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tide

검색결과 463건 처리시간 0.029초

GOCI와 Landsat OLI 영상 융합을 통한 적조 탐지 (Red Tide Detection through Image Fusion of GOCI and Landsat OLI)

  • 신지선;김근용;민지은;유주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2_2호
    • /
    • pp.377-391
    • /
    • 2018
  • 광역범위에 대한 적조의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위하여 원격탐사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다양한 센서 중 해색 센서만을 위한 적조 탐지 알고리즘 개발에만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기반 적조 모니터링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는 탁도가 높은 연안역의 적조 탐지와 원격탐사 자료의 부정확성을 개선하고자 다중센서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립수산과학원 적조속보 정보를 바탕으로 적조 발생해역을 선정하였고, 해색 센서인 GOCI 영상과 육상 센서인 Landsat OLI 영상을 이용하여 공간적인 융합과 분광기반 융합을 시도하였다. 두 영상의 공간 융합을 통하여, GOCI 영상에서 관측 불가능하였던 연안지역의 적조와 Landsat OLI 영상의 품질이 낮았던 외해역의 적조 모두 개선된 탐지결과 획득 가능하였다. Feature-level과 rawdata-level로 나누어 진행된 분광 융합 결과, 두 방법에서 도출된 적조 분포 양상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feature-level 방법에서는 영상의 공간해상도가 낮을수록 적조 면적이 과대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Linear spectral unmixing 방법으로 픽셀을 세분화한 결과, 적조 비율이 낮은 픽셀의 수가 많을수록 적조 면적의 차이는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awdata-level의 경우Gram-Schmidt가 PC spectral sharpening 기법보다 다소 넓은 면적이 추정되었지만,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색 센서와 육상 센서의 공간 융합을 통해 외해뿐만 아니라 탁도가 높은 연안의 적조 역시 탐지가 가능함을 보여주었고, 다양한 분광 융합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적조 면적 추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한반도 주변의 적조를 더욱 정확하게 탐지하고, 적조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대응대책 수립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확한 적조 면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opulation Structure and Reproduction of Padina concrescens Thivy(Dictyotales: Phaeophyta) in Southwest Baja California Peninsula, Mexico

  • Rafael, Riosmena-Rodriguez;Consuelo, Ortuno-Aginrre
    • ALGAE
    • /
    • 제24권1호
    • /
    • pp.31-38
    • /
    • 2009
  • The brown algae padina concrescens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northwestern Pacific Mexico. We described the population of P. concrescens based on population parameters such as cover, density and size structure and reproduc-tion at two levels tide at the intertidal area in the southwestern Baja. California Peninsula. Monthly visits from January to December 2003 were done. Both cover and density were measured in situ by quadrants method. Samples were collected to obtain size structure and percentage of reproductive fronds. Our results show there is sparial vari-ation in the population structure more than temporal. Thus, cover and density peak were at different months ineach tide level studied, the lower tide level shows the high values in cover as well as density. The frond develop-ment was observed in height/width ratio this relation was consistent only in the low tidal zone. Size class distribu-tion has consistently small size plants in both tide levels.Reproduction was seasonal in the tide channel but in both tide levels all the reproductive plants were tetrasporophyte. Our results suggest that this population is pseudopere-nial and it strongly as a consequence of the intense competition in the intertidal zone.

Effect of the Freshwater Discharge on Seawater and Sediment Environment in a Coastal Area in Goheung County, South Korea

  • Nguyen, Hoang Lam;Jang, Min-Seok;Cho, Hyeon-Seo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0-276
    • /
    • 2014
  • Seas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sediment qualities and potential effects of the freshwater discharge from a small tide embankment interior in a coastal area in Goheung county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September in 2012. Chemical oxygen demand values (COD) were mostly higher than 2 mg/L in summer ebb tide, which exceed the standard value of water quality criteria II of acceptable level for aquaculture activities.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found as the limiting nutrients for algae growth in summer and fall and in spring, respectively. Nitrogen was the limiting nutrient for diatom growth in the whole studied period. The sudden high values of COD, ammonia,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were found in water sample collected from station 5 which located in front of the tide embankment sluice gate during spring ebb tide. The freshwater discharge form the tide embankment interior maybe affected the survey areas during a short time interval. Mean values of eutrophication index of the surveyed coastal region in spring, summer and fall were all bigger than 1. Water quality was mostly considered at level II which acceptable for aquaculture activities. Sediment quality in this study was generally in the range of standard for fisheries environment.

현장입도분석기를 이용한 섬진강하구 부유퇴적물의 특성 연구 (In situ Particle Size and Volum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ediment in Seomjin River Estuary, Determined by an Optical Instrument,'LISST-100')

  • 김석윤;이병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3-329
    • /
    • 2004
  • In situ particle size and volum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ediment was measured at the mouth of Seomjin River Estuary In February 2001, using an optical instrument, 'LISST-100'. Time variation of in situ particle size and concentration shows: (1) during ebb tide, Seomjin River supplies relatively fine-grained particles with less-fluctuated, compared to during flood tide, and well-behaved concentrations following the tidal cycle; and (2) during flood tide, relatively coarse-grained particles with highly variable in size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flow upstream from Kwangyang Bay. This explains a poor correlation $(r^{2}=0.10)$ between sediment concentration and beam attenuation coefficient during flood an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r^{2}=0.80)$ during ebb tide. Relatively fine grained and well defined, monotonous size distribution may promote the correlation between concentration and beam attenuation coefficient due to optical homogeneity of particles during ebb tide. Abundance of large aggregates with time-varying size and shape distributions may be mainly responsible for variations in optical properties of the sediment during flood tide, and thus may con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difference in particle sizes and shapes between flood and ebb tides can also be observed on SEM images.

낙동강 하구의 조석과 유동 (Tide And Tidal Current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 유청노;장선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1-77
    • /
    • 1979
  • 낙동강은 유역이 약 2.4 $10^{4}$$\textrm{km}^2$ 이고 길이가 525km에 달하는 대하천으로 농업, 공업, 생활용수 등 영남지방의 용수 공급원으로서 중요하다. 최근에는 하구역 에서 천해어장, 홍수대책, 하도개수, 간척, 매립 등 다양한 이용개발이 계획 또는 실시 되고 있다. 따라서 이 하구역의 효육적 이용과 관리를 위하여는 하구수의 유동을 지배하는 요인인 하천조석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가 불가결하다.

  • PDF

Screening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Heterosigma akashiwo, a Red-Tide Causing Organism, Induced by Exposure to High Light

  • Ko, Young-Seok;Cho, Kyung-Je;Moon, Byoung-Yong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8권3_4호
    • /
    • pp.93-97
    • /
    • 2001
  • Heterosigma akashiwo has been reported as red-tide causing phytoplankton in the Korean coastal area during summer when they are exposed to high light. It also shows photosynthetic adaptability to strong light during culture in the laboratory.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s, we tried to find out some genes specifically expressed in Heterosimga akashiwo during exposure to high light, assuming that they might have some resistant mechanisms associated with light adaptation.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DD-PCR to detect differentially expressed mRNAs from cells that had been illuminated under high light for 3 days. We found eight cDNA clones that had been expressed specificically for high light. When they were further screened by reverse Northern hybridization, three of them were identified to be positive cDNA clones. When these cDNA fragments were subjected to DNA sequencing and then their base sequences were compared to GenBank database, one of them showed sequence homology 86% identical to the partial sequence of 16S rRNA gene of eubacterium CRO-18.

  • PDF

만조와 간조시 마산만 수질의 농도차 발생 특성의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Difference Occurring between High Tide and Low Tide in Masan Bay)

  • 유영진;김성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2-113
    • /
    • 2019
  • 조석에 따른 마산만의 수질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6년 초여름(6월)과 여름(7, 8월)의 대조기 1 조석주기 내의 만조와 간조시에 6개의 조사정점에서 slack-tide sampling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모든 수질성분들의 혼합 상태는 SAL과의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잘 설명되고 있다. 초여름과 여름철 공통적으로 하천수 유입 물질인 TURB, DSi, NNN은 주로 보존성 혼합을, 내부증감 물질인 SS, COD, AMN, $H_2S$는 주로 비보존성 혼합을 나타내었다. 보존성 혼합은 만조와 간조의 수질 사이에 좋은 선형 관계를 나타내었고, 비보존성 혼합은 양자가 각기 다른 변동 양상을 나타내었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만조와 간조의 농도차의 시공간적 변화에 주요한 잠재변수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여름의 경우는 갈수기로서 외부유입 물질(allochthonous inputs)이 적으므로 농도차 변화에 주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오염원이 없이 조석, 유역으로부터 자연유입, 내부증감 등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4개의 요인(VF1~4)에 고루 분포되어 나타났다. 반면에 여름철의 경우는 하천수의 영향을 받는 ST-1에서 큰 농도차를 나타내는 지표들은 VF1 요인에 집중적으로 포함되어 나타났고, 그 밖에 내부 증감을 나타내는 지표들로 극명히 구분되어 나타났다. 실제로 항상 안정된 상태의 하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Flushing time의 변화 등에 의하여 혼합양상은 항상 변할 수 있고, 여기에 내부증감으로 end-members의 조건이 변함에 따라 농도차의 발생은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하구의 수질을 조사할 때 평균적인 수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시료 채취 방법을 항상 강구할 필요가 있다.

서해 연안에서 조석특성의 경년변화 (Inter-annual Variation of Tides on the Western Coasts of Korea)

  • 정태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81-91
    • /
    • 2016
  • 서해 연안해역에서 국립해양조사원이 관측한 기왕의 조위자료를 분석하여 조석 조화상수를 산출하고, 조화상수와 비조화상수의 변화추세와 원인을 고찰하였다. 전반적으로 반일주조의 진폭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나 위상은 빨라졌으며, 일주조의 진폭과 위상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내만에 위치한 목포에서는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로 인해서 반일주조의 진폭은 크게 증가하고, 위상은 크게 빨라졌다. 전반적으로 일주조의 진폭과 위상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목포에서만 위상이 뚜렷하게 빨라졌다. 대조기 조석간만의 차는 목포를 제외하고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목포에서는 조석확폭 현상으로 조차가 증가하고, 간사지의 폭이 넓어졌다. 약최고고조위는 전반적으로 과거에 비해서 상승하여 서해 연안에서 범람으로 인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었다. 약최고고조위와 약최저저조위의 변화는 평균해수면 상승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연근해 양식장 주변 적조 모니터링을 위한 무인항공영상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image application red tide monitoring on the aquaculture fields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Korea)

  • 오승열;김대현;윤홍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7-96
    • /
    • 2016
  • 매년 여름 우리나라 양식업에 피해를 입히는 적조를 탐지하기 위한 연구는 대부분 인공위성을 이용하였으나 양식장에 대한 정보는 인공위성으로 산출하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연안촬영과 그 산출물을 이용하여 적조를 탐지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높은 해상도를 가진 무인항공영상을 획득 할 수 있었으며 색상을 이용한 무감독 분류와 가시광영역의 세 가지 분광밴드를 이용한 단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조를 탐지하였다. 기존의 천연색 영상에 비하여 시각적으로 명확한 해수색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적조의 해수면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양식장이 설치되어 있는 연안에서 더욱 정확한 적조의 분포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석에 따른 영산강 하구의 물리적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 소조기 (Tidal Influence on Physic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in Youngsan River Estuary during Neap Tide)

  • 박건우;이다혜;신용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5-334
    • /
    • 2017
  •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hysic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caused by tides, a fixed station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was monitored at 2-h intervals, on April 28, 2012 and August 12, 2012. No clear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changes and tidal levels in April. However, in August, temperature decreased during the ebb tide and increased during the flood tide, while salinity showed the opposite trend. In addition, there was no specific change in the phytoplankton biomass corresponding to tidal levels in April. In August, the total chlorophyll a and the biomass of net phytoplankton (>$20{\mu}m$) increased almost 20 times during the ebb tide and decreased during the flood tide. The biomass of nanophytoplankton (<$20{\mu}m$) showed a similar variation in response to tidal level changes. In April,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nt contributions of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and tidal levels was not clear. In August, the net phytoplankton was dominant in the early stage and nanophytoplankton was dominant in the later stage, while contribution of nanophytoplankton and net phytoplankton increased at high tide and low tide, respectively. Therefore, in April, other factors such as freshwater discharge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tide, whereas in August, when no freshwater discharge was recorded, the changes in semidiurnal tides influenced the physic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dynamics.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