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itage site

검색결과 779건 처리시간 0.027초

유적지 투어 지원을 위한 증강 현실기반 프레임워크 (Augmented Reality Framework for Archeological Site Tours)

  • 김은석;우운택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5-43
    • /
    • 2015
  • 사용자 경험 증대를 위해 증강 현실 기술에 대한 활용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다양한 증강 현실 어플리케이션들이 문화유산 영역 대상으로 개발되어왔다. 그간 문화유산 영역에서의 증강 현실 기술의 활용이 극적인 진보를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 증강 방법은 증대된 사용자 경험 제공에 걸림돌이 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증강현실의 특성을 반영한 증강 현실 체험 기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저작 프레임워크의 부재로 인한 일회성에 그치는 콘텐츠 개발은 지속적인 서비스에 핵심이 되는 콘텐츠 생태계 구축에 저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는 기존의 사물 중심의 증강 방식을 확장한 공간 주도의 증강현실 체험 기법인 스페이스텔링(Spacetelling) 기법과, 이에 필요한 시공간 연계 콘텐츠를 생성하고 지속적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스토리스케이프 저작 프레임워크, 그리고 이를 포함한 유적지 투어 지원을 위한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제안의 실제적인 구현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현재 진행 중인 K-Culture Time Machine 프로젝트에서의 구현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안을 통하여 지속 가능하면서도,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문화유산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위글 매치를 이용한 서천 봉선리 유적 출토 목곽고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Wiggle Matched Radiocarbon Dates of Wooden Warehouses Excavated at the Bongseon-ri Site in Seocheon, Korea)

  • 이광희;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1-37
    • /
    • 2018
  • 서천 봉선리 유적에서 출토된 목곽고의 제작 연대는 출토된 토층 및 토축부의 축조방법으로 5세기 전후로 추정되었다. 정확한 연대를 확인하고자 목곽부재 3점에 대해 위글매치를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분석을 실시하였다. 목곽부재 1(BSMG 01)의 최외각 연륜은 95.4% 신뢰구간에서 AD 431~551년, 목곽부재 2(BSMG 06)는 AD 460~570년으로 확인되었고 목곽부재 3(BSMG 12)은 AD 240~430년 또는 AD 490~510년으로 산출되었다. 목부재 3점의 공통 연대는 AD 490~510년으로 고고학적으로 추정된 연대와 일치하였으며, 위글매치를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의 정확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충주 금릉동 쇠저울유적 출토 고려시대 유병의 유기물 분석 (Organic Residues Analysis of Oil Bottle of Goryeo Dynasty Excavated from the Soejeoul Site, Geumneung-dong, Chungju)

  • 윤은영;김수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38-647
    • /
    • 2021
  • 유기잔존물(organic residues)은 동물이나 식물에서 유래된 생체분자(biomolecule)의 일부분으로 최근 과학적 분석을 통해 옛사람들의 생활모습 복원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 금릉동 쇠저울유적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청자 유병의 내부 유기물을 규명하고자 과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외선 분광기(FT-IR)와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병 내 유기물은 식물에서 유래된 기름(oil)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GC-MS 분석 결과에서 다가 불포화 지방산과 식물성 스테롤이 검출되었고 참깨 종자에서 확인되는 세사민(sesamin) 성분이 검출되었다. 세사민은 리그난(lignan) 계열의 항산화물질로 참깨의 특성 성분이다. 따라서 고려시대 유병 내부에 담겨 있던 유기물은 참깨와 관련된 물질로, 참깨유가 보관되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석조문화재 균열부 보존처리 충전제의 현황과 임상실험 고찰 - 활석을 혼합 한 충전제의 표면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tone Cultural Heritage on Filler Status and Clinical Trials of Conservation Treatment in Cracks - Focusing on the Change in Surface of the Filler by Mixing the Talc -)

  • 이태종;오정현;김사덕;이장존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3-393
    • /
    • 2014
  • 석조문화재 균열부분과 표면 마무리를 위한 보존처리는 현재까지 에폭시수지에 다양한 충전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장기적 보존을 위해 이와 같은 보존처리는 필요하다. 하지만 보존처리 된 54건에 대한 현장조사와 임상실험 결과 충전제 중 활석이 포함된 경우 표면변색과 균열 등 재 손상이 확인되었다. 현장조사는 수리보고서와 처리 담당자 인터뷰, 현미경조사, 현장에서 수습한 처리 시편의 ICP 분석을 병행하여 활석 사용여부를 확인하였다. 임상실험은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활석에 의한 영향평가를 위해 촉진내후성시험 후 색차와 초음파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활석이 포함된 시편에서의 물성저하가 두드러졌다. 따라서 향후 균열부분 보존처리는 활석의 사용은 자제하고 동질 석분만을 충전제로 선택하여 처리할 것을 제안한다.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관광 가능성에 대한 평가 - 신흥사 방문자의 의식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n the Possibility for Sustainable Tourism of Cultural Heritage - Based on the Visitors' Perception of Sin-heung-sa -)

  • 이영경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6호
    • /
    • pp.633-645
    • /
    • 2010
  • As the globalization increased, cultural heritage has been widely used as tourist destination. Traditional temples which have valuable cultural resources are important cultural heritages. It was found that most traditional temples which were used as famous tourist destinations lost their intrinsic religious values because of the intensive tourist uses. Sustainable tourism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tourism to the conventional one which could cause the destruction of the intrinsic values. Sustainable tourism represents and encompasses a set of principles balancing between visitor satisfaction, economic revitalization of the area, and the conservation of the heritage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for the sustainable tourism of cultural heritage (traditional temple) by investigating visitors'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awareness on conservation. In order to perform this purpose, Sin-heung-sa was selected as a study site and 339 visitor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into three important find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ossibility for the sustainable tourism of Sin-heung-sa was high. Vistors' awareness on conservation is high, but visiting satisfaction was medium-high. Specifically, the awareness for heritage transmission was the highest and the awareness for other conservational dimensions such as need for education, conservation for surrounding area, and respect for environmental capacity were also high. Second, visitors' overall and separate satisfactions were not high. Therefore, it was recommended that management strategi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visitor satisfaction because both conservation and visitor satisfaction are essential elements of successful sustainable tourism. The results revealed that visitors' satisfaction could be enhanced by improving safety of the area, providing diverse travel activities and information, and creating unique atmosphere. Third, the revisit intention was evaluated higher than the overall satisfaction, which showed that the attractiveness and competitiveness of Sin-heung-sa was relatively high. Important determinant attributes for revisit intention were analyzed to be good nature(landscape, valley, the fauna and flora) and network with surrounding tourist destinations.

원각사지10층석탑 보호각 내부 보존환경 조사연구 (Investigation on the environment of facilities for conservation of the Ten storied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site)

  • 홍정기;엄두성;김순관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3호
    • /
    • pp.95-112
    • /
    • 2002
  • Seoul City built a facility for conservation of the Wongaksajisipcheungseoktap (Ten storied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site, National treasure No. 2). It has speciality glass(thickness 21.5㎜) between steel-frames(8.4m, length 8.4m, height 15.4m). So we investigated the inside of facility to know whether the environment alvariation exists. We measured continuously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wice for the particulate, once for the $SO_2$(sulfur dioxide), $NO_2$(nitrogen dioxide)and $O_3$(ozone) from September $1_st$, 2000 to August $31_st$, 2001.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have a tendency to vary, and they have no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As dewy phenomenon doesn appear on the surface of the Pagoda and facility we know that the inside air is moving. As a result of the particulate is $64\mug$/$m_3$ of average concentration, the particulate fluxed inside don’t flow out because air-velocity of the outside is faster than that of the inside. The air pollutants are 0.036ppm/hr of SO$_2$average concentration, 0.028ppm/hr of $NO_2$ average concentration and 0.008ppm/hr of $O_3$ average concentration which are lower than the Environmental Air Quality Standards($SO_2$ : 0.15ppm/hr, $NO_2$ : 0.25ppm/hr,O3 : 0.1ppm/hr).

  • PDF

Clarification the Current Situation of Deterioration and Its Causes of Modernization Heritage Built with Bricks in Japan: A Case Study of Long-Term Monitoring Investigation at Sarushima Battery, Yokosuka, Japan

  • Fukami, Risako;Matsui, Toshiya;Kawamoto, Mayumi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5-276
    • /
    • 2022
  • A long-term monitoring investigation at Sarushima Battery (Kanagawa, Japan), which is one of the modernization heritages was conducted from 2017.06 to 2020.12. The investigation of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RH),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brick decay,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the brick deca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in detail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historical brick structure, the state of deterioration, identify the factors of deterioration. Furthermore, it was discussed whether the suitability of these investigation methods for assessing the status, identifying the level of deterioration and the factors that led to deterioration at the historical brick heritages. It was found that the brick deterioration at the site progressed especially in two periods: in April, and from June to August. These periods coincided with the period when the RH inside the structure decreased, and the Toyo-gumi bricks were in the process of absorbing moisture. Several different types of salts were detected in brick decay, especially thenardite, which is considered highly hazardous and destructive during periods when the amount of brick decay increased. Therefore, the RH in the structure and the salts present in the bricks were identified as one of the factors in the deterioration of the bricks at the site.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appropriate as the initial survey methods for investigating the current conditions and identifying the causes of deterioration becaus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 within the modernization heritages, grasp the details of deterioration progression,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eterioration progression and its factors through long-term investigation using the simple methods.

GIS 중첩분석을 이용한 요지유적 분포 예측의 시범연구 (Preliminary Research on Prediction of Pottery Site Distribution based on Overlay Analysis Method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진영;박준범;양동윤;김주용;홍세선;정계옥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65-175
    • /
    • 2005
  • 지리정보시스템(GIS)은 정보관리나 공간분석을 통해서 문화유적의 보존과 국토이용을 위한 목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요지유적의 위치를 입력하고, 입지특성을 분석하여, 분포지역을 예측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약 1,200개소 요지유적의 위치를 입력하였고, 각 위치별 입지분석(고도, 사변의 경사, 사변방향, 수계) 및 통계분석을 통해 요지의 입지특성을 해석하였다. 요지유적 분포는 1에서 5까지 등급화된 고도분포, 사변경사, 수계비고, 수계거리, 사변방향의 5개 변수에 대한 중첩분석결과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대전광역시 성북동 일대에 분포하는 요지유적을 대상으로 분포를 예측한 결과 조사지역의 산능선 하부와 충적평야에 이르는 중간지역에서 요지유적 분포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야외에서 확인된 요지유적의 분포와도 일치하였다. 본 시범연구 결과 전국적으로 더 많은 요지분포 자료가 확보된다면 요지분포가 확인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분포 예측력이 보다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장흥 풍길리 청자요지 출토 도자기들의 소성특성 및 재료학적 상관성 비교 연구 (Scientific Comparison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iring and Making Materials for Sherds Excavated from Celadon Kiln Site of Punggil-ri, Jangheung)

  • 한민수;이장존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2-122
    • /
    • 2020
  • 본 연구는 장흥 풍길리 출토 도자기들의 소성특성 등 제작기술과 재료학적 비교 분석을 통해 상관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색차 분석결과 넓은 영역에서 분포하였으며, 유약층과 태토층의 단면 미세조직에서도 청자와 백자, 흑유자기, 도기편들이 서로 특징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성광물과 열분석을 통해 소성온도를 추정한 결과, 대부분 1100℃에서 소성된 도편과 일부는 1200℃ 이상의 고온 소성된 도편들도 있었다. 태토의 주요성분분 함량에서도 청자와 백자의 명확한 구분이 어려웠으며, 통계분석에서도 유약은 도자기의 종류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태토는 청자와 백자, 흑유자기가 유사한 1개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이는 원재료의 차이라기 보다는 수비와 같은 정선과정에서 일부 성분이 제거되거나 첨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다양한 도자기를 제작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시도가 있었고, 도자기의 제작 기술과 재료가 안정화되지 않은 초기 단계였음을 과학적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부여 동남리 백제유적 출토 토층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제작특성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Layers from Baekje Dongnamri Site in Buyeo, Korea)

  • 김애라;이찬희;김란희;복문강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9-221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부여 동남리 유적에서 발굴된 백제시대 개량 토층의 제작특성과 원료의 산지를 해석하였다. 토층은 크게 현대층, 백제층 및 하부층으로 구분되며, 백제시대에 조성된 토층은 일정한 시간적 단절에 따라 제1백제층과 제2백제층으로 구분된다. 토층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 색상이 어두워지며 광물의 함량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지만 층위별로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층위에 관계없이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이 상당히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기반암에서 풍화된 토양을 이용하여 축조하였음을 의미하며 유적 일대의 토양과도 유사한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입도분석 결과로 볼 때 제1, 2백제층은 세부적으로 모래의 함량이 높은 토양과 미사의 함량이 높은 토양을 반복 성토하여 토층을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