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ierachical Analysis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

  • Kim, Yoen-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1
    • /
    • pp.575-58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relation to demographic, family, self-efficacy, acculturation, and physical health aspects. The subjects were 556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Seoul, Keong-gi, and Chung-cheong areas. 47.1% of the subjects showed $${\geq_-}16$$ of CES-D which is the cutting points on depression. The results from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family income(${\beta}=-.13$, p=.002) at the first demographic model and self-efficacy(${\beta}=-.13$, p<.001), family relationship(${\beta}=-.16$, p<.001), acculturation to Korean culture(${\beta}=-.08$, p=.05), acculturative stress(${\beta}=.31$, p<.001), and mal-physical health(${\beta}=.18$, p<.001) at the final model affect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depress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7.1%. Based on these results, social services and policies for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discussed.

Monitoring of Groundwater quality according to groundwater use for agriculture (농업용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하수질 모니터링 평가)

  • Ha, Kyoochul;Ko, Kyung-Seok;Lee, Eunhee;Kim, Sunghyun;Park, Changhui;Kim, Gyoo-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3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에 농업용수(벼농사용)로서 집중적으로 지하수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시기별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하수 수질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충남 홍성군 양곡리와 신곡리 일부를 포함하는 면적 2.83 ㎢(283.3 ha)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연구지역 지하수 수질의 공간적 분포 및 시간적 변화 특성 평가를 위하여 2019년 2회(7월, 10월)에 걸쳐 지하수 관정(21개소)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하수 샘플은 현장에서 온도(T), pH, 용존산소(DO) 및 전기전도도(EC), 산화환원전위(Eh) 등을 측정하였고, 실험실에서 주요 양이온 및 미량원소(Ca, Mg, Na, K, Si, Sr), 음이온(F, Cl, Br, NO2, NO3, PO4, SO4), 알칼리도, 용존 유기탄소(DOC)와 용존 유기물(DOM) 등을 분석하였다. 지하수 수질조사 결과, 전체의 14~15개소(67~71%)가 Ca-HCO3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다음으로는 Ca-Cl 유형이 4~5개소(19~24%)가 관찰되었다. 얕은 심도의 관정에서 상대적으로 심도가 깊은 관정보다 대부분 성분(TDS, Ca, Mg, Na, K, Cl, SO4, HCO3, DOC)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지하수의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다변량통계분석법인 주성분분석(PC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과 계층적 군집분석(HCA: Hierachical Cluster Anlaysis)를 수행한 결과, 초기 3개 주요 고유성분(eigenvalue)는 PC1 54.0%, PC2 14.2%, PC3 12.3%로 전체 분산의 88.3%를 설명할 수 있었다. PC1은 Ca, Mg, Na, K, Cl, SO4, DOC가 주요한 영향 인자였으며 PC2는 HCO3, NO3, DO에 영향 받음을 확인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연구지역 지하수는 Na-Cl 유형의 C-3 관정을 제외하고는 크게 두 그룹으로 구분되어 졌다. 다변량통계분석의 결과에서도 수리지화학, 동위원소, 용존유기물 등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것과 유사한 연구지역의 수질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지역은 차시기 동안 수질변화는 일부 관정을 제외하고는 유의할 만한 수준으로 관찰되지는 않았고,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하수위 회복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