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est and best use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1초

코오지를 이용한 속성 저식염 멸치젓의 맛 특성 (Studies on the Taste Properties in Processing of Accelerated Low Salt-Fermented Anchovy by adding koji)

  • 백승화;임미선;김동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8-403
    • /
    • 1996
  • 저식염 멸치젓을 속성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Asp. oryzae와 Bacillus sp. 코오지를 첨가하여 60일 숙성시킨 멸치젓의 정미 성분과 색도 및 기호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60일 숙성시킨 멸치젓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발린, 이소루신, 프롤린, 알아닌, 리신,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이었다. 코오지균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262mg%로 가장 높았고 함량은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았다. 멸치젓 숙성 후 비휘발성 유기산은 구연산과 젖산이 cd 비휘발성 유기산중 94.9~96.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유기산 함량은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아 Asp. oryzae 코오지에서 287.98mg%로 가장 높았다. 멸치젓의 색도는 숙성 중 a, b값은 나아지고 L값은 숙성 30~40일까지 낮아지나 이후 높아졌으며, a와 b값은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가, L값은 Bacillus sp.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았다. 60일 숙성시킨 멸치젓의 관능평가시 색과 맛은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 향은 Asp. oryzae와 Bacillus sp. 코오지 혼합구에서 양호하였으며 전체적인 관능치는 혼합구와 Asp. oryzae 코오지구에서 좋은 판정을 받았다.

  • PDF

Complete Biotransformation of Protopanaxatriol-Type Ginsenosides in Panax ginseng Leaf Extract to Aglycon Protopanaxatriol by β-Glycosidases from Dictyoglomus turgidum and Pyrococcus furiosus

  • Yang, Eun-Joo;Shin, Kyung-Chul;Lee, Dae Young;Oh, Deok-K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2호
    • /
    • pp.255-261
    • /
    • 2018
  • Aglycon protopanaxatriol (APPT) has valuable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memory enhancement and tumor inhibition. ${\beta}$-Glycosidase from the hyperthermophilic bacterium Dictyoglomus turgidum (DT-bgl) hydrolyzes the glucose residues linked to APPT, but not other glycoside residues. ${\beta}$-Glycosidase from the hyperthermophilic bacterium Pyrococcus furiosus (PF-bgl) hydrolyzes the outer sugar at C-6 but not the inner glucose at C-6 or the glucose at C-20. Thus, the combined use of DT-bgl and PF-bgl is expected to increase the biotransformation of PPT-type ginsenosides to APPT. We optimized the ratio of PF-bgl to DT-bgl, the concentrations of substrate and enzyme, and the reaction time to increase the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e and PPT-type ginsenosides in Panax ginseng leaf extract to APPT. DT-bgl combined with PF-bgl converted 1.0 mg/ml PPT-type ginsenosides in ginseng leaf extract to 0.58 mg/ml APPT without other ginsenosides, with a molar conversion of 100%. We achieved the complete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e and PPT-type ginsenosides in ginseng leaf extract to APPT by the combined use of two ${\beta}$-glycosidases, suggesting that discarded ginseng leaves can be used as a source of the valuable ginsenoside APPT.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quantitative production of APPT using ginsenoside Re, and we report the highest concentration and productivity of APPT from ginseng extract to date.

한국 섬유기업의 스마트섬유 개발 동향 - 대구경북지역 업체를 대상으로 - (Examination of Development State of Smart Fiber in Korean Textile Industry - Focused on Companies in Daegu/North Gyeongsang Province -)

  • 유화숙;박광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262-127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trend of smart fiber by textile companies in Daegu/North Gyeongsang Province. This examination includes the development fields of smart fiber, investment size, information sources and the use degree of those, research-related infrastructur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characteristics and their interests in smart fiber.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a survey.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4 areas and 12 development products) of smart fiber followed ones of Smart Fiber Technology Roadmap by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1.0 program for frequency, means, t-test, and $X^2$-test. Among respondents, the numbers of dying and finish companies and export traders were the highest. It revealed that 19.6% of companies were developing smart fibers. Within 12 development products, vapor permeable/waterproof fiber showed to be most being developed, while medical fiber for human has not been developed and wasn't made an investment plan for developing. It was discovered that the biggest problem of smart fiber development was the lack of experts and the best outcome of smart fiber development was preoccupation of future market. It showed that companies got information from textile fairs but didn't often use information sources. The companies appeared to have a weak intention about research of smart fiber. The more important a company considered functionality of textile products and the more innovative and stabler the company was, the higher interest in smart fiber companies had. It was concluded that textile companies in Daegu/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mart fiber development but they were not strongly interested in it and not enthusiastic in taking action on it.

The effects of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on early growth of milkweed (Calotropis procera L.) under drought stress

  • Taghvaei, Mansour;Kordestani, Mojtaba Dolat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4호
    • /
    • pp.343-349
    • /
    • 2012
  • The use of growth medium is often recommended milkweed seedlings to grow and develop after emergence, and it is affected by growth medium and local habitat conditions. The effects of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on early growth of milkweed under drought stress (Calotropis procera L.) were studied in a field experiment. A split-split plot experimental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was carried out in the nursery. The main treatment plot was divided into two levels of shade; (no shading and partial shading). Sub treatment plot1 included growth medium at four levels (G1 = clay [suitable for milkweed growth], G2 = clay + sand, G3 = clay + perlite, G4 = clay + perlite + sand) and sub treatment plot2 included drought (irrigation intervals) at six levels (D1 = 2 [control], D2 = 4, D3 = 6, D4 = 8, D5 = 10, and D6 = 12 days per for three month). The results showed that drought stress significantly decreased emergence percentage, shoot length, shoot dry weight (SDW1), root dry weight (RDW), seedling dry weight (SDW2) and vigor index (VI). The use of growth medium increased all seedling characteristics. The G3 (clay + perlite) growth medium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especially in terms of emergence percentage and seedling dry weight. Partial shade improved shoot length, shoot dry weight, and vigor index. Our results showed that the best treatment for high-vigor milkweed seedlings under drought stress was G3 (clay + perlite)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Microwave oven을 이용한 엿 제조방법 및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ipe and the Characteristic of Yeots by Microwave Oven)

  • 김태홍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5-61
    • /
    • 1985
  • 엿의 간편하고 과학적인 제조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옛 문헌을 참고로 하고 예비실험을 통하여 엿 제조가 가능한 곡류, 엿 재료의 배합비 및 전자렌지를 이용한 엿의 적합한 제조조건을 결정하였다. 엿의 적합한 제조조건으로 제조된 각종 엿의 특성을 관능검사와 Rheometer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본 실험에 의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자렌지를 이용한 엿의 적합한 제조조건은 곡류 380g에 물 320ml를 넣고 1시간 30분동안 보온밥통내에서($60^{\circ}C$) 당화시켜 걸른 후 전자렌지내에서 찹쌀엿, 쌀엿, 조엿은 $120^{\circ}C$까지 가열하였다. 2. 당도계로 측정한 각 재료의 당화전의 당도는 11%로 모두 같았고 당화후의 당도는 각 재료간에 유의차가 있었으며(P<0.05) 찹쌀, 쌀당화액의 당도가 각각 28.8%, 28.2%로 가장 높았고 옥수수 당화액이 17.7%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각 당화액을 가열, 농축시킨 후 각 엿의 당도는 각 엿간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찹쌀엿이 86%로 가장 높고 옥수수엿이 82.7%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3. pH meter로 측정한 각 재료의 당화전의 pH는 4.4로 모두 같았고 당화후의 pH는 각 재료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수수당화액이 4.7로 가장 높고 옥수수당화액이 4.3으로 가장 낮았다. 4. 관능검사에 의한 엿의 특성에 대한 평가에서 가장 바람직한 엿으로 평가를 받은 것은 찹쌀엿이었고 다음은 쌀엿, 조엿, 수수엿, 옥수수엿 순이었으며 찹쌀엿과 쌀엿간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또한 조엿, 수수엿, 옥수수엿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았고 이들은 찹쌀엿, 쌀엿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Rheometer에 의한 Texture 측정 결과 거의 같은 정도의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므로 찹쌀엿은 쌀엿으로 대체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조엿, 수수엿, 옥수수엿은 엿제조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엿의 품질에 있어서는 찹쌀엿, 쌀엿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찹쌀엿, 수수엿 및 쌀엿이 주로 제조 , 이용되고 있는 경향인데 비용이 적게 들며 우수한 엿으로 평가된 쌀엿을 제조, 이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Nano-Encapsulation of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and Their Metabolites Using Alginate-Silica Nanoparticles and Carbon Nanotube Improves UCB1 Pistachio Micropropagation

  • Pour, Mojde Moradi;Saberi-Riseh, Roohallah;Mohammadinejad, Reza;Hosseini, Ahmad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7호
    • /
    • pp.1096-1103
    • /
    • 2019
  • UCB-1 is the commercial rootstock of pistachio. Reproduction of this rootstock by tissue culture is limited by low levels of proliferation rate. Therefore, any compound that improves the proliferation rate and the quality of the shoots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commercial reproduction of this rootstock. Use of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is one of the best ideas. Given the beneficial effects of nanoparticles in enhancement of the growth in plant tissue cultur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noencapsulation of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using silica nanoparticles and carbon nanotubes) and their metabolites in improving UCB1 pistachio micropropag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Before planting, treatments on the DKW medium were add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Pseudomonas fluorescens VUPF5 and Bacillus subtilis VRU1 nanocapsules significantly enhanced the root length and proliferation. The nanoformulation of the VUPF5 metabolite led to the highest root length (6.26 cm) and the largest shoot (3.34 cm). Inoculation of explants with the formulation of the metabolites (both bacterial strains) significantly elevated the average shoot length and the fresh weight of plant compared to the control. The explants were dried completely using both bacterial strains directly and with capsule coating after the three days.

구아바 잎 분말 첨가가 양념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uava Leaf Powder on the Quality of Seasoned Pork)

  • 박영미;한병렬;김영중;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2
    • /
    • 2013
  • 본 연구는 저지방 양념 돈육에 구아바 잎 분말을 첨가하여 천연 연육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첨가량을 찾아보고자 양념 돈육의 수분, pH, 색도, 기계적 품질 특성, 관능적 특성(정량적 묘사분석, 기호도 검사)을 측정하였다. 수분은 가열육의 경우 생육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구아바 첨가량 1% 첨가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는 생육은 1%, 1.5%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구운 고기에서는 대조군, 1%, 2%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생육과 구운 고기의 명도는 1% 첨가 군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b값의 황색도는 높아졌지만 a값의 적색도는 낮아짐을 확인했다. 텍스처 특성에서 탄력성은 1% 첨가 군에서 가장 높았고, 그 밖의 씹힘성, 경도, 검성은 1%와 1.5%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이며 첨가율 증가에 따른 연육효과를 확인했다. 정량적 묘사분석에서 갈색은 구아바 잎 분말 첨가율의 증가에 따라 갈색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고기 누린내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구아바 잎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누린내가 약하게 나타났다. 구수한 향미, 연도와 다즙성, 쫄깃한 정도에서는 모두 구아바 잎 분말 1.5%첨가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된 시료는 구아바 잎 분말 첨가 1.5%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아바 잎 분말 1.5% 첨가했을 때 가장 높은 효과와 기호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향후 돈육의 소비불균형의 해결과 기능성 재료로서의 연육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of age-related trends digital radiographs of medial clavicle in a Thai population: a preliminary study

  • Phisamon Kengkard;Jirachaya Choovuthayakorn;Chollada Mahakkanukrauh;Nadee Chitapanarux;Pittayarat Intasuwan;Yanumart Malatong;Apichat Sinthubua;Patison Palee;Sakarat Na Lampang;Pasuk Mahakkanukrauh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6권1호
    • /
    • pp.86-93
    • /
    • 2023
  • Age at death estimation has always been a crucial yet challenging part of identification process in forensic field. The use of human skeletons have long been explored using the principle of macro and micro-architecture change in correlation with increasing age. The clavicle is recommended as the best candidate for accurate age estimation because of its accessibility, time to maturation and minimal effect from weight. Our study applies pre-train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n order to achieve the most accurate and cost effective age estimation model using clavicular bone. The total of 988 clavicles of Thai population with known age and sex were radiographed using Kodak 9000 Extra-oral Imaging System. The radiographs then went through preprocessing protocol which include region of interest selection and quality assessment. Additional samples were generated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The total clavicular images used in this study were 3,999 which were then separated into training and test set, and the test set were subsequently categorized into 7 age groups. GoogLeNet was modified at two layers and fine tuned the parameters. The highest validation accuracy was 89.02% but the test set achieved only 30% accuracy. Our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medial clavicular radiographs has a potential in the field of age at death estimation, thus,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한국산 작약의 산지별 유효성분 비교 (Comparison of Effective Constituents of Korean Paeony Roots(Paeoniae radix)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 성원용;윤광로;장상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97-302
    • /
    • 2000
  • 백작약 및 적작약의 주산지로 알려져 있는 경북 의성지역 외 5개 지역에서 1999년에 재배된 작약뿌리를 현지에서 수집하여, 산지별로 작약의 지표물질로 알려진 paeoniflorin, albiflor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국내산 작약의 재배 지역별 paeoniflorin 함량은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백작약 2.06%로 가장 높았다. 산지별로는 경기도 광주지역의 적작약 1.52%이었으며, 전라북도 임실 지역에서 재배된 적작약이 1.33%로 가장 낮았다. Albiflorin의 함량은 경상북도 울진 지역의 적작약에서 2.0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낮은 지역은 적작약에서 2.0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낮은 지역은 경상북도 의성 지역과 전라북도 임실 지역의 적작약이 0.05%와 0.06%이었다. Benzoic acid의 함량은 경상북도 청도 지역에서 0.12%로 가장 높았으며, 경상북도 울진 지역이 0.0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aeoniflorin, albiflor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은 유사한 비례적인 상호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경상북도 울진 지역의 1년근 적작약의 paeoniflorin 함량에 대한 albiflorin 함량의 비율은 타 지역과 달리 1.60 및 1.77로서 paeoniflorin에 비하여 albiflorin의 함량이 더 많았다.

  • PDF

풍력발전기 모델링 및 리미트 MPPT제어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a Limit MPPT Controller for the Modelling of a Wind Power Generator)

  • 강주성;고강훈;최광주;박재윤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3-59
    • /
    • 2007
  • 현재 화석연료에만 의존하는 에너지 시장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연료전지, 풍력, 태양광 등)를 복합적으로 활용한 분산전원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풍력 발전시스템은 발전효율, 가격 측면 등에 있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풍력발전시스템의 경우 난류가 되기 쉽고, 풍향이나 풍속이 수십초의 간격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바람의 에너지를 최대한 이용하는 최대전력점추종(MPPT)제어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풍속과 풍차, 전력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전방식보다 간단한 MPPT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제어기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정격속도와 가변속도에서 항상 전력의 최대전력점에서 제어기가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