 우리나라 토양(土壤)의 반응(反應)(pH)에 대(對)하여 최근(最近) 설정(設定)된 160개(個) 토양통(土壤統)을 중심(中心)으로 토지이용(土地利用) 현황별(現況別) 퇴적양식별(堆積樣試別) pH와 pH 측정조건간(測定條件間)의 상관(相關)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대표(代表) 토양(土壤)들의 토지이용별(土地利用別) 표시토(表尸土)의 평균(平均) pH($H_2O$) 값은 답토양(畓土壤) $5.3{\pm}0.6$, 전토양(田土壤) $5.5{\pm}0.9$, 임야지(林野地) $5.4{\pm}0.5$, 초지(草地) $5.3{\pm}0.6$이였으며 전체(全體) 평균(平均)은 $5.4{\pm}0.7$이였다. 2. 상기(上記) pH값은 pH(KCl)값으로 답토양(畓土壤) $4.2{\pm}0.6$, 전토양(田土壤) $4.2{\pm}0.8$, 임야지(林野地) $4.0{\pm}0.6$, 초지(草地) $4.3{\pm}0.6$이며 전체(全體) 평균(平均)은 $4.2{\pm}0.6$이다. 3. 시위별(尸位別) pH값은 A시(尸)보다 B시(尸) C시(尸)으로 갈수록 높은 경향(傾向)을 보여주었다. 4. pH(field), pH($H_2O$) pH(KCl)간(間)에는 유의(有意)한 상관(相關)을 보여 주었으며 그 관계(關係)는 전(田), 초지(草地), 임야(林野), 답(畓)의 순(順)으로 현지(現地)에서 비색법(比色法)으로 측정(測定)하는 pH(field)값도 상당(相當)히 정확(正確)한 측정치(測定値)를 얻을 수 있었다. 5. 퇴적양식별(堆積樣式別) pH값은 표시토(表尸土)에 대(對)한 pH($H_2O$)에서 산악지(山岳地) 및 구릉지(丘陵地) 잔적(殘積)이 하해혼성충적이나 홍적(洪積)보다 높았고 pH(KCl)에서는 하해혼성충적이 산악(山岳) 및 구릉지(丘陵地) 보다 높아서 앞으로 토양(土壤) pH값의 대표(代表)는 pH(KCl)고 하는것이 합리적(合理的)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