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igh Contact

Search Result 4,04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Mesoporous Titanium Oxo-Phosphate에 의한 살균제 Chlorothalonil의 광분해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Fungicide Chlorothalonil by Mesoporous Titanium Oxo-Phosphate)

  • 최충렬;김병하;이병묵;최정;이인구;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4-289
    • /
    • 2003
  • Mesoporous titanium oxo-phosphate(Ti-MCM)은 기존의 유기성 오염물질의 광분해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TiO_2$에 비해 표면적이 매우 넓은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Ti-MCM에 의한 chlorothalonil의 흡착 및 광분해 특성을 $TiO_2$와 비교하였다. 합성된 Ti-MCM은 hexagonal 형태로 d-spacing이 4.1 nm이었다. 암조건에서 $TiO_2$에 의한 chlorothalonil의 흡착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Ti-MCM에 의한 흡착은 반응 1시간까지 25%로 급격히 증가하여 흡착평형에 도달하였다. UV조사 하에서 반응 9시간 후의 $TiO_2$와 Ti-MCM에 의한 chlorothalonil의 제거율은 각각 88%와 100%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치상태에서의 광분해 속도는 chlorothalonil과 Ti-MCM사이의 낮은 접촉에 의한 반응성의 감소로 느린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Ti-MCM에 의한 chlorothalonil의 분해효율은 용액의 초기 농도가 낮을수록, pH 7까지 반응용액의 pH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당뇨병 유발 토끼에서 발치 후 Hydroxyapatite 충전이 잔존 치조제 흡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MPLANTATION OF HYDROXYAPATITE IN THE FRESH EXTRACTION SOCKETS ON THE RESIDUAL RIDGE RESORPTION IN INDUCED DIABETIC RABBITS)

  • 배정식;정문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41-564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study the effect of implantation of the dense hydroxyapatite (HA) granules$(Apaceram^{(R)})$ in the fresh extraction sockets on the residual ridge resorption in normal and induced diabetic rabbits. Sixty-four white rabbits, weighing 3.0kg, were utiliz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 : group 1-sixteen normal rabbits without filling HA granules, group 2-sixteen normal rabbits with filling HA granules, group 3-sixteen diabetic rabbits without filling HA granules, group 4-sixteen diabetic rabbits with filling HA granules. HA granules were filled immediately after extraction in the extraction sockets of the mandibular left 1st, 2nd, and 3rd molar in group 2 and 4, and no HA granules were filled in group 1 and 3. The calculation of residual ridge resoption was done at 4th week, 8th week, 12th week, and 16th week after surgery, and histologic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study healing process at 2nd week, 4th week, 8th week, and 16th week after surge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mount of residual ridge resorption was largest in group 3, and smallest in group 2 in every interva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4. 2. In all groups, the amount of residual ridge resorption was high until 4th week after surgery, but the rate of residual ridge resolution slowly decreased after 4th week 3. There was more active healing process in group 1 and 2 than in group 2 and 4. 4. According to filling of HA granul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but direct contact could be observed between newly formed bone and HA granules in group 2 and 4. 5. Group 1 and 3 showed marked bone resorption and adipose marrow from 8th-16th week after surgery, but group 2 and 4 did not show maeked bone resolution, and showed fibrous tissue and a little adipose tissue among trabeculae from 8th week.

  • PDF

가교제의 종류가 천연고무 발포체의 팽윤거동에 미치는 효과 (Influence of the Type of Curing Agent on Swelling Behavior of Natural Rubber Foam)

  • 이환광;정태경;김성찬;김현기;최경만;김영민;한동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775-1781
    • /
    • 2008
  • 가교제의 종류가 헬리콥터 연료탱크의 자기밀폐층 소재로 적용시키기 위한 천연고무 스폰지의 팽윤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과산화물과 황을 섞은 가교방식과 과산화물에 의한 가교방식을 채택하였다. 천연고무 콤파운드를 Kneader와 Roll-Mill을 활용하여 제조하고, 고압조건의 프레스에서 부분 가교시킨 후 대기압의 금형에서 발포와 완전가교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스폰지의 겉보기밀도를 측정하고 스폰지의 셀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톨루엔, 이소옥탄과 항공유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팽윤실험을 실시하였다. 용매에 2분 동안 침적 후 얻어지는 부피팽윤비 값은 과산화물 가교에 의한 천연고무 스폰지가 비슷한 양의 황과 과산화물의 혼합가교에 의한 경우보다 높았다. 스폰지의 겉보기밀도와 셀구조는 과산화물 함량에 매우 민감하였으며 이는 또한 천연고무 스폰지의 팽윤거동에 영향을 미쳤다. 천연고무 스폰지가 연료와 접촉하여 신속한 팽윤이 얻어지기 위하여 금형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두 가지 반응인 발포제의 분해반응과 천연고무의 가교반응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PERL (passivated emitter and rear locally-diffused cell) 방식을 이용한 고효율 Si 태양전지의 제작 및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igh Efficiency Silicon PERL (passivated emitter and rear locally-diffused cell) Solar Cells)

  • 권오준;정훈;남기홍;김영우;배승춘;박성근;권성렬;김우현;김기완
    • 센서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83-29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고효율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작방법인 PERL방식을 사용하여 비저항이 $0.1{\sim}2{\Omega}{\cdot}cm$을 갖는 (100)면의 p형실리콘 기판으로 $n^+/p/p^+$ 접합의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이를 위해 웨이퍼의 절단, KOH을 사용한 역피라미드 모양으로의 에칭, 인과붕소의 도핑, 반사방지막과 전극의 증착 및 열처리 등의 공정을 행하였다. 이때 소자표면의 광학적인 특성과 도핑농도가 저항값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Silvaco로 $n^+$도핑에 대한 확산 깊이와 도핑농도를 시뮬레이션하여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AM(air mass) 1.5 조건하에서 입사되는 빛의 세기가 $100\;mW/cm^2$인 경우의 단락전류는 43 mA, 개방전압은 0.6 V, 그리고 충실도는 0.62였다. 이때 제작된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은 16%였다.

  • PDF

태아 간 적혈구형성에서 별큰포식세포의 적혈구모세포섬형성 - 투과 및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Rotations between Erythroblasts and Kupffer Cells in Human Fetal Hepatic Erythropoiesis - Tra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 이원복;신도식;김경용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43-56
    • /
    • 1999
  • 태생기 간 적혈구형성 중 혈관밖공간의 미성숙 적혈구모세포의 일부는 동굴모세혈관 속공간으로 이주하며, 별큰포식세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혈관속공간에 이주한 미성숙 적혈구모세포와 별큰포식세포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간 적혈구형성의 활성도가 높게 유지되는 태령 제 11주부터 태령 제 20주에 이르는 태아 간과 쥐 태자 간의 연구재료를 대상으로 투과 및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별큰포식세포는 성인 간이나 다른 태령 시기에 비해 비대하였고 많은 세포질돌기들을 갖고 있었다. 이 세포는 부분적으로 세포분열에 의해 증식되고 있었으며 성인 간의 별큰포식세포와 다르게 자가종식을 할 수 있었다. 3) 호산성적혈구모세포에서 탈출된 핵은 별큰포식세포의 속공간쪽과 간세포쪽 세포막에서 포식되었다. 포식된 핵은 주변 부위에 층판이 형성되거나 및 개의 작은 조각으로 파괴되는 등 다양한 소화과정을 보였다. 3) 동굴모세혈관 속공간에서 별큰포식세포는 미성숙적혈구모세포들과 직접으로 접촉하거나, 미성숙 적혈구 모세포들 사이에 별큰포식세포의 긴 세포질돌기가 뻗쳐 있어 골수 적혈구형성에서 관찰되는 적혈구모세포섬과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태아 간 적혈구형성이 왕성한 시기의 별큰포식세포는 적혈구를 포식하는 것 외에도, 세포가 비대해져서 동굴모세혈관을 통한 혈액흐름을 감소시키고, 적혈구모세포섬을 구성하여 태아 간 적혈구형성에서 미성숙 적혈구모세포의 성숙과 관련된 기계적 및 생리학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생각된다.

  • PDF

잉여슬러지 가용화를 위한 마이크로버블 오존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ubilisation of Excess Sludge using Microbubble Ozone)

  • 이순화;정계주;권진하;이세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5-33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오존을 이용한 잉여슬러지의 가용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존의 접촉효율을 높이기 위해 마이크로버블화된 오존(이하 마이크로버블 오존이라 함)을 이용하였으며, 생성된 마이크로버블 오존의 사이즈는 평균 직경 30 ${\mu}m$ 정도였고, 40 ${\mu}m$ 이하가 전체의 약 90% 정도를 나타내었다. 마이크로버블 오존을 이용한 슬러지 처리에 있어서는 슬러지 농도에 상관없이 오존주입율을 0.34 g $O_3/g$ SS 이하로 주입할 경우, 폐오존의 발생 없이 오존소모율이 10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농도별 슬러지 처리에 있어서 슬러지의 초기 SS 농도를 6,447 mg/L, 5,557 mg/L, 3,180 mg/L, 1,092 mg/L 및 515mg/L로 하였을 경우, 동일한 오존주입율에 있어서 초기 SS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되는 SS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오존의 산화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초기 SS의 농도가 높은 슬러지를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한편, 슬러지의 복합 처리로서 산과 알칼리 그리고 오존처리를 검토한 결과, 오존의 전처리로서 산처리를 이용하는 것이 알칼리처리에 비해 효과적이었으며, 슬러지에 주입하는 황산의 농도를 0.01 N로 하고, 오존주입율 0.05 g $O_3/g$ SS로 처리한 경우, 제거된 SS의 양은 153.9 g으로 오존단독처리시 81.2 g에 비해 1.9배의 많은 양이 제거되었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신종인플루엔자 인식도 및 예방태도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in an influenza A (H1N1))

  • 이향님;심형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1-311
    • /
    • 2011
  • Objectives : In order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influenza A (H1N1) having currently high frequency and risk as an infectious disease, to find problems and to reflect them on curriculum improvements from students before/after clinical practices. Methods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79 dental hygiene students of 1st and 2nd years at G health college university from December 6th 2010 to December 10th 2010. The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awareness of influenza A (H1N1), preventive attitud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 1. 1st year was 51.6%, the case having dental experience was 51.2%, in the infection control training experience 'had' was 46.6%. In the route acquiring the information, the mass media was 70.6%, in obtained information, personal hygiene was 82.1%. In the impact on human body, 'great impact' was 58.1%. In terms of the most need for response and preparedness, vaccination was the highest, 67.4%. People who experienced influenza A (H1N1) were 10.7%. 2. Awareness of influenza A (H1N1) was 0.71 points, and treatment and spreading mechanism was 0.78 points, prevention was 0.63 points, causes and definition was 0.53 points. 3. In the attitude for infection prevention of influenza A (H1N1), 'washing hands before practice' was the highest, 0.99 points and 'wear the mask only in case of contact with patient within 1~2 meters upon occurrence of no aerosol' was the lowest, 0.72 points. 4. Awareness of influenza A (H1N1)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upon the impacts on systemic health (p<0.05). Preventive attitude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clinical experience, experience in infection control training, acquiring rmation routes, the possibility for occurrence, impact on systemic health, the most need for prevention, experience in influenza A (H1N1) (p>0.05). 5. The significantly correlated between awareness of influenza A (H1N1) and preventive attitude(p<0.01). Conclusions : Information and preventive attitude for influenza A (H1N1) as well as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to identify actual affecting factors and to improve the practice are needed. Also government's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충남지역 마을하수의 발생 및 처리현황 (Generation and Current Treatment Status of Sewage at the Rural Village in Chungnam Province)

  • 강방훈;김진호;최철만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4-49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마을에서 발생하는 마을하수의 수질현황과 마을하수 처리시설에 대한 관리 현황 및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처리효율을 조사하여 마을하수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며, 농촌마을 하수정비 사업과 농촌지역 하수정책 수립의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을하수 처리시설에 대한 각 지역별 유입수 수질 분석 결과, 아산시 지역에서의 유입수 BOD와 COD의 평균 농도는 각각 29.0 mg/L와 19.1 mg/L였고, 부여군 지역은 BOD 16.7 mg/L, COD 16.3 mg/L, 공주시 지역은 BOD 18.8 mg/L, COD 15.3 mg/L로 조사되어 아산시 지역에서 유입수의 농도가 가장 높았으나 일반적인 도시하수의 유입수 농도에 비해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2. 오염부하량별 원단위는 BOD $3.3{\sim}4.9$ gpcd, COD $3.2{\sim}11.3$ gpcd, T-N $1.5{\sim}4.6$ gpcd, T-P $0.3{\sim}0.5$ gpcd 로 조사되어 도시하수의 오염부하량 원단위 결과보다는 상당히 낮게 조사되었다. 3. 마을하수 처리시설의 처리공법별 제거효율은 고효율 합병정화조와 토양피복형 접촉산화법에서는 특히 BOD와 SS의 제거효율이 높았으며, 접촉산화법의 경우는 다른 처리공법에 비해 조금 낮게 조사되었다.

견관절 불안정성의 견갑하근 및 관절 낭 수평 분할을 이용한 하방 관절 낭 이동술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using Splitting Subscapularis and Capsule for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박진영;임수택;유문집;유석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2-107
    • /
    • 2002
  • 목적 : 견관절 불안정성의 관절경적 수술로 재발의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 대해견갑하근 및 관절낭 수평 분할을 이용한 하방관절낭이동술을시행하고이에대한결과를분석하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 1994년부터 1999년까지수술을시행한환자중1년이상추시(평균: 2년, 범위: 1$\~$3년)가가능한 15례를대상으로하였다. 남자가13례여자가2례이었으며평균연령은27 이었다. 질환은다방향성불안정성4례, 수의성불안정성3례, 골성Bankart 병변이있는전방불안정성2례, 접촉성운동선수의전방불안정성6례였다. 13례는관혈적봉합술과하방관절낭이동술을 동시에 시행하였고, Bankart 병변이없던2례는하방관절낭이동술만 시행하였다. 관절낭중첩 정도는평균 19 mm (범위: 10$\~$5 mm)였다. 결과 : 14례에서우수혹은양호의결과를보였으며술후1례에서아탈구되었고, 1례에서전방염려검사에양성소견을보였다. 술후전방거상과팔을체간에붙인외회전, 90$^{\circ}$ 외전에서의외회전의운동범위는술전과통계학적인차이가없었다. 결론 : 견갑하근및관절낭수평분할을이용한하방관절낭이동술은관절운동범위의감소없이과잉관절낭과Bankart 병변을치료할수있어관절경적치료로재발의가능성높은환자에서권장될치료법으로사료되었다.

  • PDF

변이주 Bacillus sp. A4442가 생산하는 갈락토스 전이활성이 높은 $\beta-galactosidase$의 고정화 (Immobilization of $\beta-galactosidase$ with High Transgalactosylation Activity from Bacillus sp. A4442 Mutant)

  • 김민홍;정진;인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33-337
    • /
    • 1996
  • 갈락토올리고당의 연속 생산을 위하여 Bacillus sp. A4442가 생산하는 갈락토스 전이활성이 높은 $\beta-galactosidase$를 균체제거 후 농축, 탈염하여 $Diaion^{TM}$ HPA 75(styrene-divinylbenzene resin)에 고정화하였다. 고정화 수율 및 고정화 효소의 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효소 고정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최적화하였다. 고정화 시간은 실온에서 3시간, Tris 완충액의 농도는 30mM, pH는 8이 적당하였다. 단백질부하가 증가할수록 효소는 다른 단백질과 경쟁적이며 가역적으로 담체에 결합하였으며, 최적부하는 약 25 mg Protein/g resin 이었다. 가교제로서 glutaraldehyde 0.5%를 사용하였을 때 효소의 열 안정성 및 운전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실험조건하에서 고정화를 실시하였을 때 고정화 수율은 40% 이상이었으며 그 활성이 약 200 U/g resin인 고정화 효소를 얻을 수 있었다. Packed-bed reactor에서 유당을 갈락토올리고당으로 연속적으로 전환 가능하였고, 이때 고정화 효소 1 g으로 갈락토올리고당 약 300 g을 생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