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bicide mixture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1초

Cyhalofop-butyl, Bispyribenzoxim 및 Pyrazosulfuron-ethyl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 및 상호작용(相互作用) 기작(機作)에 관(關)하여 - 제(第) 1 보(報)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 (Studies on Effect and its Mechanism of Herbicide Mixtures of Cyhalofop-butyl, Bispyribenzoxim and Pyrazosulfuron-ethyl - I. Interaction of Herbicide Mixture)

  • 오명근;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4-160
    • /
    • 1998
  • 본(本) 연구(硏究)는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 잡초방제(雜草防除)에 우수한 경엽처리형(莖葉處理型)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를 선발(選拔)하기 위해 3원(元) 2차(次) UPCCD계획법(計劃法)을 이용(利用)하여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서 문제(問題)가 되고 있는 피, 너도방동사니 등의 잡초(雜草)를 방제대상(防除對象)으로 cyhalofop, bispyribenzoxim, pyrazosulfuron 간(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 및 혼합효과(混合效果)를 구명(究明)함과 아울러 제초제분야(除草劑分野)에서 UPCCD계획법(計劃法)의 활용가능성(活用可能性)을 검토(檢討)하였다. (1)제초제분야(除草劑分野)에서 직선(直線) 및 2차곡선(次曲線) 관계(關係)를 나타내는 반응(反應)또는 비수식(指數式), 대수식(對數式) 관계(關係)를 나타내는 반응(反應)이라도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의 처리량(處理量) 범위(範圍)를 적당(適當)히 선정(選定)하면 UPCC계획법(計劃法)을 응용(應用)하여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 및 혼합제(混合劑)의 혼합효과(混合效果) 분석(分析)은 가능(可能)하였다. (2) 제초제(除草劑) cyhalofop, bispyribenzoxim 및 pyrazosulfuron 혼합처리시(混合處理時) 피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cyhalofop, bispyribenzoxim, pyrazosulfuron 순(順)이었고 제초제간(除草劑間)에 상가작용(相加作用)이 존재하는 동시(同時)에 cyhalofop와 bispyribenzoxim 간(間)에 역상호작용(逆相互作用)이 존재하여 "부분적 상가작용(相加作用)"이 검정(檢定)되었다. (3) 너도방동사니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pyrazosulfuron, bispyribenzoxim 순(順)이었고 cyhalofop의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pyrazosulfuron과 bispyribenzoxim 간(間)에는 상가작용(相加作用)이 있었다. (4) 사마귀풀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bispyribenzoxim, pyrazosulfuron 순(順)이었고 cyhalofop의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bispyribenzoxim과 pyrazosulfuron 간(間)에 상가적작용(相加的作用)이 있었다. 피, 너도방동사니 및 사마귀풀 등의 3종(種) 잡초(雜草)의 $ED_{90}$을 나타내는 cyhalofop+bispyribenzoxim+pyrazosulfuron 적정혼합(適正混合) 처리량(處理量)은 100+12+10g ai/ha 이었다.

  • PDF

Effect of Different Herbicides on For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in Corn-soybean Mixture Cropping

  • Kim, Dong Woo;Song, Yowook;Kim, Jeongtae;Fiaz, Muhamad;Kwon, Chan H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8-115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t herbicides in corn-soybean intercropping for optimum growth,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forage under Korean environment conditions. Herbicidal treatments were randomly applied over five plots, viz. (1) Control treatment: no herbicide; (2) Alachlor; (3) Simazine; (4) Pendimethalin and (5) Mixture of alachlor and simazine herbicides in RCBD have three replications. Results depicted that treated herbicides exhibited significant effect over control of weeds. Simazine herbicide alone or mixed with alachlor had adverse effects on soybean but enhanced (p<0.05) corn production in terms of survivability, dry matter and digestible nutrients yield. Corn-soybean coupling and total dry matter yield were greater (p<0.05) in pendimethalin. Simazine-alachlor mixture reduced (p<0.05) soybean height. Conclusively, simazine could not be suitable for corn soybean intercropping because of having an adverse effect on soybean component. Pendimethalin could maintain growth and yield of corn and soybean both components. Effect of alachlor was comparable to that of pendimethalin.

Identification of Herbicide-Resistant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 Biotypes in Korea

  • Won, Ok Jae;Lee, Jeung Joo;Eom, Min Yong;Suh, Su Jeoung;Park, Su Hyuk;Hwang, Ki Seon;Pyon, Jong Yeong;Park, Kee Woong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10-113
    • /
    • 2014
  • The continuous use of acetolactate synthase (ALS)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ase) inhibitors has led to the selection of herbicide resistant barnyardgrass populations in direct-seeded rice fields of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erbicide resistant barnyardgrass biotypes and to determine the cross- and multiple-resistance of them. 25%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Taeahn was partially resistant to ACCase inhibitors and 22% collected from Kimjae were partially resistant to ALS inhibitors. However, 8.2% of the population from both sites was resistant to ALS and ACCase inhibitors. Resistance to sulfonylurea herbicide, flazasulfuron was identified from two barnyardgrass accessions collected from both Taeahn and Kimjae. One barnyardgrass accession from both sites was resistant to ACCase inhibitor, sethoxydim. The cross-resistance to ALS inhibitors was identified at one barnyardgrass accession from Taeahn and at two accessions from Kimjae. Further, crossresistance to ACCase inhibitors was also identified at barnyardgrass accessions from Taeahn and Kimjae. Multiple-resistance to flazasulfuron and sethoxydim was determined at four barnyardgrass accessions from Taeahn and at six accessions from Kimjae. Therefore, the herbicide mixture and sequences within a growing season or the herbicide rotation with different modes of actions across growing seasons are recommended to control herbicide-resistant barnyardgrass in infested fields.

Cyhalofop-butyl, Pyribenzoxim 및 Pyrazosulfuron-ethyl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 및 상호작용(相互作用) 기작(機作)에 관(關)하여 - 제(第) 2 보(報)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 처리(處理)가 acetolactate synthase 활성(活性) 및 유리(遊離) 아미노산함량(含量)과 지방산함량(脂肪酸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Effect and its Mechanism of Herbicide Mixture of Cyhalofop-butyl, pyribenzoxim and Pyrazosulfuron-ethyl - II. Effect of Herbicide Mixture on the Activity of ALS, Content of Free Amino Acids and Fatty Acids)

  • 오명근;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7-204
    • /
    • 1998
  • 제초제(除草劑) cyhalofop, pyrazosulfuron 및 pyribenzoxim 혼합처리(混合處理)의 상로작용(相互作用) 기작(機作)을 구명(究明)하고자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의 처리(處理)에 의한 ALS 활성(活性) 저해효과(沮害效果) 및 유리(遊離) 아미노산 함량변화(含量變化)와 집방산(脂肪酸)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In vitro에서 ALS 활성(活性) 저해효과(沮害效果)는 pyribenzoxim의 $I_{50}$은 물피와 너도방동사니에서 각각(各各) 4${\times}$100 nM과 5${\times}$100 nM였으며, pyrazosulfuron의 $I_{50}$은 각각 4.5${\times}$10 nM과 4${\times}$10nM로 두 제초제(除草劑) 혼합처리시(混合處理時) ALS 활성(活性) 저해효과(沮害效果)는 저농도처리(低濃度處理)에서 상가적작용(相加的作用), 고농도처리(高濃度處理)에서는 독립작용(獨立作用)을 보였다. 2. 3종류(種類) 제초제(除草劑)(cyhalofop+pyribenzoxim+pyrazosulfuron 100+10+10 g ai/ha)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 너도방동사니와 물피의 valine, leucine 및 isoleucine의 함량(含量)은 58~75%, 37%, 51%씩 각각(各各) 감소(減少)하여 저해정도가 물피보다 너도방동사니에서 더 컸으며, 그 경향은 cyhalofop을 혼합(混合)하지 않은 2종류(種類)의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 처리(處理)에서 다소 높았으나 초종(草種) 및 제초제(除草劑) 종류(種類)에 따라 상이(相異)하였다. 3. 3종(種)의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에 의해 총(總) 지방산(脂肪酸) 함량(含量) 및 지방산(脂肪酸) 종류별(種類別) 함량(含量)이 모두 감소(減少)되었으나 지방산(脂肪酸) 함량(含量)에 대한 3종(種) 제초제간(除草劑間)의 길항작용(拮抗作用)은 없었다.

  • PDF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 처리(處理)가 올미의 괴경형성(塊莖形成)과 방제(防除)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Herbicide Mixtures on Tuber Formation and Control of Sagittaria pygmaea Miq.)

  • 오용비;심이성;박석홍;배성호;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6-151
    • /
    • 1982
  • 호남지역(胡南地域)에서 논 다년생(多年生) 우점잡초(優占雜草)인 올미의 효과적(効果的)인 약제방제(藥鄭防除)를 위하여 혼합제(混合劑)인 Butachlor + Naproanilide, CG 113 + Naproanilide, Benthiocarb +Naproanilide를 공시(供試)하여 1982년(年)에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올미의 괴경(塊莖)은 토양중(土壤中)에서 10cm 이내(以內)에 92%가 분포(分布)되어 있었으며 이앙후(移秧後) 40 일(日)까지는 계속 발생개체수(發生個體數)가 증가(增加)하나 그 이후(以後)에는 減少(減少)하였다. 2. 올미의 방제효과(防除効果)는 perfluidone에 비(比)하여 Naproanilide 혼합제(混合劑) 처리(處理)에 의하여 발생개체수(發生個體數) 및 건물중(乾物中)이 적었으며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95% 이상(以上)의 높은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고 일년생(一年生) 방제율(防除率)도 높았다. 3. 올미의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는 각(各) 약제처리(藥劑處理) 모두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적었으며 초기(初期)나 중기(中期) 처리(處理) 공(共)히 Naproanilide 혼합제(混合劑)에서 Perfluidone이나 2, 4-D보다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가 적어 괴경형성억제(塊莖形成抑制) 효과(効果)가 컸다. 4. CG 113 + Naproanilide는 일(日)/인(印) 교잡계통(交雜系統)인 이리(裡里) 358 호(號)에서 최초(最初) 벽자(蘗子)의 엽선단(葉先端)이 엽초(葉効)에 붙어 만곡(彎曲)하는 약해(藥害) 징상(徵象)이 나타났으나 약(約) 10일(日) 이내(以內)에 회복(回復)되었다.

  • PDF

이앙답(移秧畓)에서 제초제(除草劑)의 혼합(混合), 조합처리(組合處理)가 제초효과(除草效果) 및 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ture and Systematic Application of Herbicides on Weed Control and Yield in Transplanted Rice)

  • 김제규;구연충;이종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0-30
    • /
    • 1982
  • 본(本) 시험(試驗)은 1981년(年)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 답작포장(畓作圃場)에서 Indica${\times}$Japonica 원록교잡종(遠綠交雜種)인 태백(太白)벼(수원(水原) 287호(號))를 기계이앙(機械移秧)하여 제초제(除草劑)의 살초효과((殺草効果) 증대(增大)를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제초제종류(除草劑種類)에 따른 초종(草種)의 다양화(多樣化)와 초종구성(草種構成)의 유사성정도(類似性程度)를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여 제초제(除草劑)를 혼합(混合) 또는 조합처리(組合處理)하거나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를 만들 때 약제선택(藥劑選擇)에 필요(必要)한 정보(情報)를 얻고자 우점초종(優占草種)이 피, 올방개, 올챙고랭이이며 이들의 우점도(優占度)가 각각(各各) 89%, 5%, 3%였던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약해(藥害)는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가 단일제초제(單一除草劑)에 비(比)하여 더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2 단일제초제(單一除草劑)의 사용(使用)보다는 살초(殺草) spectrum이 서로 다른 두가지의 유효성분(有效成分)을 혼합(混合)한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또 벼 이앙(移秧) 전후(前後)에 제초제(除草劑)를 한번 사용(使用)하는 것보다는 이쾌전후(移快前後)와 생육중기(生育中期)에 제초제(除草劑)를 두번 조합처리(組合處理)하는 것이 제초효과면(除草効果面)에서 더 우수(優秀)하였다. 3.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에 의한 초종(草種)의 다양화(多樣化) 정도(程度)는 Simpson 지수(指數)가 높은 Butachlor(3.5G)/SL-49(7G), Butachlor(3.5G)/Pyrazolate(6G) 및 Perfluidone(5G)과 같은 제초제(除草劑)는 잡초군락(雜草群落) 단순화(單純化)시키는 경향(傾向)이며, Simpson 지수(指數)가 낮은 Perfluidone(5G) + Chloromethoxynil(7G), Butachlor(6G) fb Perfluidone(5G), 및 Butachlor(4G)/Naproanilide(6G)와 같은 약제(藥劑)는 초종(草種)을 다양화(多樣化)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4. 초종구성유사성계수(草種構成類似性係數)로 볼 때 제초효과(除草効果)를 가장 높일 수 있는 약제(藥劑)는 초종구성(草種構成)이 크게 달랐던 Perfluidone(5G)과 Chloromethoxynil(7G), Bifenox(7G) 및 Butachlor(6G)의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로 추정(推定)되며, Perfluidone(5G)은 타(他) 약제(藥劑)와의 유사성계수(類似性係數)가 대체(大體)로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5. 제초효과(除草效果)가 우수(優秀)하고 벼 수량(收量)(현미중(玄米重))이 손 제초구(除草區)와 비슷하였던 처리(處理)는 Perfluidone(5G), Butachlor (3G)/Chloromethoxynil(6G), Perfluidone(5G) + Chloromethoxynil(7G), Butachlor(6G) fb Bentazon(40 E. C) 및 Butachlor(6G) fb Perfluidone(5G) 처리(處理)였다.

  • PDF

과수원(果樹園)의 잡초발생(雜草發生)과 제초제유형(除草劑類型) (단제(單劑) 및 혼제(混劑))별(別) 살초특성(殺草特性)의 비교연구(比較硏究) (Weed Emergence in Orchard and Comparison of Weeding Performance of Some Orchard-Herbicides (Single and Mixture Products))

  • 구자옥;조용우;이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5-96
    • /
    • 1986
  • 평지(平地) 성목원(成木園)과 경과지(傾科地) 유목원(幼木園)의 2개 과수원에서 Paraquat, Glyphosate, Oxyfluorfen, Napropamid 및 Ustinex 등 5종(種)의 과수원용 제초제를 공시하여, 잡초의 발생특성과 제초제를 인한 잡초생태형별(雜草生態型別) 과별(科別) 발생특성의 변동양상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잡초 및 제초제의 유사군분류(類似群分類)를 함으로써 새로운 제초제조합(除草劑組合) 모형화(模型化)의 다음 기초자료를 얻었다. (1) 과수원의 발생초종은 7생태형, 23과, 45종으로 일년생과 다년생의 분포는 각각 24종과 22종이었다. (2) 출현빈도가 높은 잡초종이 대부분 높은 현존량을 보임으로써 출현빈도가 잡초문제의 근간을 형성하는 경향이었다. (3) Paraquat은 속효 속재생성과 하계 일년생으로의 천이경향(遷移傾向)을, Glyphosate는 다년생 잡초의 탁월한 방제특성을, Napropamid는 잡초발생전의 토양 잔류성을, Oxyfluorfen은 하계일년생과 지중형 반지중형의 일부 다년생의 방제특성을 나타내는 각각의 장단점을 보였고, Ustinex는 혼합제로서의 다양한 초종 안정적인 제초효과를 보였다. (4) 제초제별 감수성반응에 따른 잡초를 분류한 결과, 발생빈도반응에서는 3군(群)과 8개(個) 단독과(單獨科)로 분류 되었다. 두 분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단독과(單獨科)로만 분류된 잡초는 산형과(科) 닭이장풀과(科) 화본과(科) 및 마디풀과(科)였다. (5) 제초제는 방제특성에서 상호간의 차이가 독특하게 컸으므로 유사군분류(類似群分類)가 되지 않는 경향이었으며, 비유사성(非類似性)이 큰 조합(組合)은 Paraquat이나 Glyphosate, Napropamid나 Glyphosate와 Napropamid나 Oxyfluorfen의 관계에 있었다.

  • PDF

Effective Herbicides for Control of Sulfonylurea-Resistant Monochoria vaginalis in Paddy Field

  • Kuk, Yong-In;Kwon, Oh-D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86-291
    • /
    • 2003
  • Monochoria vaginalis is one of the most troublesome resistant weeds in Korean rice culture.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sponse of M. vaginalis resistant to sulfonylurea(SU) herbicides and to determine alternative herbicides for the control of resistant M. vaginalis in direct seeded and transplanted rice culture in Korea. In greenhouse studies, the resistant biotype was 31-, 38-, 3172-, and 7-fold more resistant to ben-sulfuron-methyl, cyclosulfamuron, imazosulfuron, and pyrazosulfuron-ethyl, respectively, than the susceptible biotype, indicating cross-resistance to the SU herbicides used in this study. Non-SU herbicides, butachlor, carfentrazone-ethyl, mefenacet, pretilachlor, pyrazolate, and thiobencarb, several SU herbicide-based mixtures, ethoxysulfuron plus fentrazamide, pyrazosulfuron-ethyl plus pyrazolate plus simetryn, and non-SU herbicide-based mixtures, pyrazolate plus butachlor, pyrazolate plus pretilachlor, simetryn plus molinate, carfentrazone-ethyl plus butachlor, and carfentrazone-ethyl plus thiobencarb can be used to control both the resistant and susceptible biotypes of M. vaginalis when applied before the second leaf stage. In the field experiment, the resistant biotype of M. vaginalis that survived from the paddy fields treated with a SU herbicide-based mixture could effectively be controlled by using mixtures of bentazone plus MCPA, bentazone plus mecoprop-P, and bentazone plus 2,4-D when applied at 2 or 4 main leav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U-resistant M. vaginalis had not developed multiple resistances to herbicides with different modes of action. In particular, bentazone plus MCPA and bentazone plus mecoprop-P were effective control measures after failure to control resistant M. vaginalis in Korean rice culture.

Oxyfluorfen을 주재로 한 Paraquat 및 Glyphosate 혼합모형(混合模型) 제초제(除草劑)의 토양중(土壤中) 불활성화(不活性化)에 관한 연구(硏究) (Comparative Study on the Inactivation of Oxyfluorfen Mixture with Paraquat or Glyphosate in Soil)

  • 구자옥;조용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6-84
    • /
    • 1986
  • 인위적(人爲的)으로 조제한 식양토(植壤土)를 살균(殺菌) 유기물공급(有機物供給) 미생물주입여부로 나누어 대조토양(對照土壤)($O^-M^-$), 유기물토양(有機物土壤)($O^+M^-$), 미생물토양(微生物土壤)($O^+M^+$)로 구분하고, 여러 조합농도(組合濃度)의 Oxyfluorfen+Paraquat 및 Glyphosate를 처리하였으며, 여기에 유채(油菜)을 검정식물(檢定植物)로 하여 생물검정(生物檢定)을 함으로써 약제의 토양 중 불활성화를 경시적(經時的)으로 측정 해석하였다.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1. 검정식물(檢定食物)의 생육저하(약제의 불활성억제)는 대조토(對照土)($O^-M^-$)>유기물토(有機物土)($O^+M^-$)>미생물토(微生物土)($O^+M^+$)의 순(順)이었다. 2. Oxyfluorfen단제의 불활성화(不活性化)는 유기물흡착(有機物吸着)보다는 주로 미생물분해(微生物分解)에 의존되는 경향이었다. 3. Oxyfluorfen혼제의 불활성화(不活性化)는 Glyphosate 혼용보다 Paraquat 혼용에서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4. $IR_{50}$$IR_{95}$의 소요일수(所要日數)는 $O^+M^+$, $O^+M^+$, $O^-M^-$의 순(順)으로 짧아지고, 단제(單劑)보다는 혼용(混用)에서 길어지며, 저약량(低藥量)보다는 고약량(高藥量)에서 연장되었다.

  • PDF

CE-AD기반의 Microfluidic chip을 이용한 Simazine과 Atrazine 그리고 Ametryn Herbicides의 검출 (Detection of Simazine, Atrazine and Ametryn Herbicides on a Microfluidic Chip Based on CE-AD)

  • ;장유철;;;김용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688-1689
    • /
    • 2011
  • A simple and rapid capillary electrophoresis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ommon triazine herbicides. Cyclic voltammetry was employed to clarify the detection voltage which showed characteristic irreversible cathodic peaks. For the analysis, the mixture of triazine herbicides was applied in a microfluidic chip to determine the CE-separated peaks. Soil sample extracts were analyzed directly after drying and redissolution with the supporting electrolyte but without other pretreatment. The results were comparable to those obtained by HPLC with UV detection. Therefore, this method can be used in the rapid determination of pesticide/herbicide residues.

  • PDF